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양
대양
해사
대해
해상
해운
함수호
d라이브러리
"
바다
"(으)로 총 3,719건 검색되었습니다.
대한해협의 해양자원도 조사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어려웠다.이번 조사의 내용은 대한해협의 해양자원도를 만드는 작업의 일부였다. 부산 앞
바다
에서 시모노세키 근해까지 일직선으로 20개의 정점을 설정하고 각 정점별로 해역의 물리 화학 생물적인 특성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해양연구소는 지난해 봄 이 해역을 조사한 데 이어 두번째로 조사한다고 ... ...
롤러코스터의 하이테크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선택을 망설이고 있다.블랙풀 라이드는 그 기본골격이 철로 이뤄져 있다. 따라서
바다
에서 불어오는 염분이 다량 함유된 바람이 이 철구조물을 부식시킬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일본이나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세워진 롤러코스터보다는 부담이 훨씬 덜한 편이다. 지진걱정은 하지 않아도 되기 ... ...
4. 원자핵·전자 속의 또다른 세계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하늘과 땅 사이에 있는 모든 물질을 대상으로 거대한 쿼크사냥을 계속했다. 심지어
바다
속 깊숙이 있는 조개껍질까지 정밀히 분석하였지만 쿼크는 발견되지 않았다.그러나 쿼크사냥이 물리학자들의 정력낭비로만 끝난 것은 아니었다. 비록 양성자속에서 튕겨나온 쿼크는 못 보았지만 양성자속에는 ... ...
무공해 대체에너지 개발에 초점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형형색색의 빛의
바다
가 만들어진다. 여기에서 빛은 다름 아닌 전기를 의미한다.빛의
바다
를 지나면 레이저터널이 나타난다.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이 터널을 지나면 빛이 관람객을 둘러싸는 듯한 느낌이 들게 한다. 인류가 빛을 발견하는 순간을 신비롭게 체험하게 되는 셈. 레이저터널을 빠져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제작하는데 성공했다. 개발자는 이 회사 연구원인 벤퀸과 크리스핀 코튼.양식어류들은
바다
에서 잡은 물고기를 먹이로 제공해 달라고 강력하게 떼를 쓴다(?). 양식물고기 1㎏을 얻기 위해선 4㎏의 천연어류를 양식어장에 쏟아 부어야 한다는 말도 있을 정도다. 하지만 이렇게 해서 양식어장의 ... ...
해양생태계 회생작전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등의 물리적 피해가 경질유보다 더 크다. 특히 해안에 서식하는 동식물들 해양포유류
바다
새들은 기름과 접촉하여 떼죽음을 당하게 된다. 북해지역에서는 연간 15만마리에서 45만마리의 조류가 치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토리캐년 사고시에는 10만마리의 물오리가 죽었고, 엑슨 발데즈 사고 ... ...
뉴질랜드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마오리족의 신화에 의하면 북섬은 자기들의 선조이자 영웅인 마우이(Maui)에 의해
바다
속 깊이로부터 낚시로 낚아 올린 거대한 물고기가 변형된 것이라고 한다. 그래서 마오리어로 북섬을 '테 이카 마우이'(Te Ika Maui)라고 하는데, 이 말은 '마우이의 고기'라는 뜻이다.이러한 뉴질랜드를 ... ...
지구의 나이까지 알아 맞힐 수 있는 절대연대 측정방법 5가지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234}$U가 붕괴해 생긴 ${}^{230}$Th은 해양퇴적물인 제올라이트(zeolite)와 중정석에 섞여
바다
밑에 침전되므로 바닷물 속의 ${}^{234}$U와 자연적으로 분리된다. 즉 비평형이 이루어진다.시조인 ${}^{238}$U계열에서 벗어난 ${}^{230}$Th은 독립해 붕괴한다. 그의 반감기는 7.52×${10}^{4}$년 ...
코뿔소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코뿔소의 5종 모두가 절종위기에 처한 종류로 명기돼 있다).악어 큰 도마뱀 대모(
바다
거북의 1종) 코끼리 코뿔소 사향노루 고래류 등은 물질문명의 발달과 더불어 어떤 종류는 절종됐고 일부는 절종의 위기에 놓여 있다. 국제자연보존연맹 세계야생생물기금(WWF)이 중심이 되어 이들을 국제보호동물로 ... ...
바닷물은 CO₂를 얼마나 처리할 수 있나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축적속도는 점점 가속화돼 바닷물의 흡수기능을 약화시킬 것이라는 추측.한편 따뜻한
바다
에는 플랑크톤에 의한 광합성 때문에 이산화탄소 흡수가 더디다. 얼마만큼의 이산화탄소가 흡수되는지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현재 해수중에 녹아있는 이산화탄소양은 8억~16억t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 ...
이전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