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죄자
범죄인
죄인
과구
속인
범부
가해자
d라이브러리
"
범인
"(으)로 총 469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성으로 살펴본 숫자 4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과학수사대가 유전자 감식을 통해
범인
을 찾을 때도 사건 현장에서 발견한 DNA를 뽑아
범인
의 염기서열과 비교하는 방식을 쓰지.사람의 숫자1 고대 그리스의 의학자 히포크라테스는 사람의 체액을 혈액(다혈), 담즙, 흑담즙(우울), 점액으로 나누고 각자의 몸속을 지배하는 체액에 따라 기질이 ... ...
모든
범인
은 ‘세균’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지문뿐 아니라 손에 묻은 세균까지도 신경 써야 할 것 같다. 물건에 남은 세균 흔적으로
범인
을 식별하는 기술이 처음 개발됐기 때문이다.최근 미국 콜로라도대 진화생물학과 노아 피어러 교수는 컴퓨터 키보드에 묻은 세균을 채취해 컴퓨터 소유주의 손에 사는 세균과 DNA를 비교한 결과 거의 ... ...
우울과 몽상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생각해 추리를 한다고 하니 수학과 추리는 서로 통하는 면이 있나봅니다. 그런데
범인
은 과연 누구였을까요? 여기서 이야기해 버리면 소설의 재미가 떨어지겠지요? 직접 읽고 확인해 보세요.부딪치면 누가 이길까?바로 전에 인정한 것을 이번에는 부정하기 위해 갖은 애를 쓰고 있네. 신문은 이렇게 ... ...
CSI 수사체험 ‘지문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배경을 바꿔 다시 제작한 프로그램).첨단 수사 장비로 과학적 증거를 분석해
범인
을 궁지로 몰아가는 장면은 멋지다 못해 통쾌하기까지 하다. 드라마 전개상 허구적인 면도 많지만 그럼에도 과학수사에 문외한인 많은 이들에게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CSI 신드롬이라는 신조어까지 만들어냈다. 이번 ... ...
[허풍의 퍼즐 세계일주] 칼잡이 잭의 부활?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사건의 자초지종을 듣는다.“경찰이 당혹스러워할 칼잡이 잭 사건을 모방한 것으로 보아
범인
은 경찰이 사건을 빨리 해결하기위해 작은 단서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라는 걸 알고 있는 자 같소.”“그런데 왜 그 사람들이 우리를 노리는 것일까요? 도대체 무엇을 노리는 것인지 모르겠어요 ... ...
도심에 출현한 멧돼지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완도군 생일도에서는 기르던 염소가 잔인하게 물어뜯기는 사건이 매일 밤 발생했는데,
범인
은 멧돼지였다.멧돼지 증가는 이미 세계적인 골칫거리멧돼지가 산을 내려와 도시에 나타나는 이유는 뭘까. 이유는 간단하다. 산에 살고 있는 멧돼지의 개체 수가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2008년 현재 전국 ... ...
Part 2. 암호는 즐거운 두뇌싸움!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리코더 소리가 울려 퍼졌어. 그 순간 코난은 몸을 날려 엎드리고 동시에 경찰이 쏜 총이
범인
을 제압했어. 코난은 어떻게 총을 쏜다는 사실을 알았을까?하이바라가 리코더로 연주한 음은 ‘미라라라파’였어. 서양에서는 음의 이름을 알파벳으로도 표현하기 때문에 음으로 단어를 만들 수 있어. ... ...
얼굴 없는
범인
잡는 심리수사기법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목격자가 도주차량의 색상이나 종류, 차번호를 기억하지 못하자 최면수사기법을 사용해
범인
을 검거했다.최면을 이용한 치료나 기억을 재생하는 일 이외의 최면효과는 대부분 거짓이다. 최면요법으로 전생을 떠올리도록 하거나 최면상태에 빠진 상대를 마음대로 조종해 로봇처럼 부리는 일은 ... ...
팬데믹 막는 역학조사의 세계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가설 설정세 번째 단계는 질병 유행의 원인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는 것이다. 역학조사를
범인
을 잡는 과정으로 본다면 가설설정은 용의자를 나열하는 것이다.가설은 감염 집단의 특성, 질병 확산의 이유, 질병의 특성, 질병 확산 원인에서 질병발생까지의 추정시간 등을 포함하며 가장 중요한 내용은 ... ...
[신경과학]손끝의 예민한 촉각은 지문 때문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범인
을 잡을 때 가장 결정적인 증거의 하나인 지문. 그런데 지문은 왜 있을까. 프랑스 파리6대학의 죠르주 드브레제아 교수팀은 지문을 모방한 센서를 만들어 지문이 촉각을 예민하게 하기 위해 존재한다는 사실을 1월 29일자 ‘사이언스’ 온라인판에 발표했다.연구자들은 고무 같은 재질에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