d라이브러리
"개발"(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기후 위협하는 비행기구름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기존 9~10km보다 낮은 6km 정도의 고도에서도 대형 비행기가 다닐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와일드 교수는 “지금은 전문가들이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면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기후변화를 일으키는 수많은 원인 중 하나일 뿐”이라고 ... ...
- Part 3. 세상에 이런 시계가? 별별 시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들어오게 만든 한글 시계. 아두이노는 코딩에 따라 움직이는 전자기기를 만들 수 있는 개발도구와 각종 센서, 등을 말한다. 아두이노를 이용하면 다양한 형태와 기능이 있는 시계를 만들 수 있다.#올해는 윤초 덕분에 시간이 1초 늘었어. 이제 어과동친구들이라면 ‘에게~, 겨우 1초?’라는 생각은 ... ...
- [과학뉴스] 녹차 추출물로 당뇨 상처 치료한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녹차 추출물과 히알루론산을 이용해 당뇨병으로 발생한 피부 창상의 치료제 후보물질을 개발했다.연구팀은 녹차에서 추출한 항산화 성분인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와 피부 보습에 탁월한 히알루론산이 들어 있는 고분자 나노섬유 시트를 제작했다. 그리고 당뇨병성 창상이 생긴 쥐에게 이 ... ...
- [Future] 구글·네이버 번역기가 갑자기 ‘열일’하게 된 이유는?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김준석 네이버 파파고 개발팀 리더는 “사실 벡터는 다 수치화된 값이기 때문에 개발자도 각각의 수치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알 수 없다”며 “다만 학습이 끝나고 난 뒤 유사한 의미의 단어끼리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놓여있는 것을 보고, 벡터가 의미가 유사한 단어들에 대한 정보 값을 가지고 ... ...
- [Career] 줄기세포 배달하는 초소형 로봇 탄생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연구는 그렇게 시작됐다.처음 연구를 시작한 2010년은 물론 현재까지도 마이크로 로봇은 개발하기 쉽지 않다.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로봇을 만드는 일이다 보니, 제작이나 조립보다는 움직임을 제어하는 연구가 주를 이뤘다. 융합연구팀은 마이크로 로봇을 제작하고, 그 안에 세포가 자랄 수 ... ...
- part 2. 전선 없는 세상수학동아 l2017년 01호
- 년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은 이런 단점을 극복하고자 자기공명 방식 무선충전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똑같이 코일 두 개와 자기장을 이용하지만 공명 주파수를 변형해 더 먼 거리에서도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입니다. 1m 거리에서 90%, 2m 거리에서도 40%의 충전 효율을 낼 수 있다는 결과에 ... ...
- 세상에 단 하나뿐인 온라인 정육점 정육각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이끌 3가지 비법정육각이 우리 식탁에 신선한 돼지고기를 올릴 수 있는 비법은 바로 직접 개발한 소프트웨어(SW)다. 첫 번째는 공장 자동화 SW다. 주문 즉시 생산하고, 무게 측정 및 포장까지 자동으로 이뤄지도록 코딩했다. 돼지고기를 식탁에 전달하기까지 고기를 자르고, 포장하는 등 여러 과정이 ... ...
- [과학뉴스] 마이크로파로 썼다 지우는 메모리 나올까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국내 연구팀이 인공지능 컴퓨터를 위한 차세대 메모리소자를 개발하기 위한 길을 열었다. 이기진 서강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마이크로파 하나만으로 강 ... 기술은 기존 반도체의 한계를 뛰어 넘을 것”이라며 “사람의 신경망을 닮은 메모리를 개발하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 [Future] ‘윈터솔저’의 미래형 의수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실제로 사물을 만지지 않고도 만지는 듯한 감각을 느끼게 할 수 있다. 만약 이런 장치가 개발된다면, 최근 열풍이 불고 있는 가상현실(VR)이나 증강현실(AR)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가 일어날 것이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헤드셋을 착용하고 홈쇼핑 방송을 보다가 사고 싶은 태블릿 컴퓨터가 있다고 ... ...
- [Future] 1초를 둘러싼 전쟁, 윤초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주장하고 있다. 윤초 제도 때문에 발생하는 피해와 비용 부담이 막대하다는 것이다. 특히 개발도상국에게는 더 큰 부담이 된다. 윤초 폐지를 지지하는 국가들은 1초는 아주 짧은 시간이라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는 이 차이를 느끼지 못할 것이라고 말한다. 원자시와 천문시가 1분 이상 ... ...
이전3173183193203213223233243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