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실
분실
loss
roast
ross
rosse
뉴스
"
로스
"(으)로 총 331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는 지금 ‘양자통신 전쟁’ 중
2016.03.04
염려가 없고 이동성도 갖추고 있다. 무선 양자통신의 선구자는 미국이다. 1998년 미국
로스
앨러모스 국립연구소가 지상 1㎞에서 세계 최초로 무선 양자통신을 성공시켰고, 2002년 거리를 10㎞로 늘렸다. 양자암호 생성까지 가능한 중국의 ‘양자통신실험위성(QUESS)’ - 중국 국립우주과학센터(NSSC) ... ...
‘쿡방’에 열광 이유, ‘눈으로 음식 찾는 본능’ 때문
2016.01.10
실제 과식으로 이어져 비만이나 당뇨 등을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한다. 제이미 보든
로스
미국 호바트앤윌리엄스미스대 교수팀은 음식과 관련된 TV쇼를 많이 시청할수록 섭취하는 칼로리가 높다는 연구 결과를 2013년 학술지 ‘에피타이트(Appetite)’에 발표한 바 있다. 비슷한 연구는 또 있다 ... ...
헤커 “수소폭탄이라고는 보지 않지만 北의 핵기술 발전했다는게 문제”
동아일보
l
2016.01.09
실험을 통해 기술적으로 발전했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미국 핵 연구의 중심인 국립
로스
앨러모스연구소 소장을 지냈고 2010년 북한의 초청으로 영변 핵시설을 직접 탐방하기도 한 헤커 교수는 최근 북한의 핵실험 이후 동아일보 등 주요 언론이 인터뷰 요청을 하자 7일 스탠퍼드대 내 ... ...
조성진의 클래식을 즐기는 과학적 팁!
2015.11.10
신생아들도 감상할 수 있다는 사실이 과학적으로 밝혀졌습니다. 영국 브리검영대학교
로스
플롬 심리학 교수는 생후 3~9개월 아기 96명을 대상으로 베토벤의 교향곡을 들려줬습니다. 먼저 환희의 메시지를 담고 있는 9번 ‘합창’ 교향곡을 들려주자 아기들은 행복한 눈빛을 나타냈습니다. ... ...
지구 최북단 영구동토 탐험… 맘모스 세포 찾아 인류기원 밝힌다
2015.10.23
흔적을 찾았다. 그 결과 매머드의 다리뼈와 코뿔소를 닮은 고대 동물인 ‘리노세
로스
시베리아(Rhinoceros siberia)’의 뼈를 새롭게 발견했다. 여기서 발굴된 화석은 현재 사하공화국 북동연방대 매머드박물관에 있는 영하 80도 냉동고에 보관돼 있다. 연구진은 매머드와 인간의 유전자를 비교하기 ... ...
진짜 뇌 같은 뇌 팬텀, 3D 프린터로 출력
2015.10.14
뇌 구조를 토대로 3D 프린터를 이용해 뇌 모양의 틀을 만들고, 소금물과 겔 형태의 아가
로스
(한천의 주 성분)를 적정 비율로 섞어 굳히는 방식으로 속을 채웠다. 이렇게 만든 뇌 모형은 뇌와 전기적 특성까지 유사해 전기 자극을 가하면 전류 분포까지 측정할 수 있다. 실제로 이 모형에 전극을 달고 ... ...
신토불이 과학연구 노벨상 거머쥐다!
2015.10.06
열어 필요로 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신약을 무료로 나눠주겠다고 선언했다. 바겔
로스
는 훗날 “나는 기적의 신약을 실험실의 선반 위에서 썩혀야 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에 잠을 이룰 수 없었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이렇게 해서 이버멕틴이 인간의약품(상표명은 멕티잔(Mectizan))으로 다시 태어났다 ... ...
최초의 인류진화 역사 바뀔까
과학동아
l
2015.09.27
‘네이처’에 따르면, 이제까지 매장의 흔적으로 가장 앞섰던 것은 스페인 시마 드
로스
후에소스 유적으로 연대는 43만 년 전이었다. 하지만 날레디의 경우 아직 정확한 화석 연대조차 제대로 밝혀지지 않은 상태기 때문에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고인류학자들은 새로운 화석이 나올 ... ...
풍력발전기에 날개가 사라졌다
과학동아
l
2015.09.25
실현하려면 누구나 구입해 쉽게 설치할 수 있는 소형 풍력발전기가 필요하다. 알트에어
로스
에너지스의 공동설립자 애덤 레인은 미국의 과학잡지 ‘파퓰러 사이언스’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기존의 풍력발전기를 대체하려는 게 아니다”라며 “거대한 풍차를 설치할 수 없는 지역까지 ... ...
아픈 야생동물, 약 먹이는 게 좋을까?
2015.07.08
태어나는 새는 먹이 부족 등으로 2차 감염 위험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나 그랜
로스
-윌딩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야생동물의 군집에서 감염병의 전파를 연구했다는데 의의가 있다”며 “기존 질병 연구에서는 야생동물을 개체별로 연구하는 경향이 강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