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양
경작
양성
양식
교화
재배식물
식물
d라이브러리
"
재배
"(으)로 총 547건 검색되었습니다.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린드크스트 교수는 이를 멋진 비유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약 1만년 전, 인류는 식물을
재배
하고 동물을 가축화하기 시작했다. 이제는 분자를 길들일 때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10년 뒤는 나노바이오기술이다 나노와 바이오의 퓨전 시대 1. 분자로 나노기계 만든다 2. 단 한 개의 바이러스도 ... ...
RNA로 유전병 고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역시 RNA 간섭 기술에 적극적이다. RNA 간섭 기술을 식물에 적용해 경제성이 높은 작물의
재배
기간을 단축하거나 병충해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기 때문이다.최근 생명공학연구자들은 다른 이유 때문에 RNA 간섭 기술에 열광한다. RNA 간섭 기술을 유전자 ... ...
에어버스와 보잉의 에어쇼 수주전쟁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원소의 족을 나누는 방법도 밝혀졌다 1865년 G J 멘델이 발표한 유전법칙 7년간의 완두
재배
실험에서 얻은 결과를 논문《식물의 잡종에 관한 실험》에서 발표했으나 당시에는 인정받지 못하다가, 그가 죽은 지 16년 만인 1900년에 독일의 K E 코렌스, 네덜란드의 H 드브리스, 오스트리아와 S E 체르마크 등 ... ...
가짜 유기농산물 가려낸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교수는 7월 14일 “질소 동위원소의 존재 비율을 이용해 화학비료나 농약을 쓰지 않고
재배
한 유기농산물인지 판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자연계에서 질소는 ‘질소14’ (${}^{14}$N)와 이보다 무거운 ‘질소15’ (${}^{15}$N)의 2가지 형태로 존재한다.그런데 질소14는 질소15에 비해 ... ...
마침내 모습 드러낸 파란장미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파란 장미와 쌍벽을 이루는 것이 검은 튤립이다. 1593년 네덜란드에서 튤립이 처음
재배
된 이래 육종가들은 검은 튤립을 만드는 시도를 해왔다. 그러다 1850년 검은 튤립이 갑자기 세인들의 주목을 받았다. ‘몬테크리스토 백작’ ‘삼총사’ 로 유명한 프랑스의 작가 알렉상드르 뒤마가 소설 ‘검은 ... ...
02. 무공해 식단 꾸리는 생물 농약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사용되고 있는 생물성제초제다. 콜롬비아정부는 마약인 코카인의 원료가 되는 코카나무
재배
를 원천적으로 봉쇄하기 위해 코카나무만을 선택적으로 죽이는 곰팡이균을 남부의 코카나무 숲에 뿌려서 코카인생산을 원천봉쇄하는 임무를 수행 중이다. 현재 수년째 프로그램을 진행한 결과 코카인 ... ...
빛깔 좋은 딸기가 몸에도 좋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때문이다.이처럼 조직이 워낙 연약한 과일이다 보니 병충해에도 약할 것이고 따라서
재배
시 농약을 과도하게 쓸 거라고 생각하기 쉽다. 정 연구사는 “딸기는 수시로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데 벌이 수분을 담당한다”며 “섣불리 농약을 쓸 경우 벌이 죽기 때문에 농사 자체가 안 된다”고 말한다. ... ...
2008년 한국 최초 우주인 탄생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우주에서 동식물을 길러 섭취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따라서 우주환경에서 사육과
재배
가 용이한 동식물을 가려내고 그 방법을 연구해야 한다. 식물보다 동물들의 사육과 배란, 부화가 더 어렵다고 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08년 한국 최초 우주인 탄생한다 각국의 최초 ... ...
1. 공간_공간의 융합이 시작된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배추나 무 같은 채소에도 이러한 태그가 탑재돼 원산지가 어딘지, 어떤 비료를 사용해서
재배
된 것인지 등 주요 정보가 기록돼,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식료품을 소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MEMS와 SoC은 인간의 눈과 귀, 팔을 대신해 극한 상황에서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다 ... ...
기능성 쌀 등장으로 다시 주목 받는 쌀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않으면 영 맛이 없다. 보리나 귀리 등 다른 곡물들도 쌀에 비할 수가 없다. 그러나 벼는
재배
하기 까다로운 작물로 많은 노동력과 인내가 필요했다. 따라서 예전에는 값이 비쌀 수밖에 없었고, 기장을 주로 먹던 중국에서도 쌀은 귀한 사치품이었다.한편 벼농사는 환경적으로도 큰 기여를 한다.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