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죄자
범죄인
죄인
과구
속인
범부
가해자
d라이브러리
"
범인
"(으)로 총 469건 검색되었습니다.
겨울나기 노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3호
가습기! 하지만 최근 질병관리본부가 임산부와 어린이 9명의 목숨을 앗아간 폐 손상의
범인
이 가습기에 넣는 살균제라고 밝혔지. 가습기는 건조한 공기를 빨리 촉촉하게 만들어 주지만 고여 있는 물에 세균이 번식해 건강에 해를 끼치기도 해. 그래서 가습기 살균제라는 화학물질을 사용하게 됐어. ... ...
끈적 끈적 찐득찐득 분비불 제거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2호
이용해 얻어낸 범죄 용의자의 DNA를 비슷한 범죄를 저질렀던 사람들의 DNA와 비교해서
범인
을 잡는데 중요한 단서를 얻어요.잠깐! 고래의 귀지는 나이테?동물의 나이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동물마다 털 색깔이나 뿔 길이, 어깨 높이를 통해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 그 중 가장 널리 쓰이는 방법은 ... ...
명탐정 코난의 과학사건 X파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6호
교수는 방귀의 성분이기도 한 메탄가스가 버뮤다 삼각지대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의
범인
일 거라고 주장하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연구팀이 음파로 버뮤다 지역을 탐지한 결과, 바닷속에서 대륙붕이 발견된 것. 대륙붕은 해변으로부터 깊이 약 200m 정도 까지의 완만한 경사의 해저 지형으로, ... ...
헛된 저항은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5호
저항을 그만 두고 어서 항복하라!”인질을 잡고 있는
범인
에게 경찰이 자주 외치는 소리지요. 하지만 전자 회로의 세계에서 헛된 저항이 존재하지 않아요. 전기가 잘 통하는 물체를 도체라고 해요. 도체의 한쪽 끝에 다른 쪽 끝으로 전자들이 움직이면 전류가 흐르게 되지요. 그런데 어떤 도체라도 ... ...
무지개 실종사건 사라진 무지개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4호
‘오염된 대기에서는 왜 무지개가 생기지 않을까’라는 논문이지. 이거 흥미진진한 걸?
범인
은 바로 대기오염!논문에서는 대기오염이 무지개에 영향을 주었을 거라고 생각하고, 일부러 대기오염 농도를 달리해서 무지개를 만들어 보았어. 그러자 정말 대기오염농도가 0㎍/㎥ 일 때와 50㎍/㎥ 일 때가 ... ...
뇌과학으로 본 버럭순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감소는 필연적으로 인지기능 저하와 행동의 변화로 이어진다. [2008년에 남대문을 방화한
범인
은 70세 고령의 노인이었다. 사회에 융합되지 못하고 외골수의 성격을 가진 노인들의 범죄가 늘고 있다.][뇌의 앞부분에 해당하는 전두엽은 청소년기에 유난히 발달한다. 이때 교육을 덜 받거나 과음과 ... ...
PART 2. 노벨상을 부르는 수학의 힘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있다. X note죄수의 딜레마비협력 게임이론을 이야기할 때 드는 대표적인 예다. 두 명의
범인
이 있다. 각각에게“만약 당신이 자백하고 상대가 자백하지 않으면 당신은 풀려나고 상대는 감옥에서 10년을 보내야 한다. 하지만 상대가 자백하고 당신이 자백하지 않으면 반대가 된다. 만약 둘 다 ... ...
엘리베이터는 언제 올까?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1층에 와서 다음 명령을 바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상황 2 7층에 홀로 있던 개리는
범인
이 위에서 내려오고 있다는 이야기를 전해 들었다. 7층 복도에서 엘리베이터의 내려가는 버튼을 급하게 눌렀다. A와 B 엘리베이터가 각각 9층과 13층에서 내려오고 있었다. 당연히 A 문 앞에서 기다리던 개리는 ... ...
시베리아 횡단열차 살인미수 사건 ②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있다.“이번 사건의 용의자 4명은 어린이 연쇄 살인사건의 피해자 가족입니다. 이들은
범인
이 세르게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지만, 그는 처벌받지 않았죠. 여러분은 복수하기 위해 세르게이를 미행했고 그가 급하게 기차 표를 구해 타자, 좌석이 남아 있었던 특실 표를 사 열차에 몸을 실은 거죠. ... ...
PART 2. 진동은 피곤해!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타지 않고 국도를 탔다면 수십 개의 꼬불꼬불한 대관령고개가 나 어질 씨 멀미의
범인
일 가능성이 높다. 또 같은 커브를 돌아도 승용차보다 버스가 질량이 크기 때문에 커브를 도는 데 시간이 더 오래 걸려 멀미가 더 잘 일어난다.버스에서 더 잘 멀미가 일어나는 이유는 또 있다. 고속버스나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