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스페셜
"
학술
"(으)로 총 3,613건 검색되었습니다.
[커버링클라이밋나우] 美서 주목받는 '기후살인'...기소 직면한 석유업계
동아사이언스
l
2023.03.24
연소로 인해 지구 기온이 10년에 섭씨 0.2도씩 오를 것으로 예측했다는 분석을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 공개했다. 이 분석은 현재 정부나 학계에서 내놓는 예측과도 일치할 정도로 정확도가 높다. 그러나 엑손모빌은 자체 연구팀의 분석을 묵살하고 공개적으로는 화석연료와 기후변화 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마침내 밝혀진 냄새수용체 구조
2023.03.22
어려움이 크다고 한다. ● 식초의 시큼한 냄새가 느껴질 때 일어나는 일 지난 15일
학술
지 ‘네이처’는 처음으로 냄새수용체 구조를 밝힌 논문을 사이트에 미리 공개했다.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등 미국의 공동연구자들은 식초의 주성분인 아세트산의 시큼한 냄새를 매개하는 냄새수용체 OR ... ...
[오늘과학] 회사에 충성한 직원, 더 착취당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21
크리스포터 넥 미국 애리조나대 경영학과 교수 연구팀은 이 같은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실험사회심리학저널’에 21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연구팀은 “팀장 등 회사 내 관리자 위치에 있는 사람들은 충성도가 높은 직원에게 업무를 몰거나 무보수의 업무를 시키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 ...
[과기원은 지금] UNIST, 해수전지 성능 대폭 향상시키는 '슈트'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21
해수전지의 성능을 대폭 증가시키는 집전체 부식 억제기술을 개발한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제공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이동 ... 유리해 3배 이상 높은 감도로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스몰'에 지난달 24일 게재됐다 ... ...
[오늘과학] 암 세포에 형광물질 붙여 수술 중 정확히 제거
동아사이언스
l
2023.03.20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연구팀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 결과를 20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암 연구’에 발표했다. 암 수술은 암종양을 완전히 제거했을 때 성공적으로 완료된다. 하지만 많은 암종양은 주변의 건강한 조직과 구별이 어렵다. 연구팀은 암 수술을 시행하는 의료진이 아주 ... ...
[표지로 읽는 과학] 한국 연구자가 밝힌 진화생물학 미스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23.03.19
제공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는 도롱뇽의 한 종류인 ‘알파인 뉴트’가 땅을 짚으며 걸어가는 모습을 17일 표지로 실었다. 땅에 닿아 있는 배 부분의 색이 주황색이고 그 반대 위쪽의 색은 어두운 색인 것을 볼 수 있다. 많은 양서류들이 몸에 이런 색을 갖고 있다. 배 쪽은 눈에 잘 띄는 뚜렷한 색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카이랄성이 형성한 나비넥타이 모양의 나노시트
동아사이언스
l
2023.03.18
제공 이번주 국제
학술
지 '네이처'는 카이랄성이 형성한 나비넥타이 모양의 나노시트 모습을 표지에 담았다. 카이랄성은 왼손과 오른손처럼 구조와 모양이 똑같이 생겼지만 마치 거울에 비친 듯 대칭 모양을 하고 있어 서로 겹쳐질 수 없는 분자구조를 말한다. 자연계에서는 DNA나 단백질 아미노산,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연구진 "노화로 뇌막에 당 쌓인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16
왼쪽부터 김필남 KAIST 교수, 정용 교수, 김효민 박사과정생. KAIST 제공 ■ 김필남·정용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노화 때문에 당이 뇌를 감싼 ... 물질의 구조제어를 활용해 다양한 디바이스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는 국제
학술
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에 공개됐다 ... ...
[과학게시판]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후보자 공모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16
후보자를 공모한다고 15일 밝혔다. 모집 분야는 생명과학 분야 과학자를 대상으로 한 '
학술
진흥상'과 만 45세 미만의 박사학위 재학생이나 학위 취득 후 5년 이내의 과학자를 대상으로 한 '펠로십' 부문이다. 희망자는 내달 21일까지 서류를 접수하면 되고 수상자에게는 연구지원금이 제공된다. ■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암세포 특이적 약물 전달을 위한 단백질 조립체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15
프로그램(HRP) 공동 참여와 중개연구를 위한 협력을 전개한다. 데이터 공유 및 워크숍 등
학술
행사 개최, 기술 전문 연구인력 교류, 연구시설 장비 공동 활용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우주 의생명과학 중개연구는 우주 환경이 인체 생리와 인지행동에 미치는 영향 등 다양한 주제로 생물학·의학적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