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점성가
뉴스
"
천문학자
"(으)로 총 545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무아무아는 인공물 아닌 우주의 자연적 산물"
연합뉴스
l
2019.07.02
미국 메릴랜드대학(UMD)에 따르면 이 대학 천문학과 매튜 나이트 부교수는 미국과 유럽의
천문학자
14명이 참여하는 연구팀을 꾸려 오무아무아 관련 자료를 재분석한 끝에 얻은 결과를 과학저널 '네이처 천문학(Nature Astronomy)' 최신호에 실었다. 연구팀은 오무아무아가 태양계 밖에서 온 성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킬로그램, 130년 만의 전진
2019.06.27
한국이 보유하고 있는 킬로그램원기-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 광속을 이용한 1미터의 정의는 빛이 진공 속에서 2억9979만2458분의 1초 동안 이동한 거리이다. 이 정의가 성립하려면 1초가 먼저 정의돼야 한다. 1미터 자체는 인간에게 친숙한 단위이지만 (대략 성인 팔 길이 정도) 그 정의는 인간의 일 ... ...
카오스재단, 제12회 카오스콘서트 '변신, 기원이야기'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0
카오스재단 제공 우주와 생명의 과거를 깊이 있게 들여다볼 수 있는 지식 강연이 열린다. 카오스재단은 7월 20일 오후 2시 서울 용산구 한남동 블루스퀘어 아이마켓홀에서 ‘변신, 기원이야기’라는 주제로 제12회 카오스콘서트를 연다. 카오스재단은 이기형 인터파크 회장이 2014년 ‘과학지식의 ... ...
“외계행성 이름을 지어주세요”…IAU 100주년 국제공모전
동아사이언스
l
2019.06.07
태양계 행성 목록에서 분리해 왜소행성으로 지정하기도 했다. 최근 몇 년 동안
천문학자
들은 우리 은하의 별 주변을 공전하는 수천 개의 외계행성을 발견했다. IAU는 현재까지 연구·확인된 외계행성과 그 중심별의 대규모 표본을 신중하게 선택한 후, 국가와의 연관성 및 관측 가능성을 고려해 각 ... ...
아인슈타인의 웃음, 갈수록 커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3
통과한 것처럼 휠 수 있다는 예측까지 덧붙여지면서 의구심은 더 커졌다. 영국의
천문학자
아서 에딩턴은 이런 의구심을 직접 검증해 확인하고자 관측에 나섰다. 에딩턴은 1919년 5월 29일에 남미와 아프리카 등에서 관측 가능한 개기일식을 이용했다. 일반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태양 같은 별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25번째 태양 주기가 시작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2
1755년부터 세기 시작한 태양 주기는 올해 25번째 주기를 맞을 전망이다. 1848년 스위스
천문학자
루돌프 울프가 1755년부터 1766년을 ‘주기 1’로 확인하면서 태양 흑점의 기록이 시작됐다. 태양의 흑점 주기가 중요한 이유는 흑점이 지구에 여러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흑점은 주변보다 상대적으로 ... ...
일반상대성 이론 검증 100년…중력파 검출에 뛰어드는 나라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9
빛을 통해 관측하기 어려웠던 블랙홀 연구에 새 돌파구를 열었다. 사진제공 NASA 영국
천문학자
아서 에딩턴은 1919년 5월 일어난 개기일식 때 태양 주변 빛이 1.61초 휘는 것을 관측하며 일반상대성 이론을 검증한지 100년이 지났다. 지난 4월에는 한 세기만에 일반상대성 이론을 증명할 블랙홀을 ... ...
일반상대성이론 검증 100년…개기일식, 우주에 대한 이해를 바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9
엄지손가락 한 마디 크기의 공간에 압축해 넣을 경우에나 일어날 수 있는 일이지만
천문학자
들은 실재 존재하는 별을 대상으로 슈바르츠실트가 말한 존재를 찾아 왔다. 이전까지 블랙홀은 직접 관측이 불가능했다. 주변에 존재하는 천체의 움직임이나, 빠르게 회전하는 블랙홀 주변에 모인 ... ...
화기 소음 방지용 귀마개로 총알 발사 위치 찾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3
소리를 들으려던 의학자가 처음 제안했다.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이후인 1914년 프랑스
천문학자
샤를 노르만과 의학자 루시앙 불은 포 소리가 두 지점을 도착할 때 발생하는 시간 차이를 이용하면 포병 진지를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는 개념을 제시했다. 이후 1915년 25세 때 X선 회절에 관한 연구로 ... ...
[부고] 과학 스테디셀러 '코스모스' 번역자 홍승수 서울대 명예교수 별세
동아사이언스
l
2019.04.16
고인은 대표적인 과학 스테디셀러인 ‘코스모스’의 번역자로 이름을 알렸다. 미국
천문학자
이자 유명 과학커뮤니케이터였던 칼 세이건이 1980년대 낸 코스모스는 국내에서 30만부 이상 판매되며 과학 대중화를 이끈 책으로 평가받는다. 고인은 코스모스를 번역하며 “‘코스모스는 결국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