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너비
폭
가로
고양이
고냉이
괭이
나비넥타이
d라이브러리
"
나비
"(으)로 총 635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연의 가장 깊숙한 음악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20cm, 꼬리가 15cm로 길게 뻗어 ‘혜성나방’이라는 별명으로도 불린다. 날개 비늘은
나비
와 나방에 있으며 날개 전체의 색을 결정한다. 하지만 이 나방은 연두색이 아니다. 전자현미경에 인공색을 입혔을 뿐이다.[꿀벌 데이비드 맥카티, 애니 캐버너프]David McCarthy and Annie Cavanagh/Wellcome Images음악에는 ...
가장 무섭고 편안한 집짓기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전략이다. 주로 불나방과와 밤나방과의 애벌레나 일부 호랑
나비
과 애벌레들이 사용하는 생존 방법이다.불나방과의 안주홍불나방 애벌레는 건드리면 추풍낙엽처럼 우수수 떨어진다. 빽빽한 털이 푹신한 쿠션 역할을 하므로 다치지 않는다. 떨어진 뒤에 죽은 척하고 몸을 ... ...
젊은 여성 위협하는 3대 질환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혹을 가지고 있고, 이 중 5%가 암일 정도로 흔한 암이다.갑상샘은 앞쪽 목 아래쪽에 있는
나비
모양의 기관이다. 신진대사와 자율신경계를 조절하는 갑상샘호르몬을 만든다. 갑상샘암은 병이 걸린 조직의 모양, 암이 발생한 세포와 분화 정도에 따구분한다. 다행스럽게도 여러 가지 갑상샘암 중 가장 ... ...
Part 1. 수학의 달은 왜 없는 건가요?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탄생합니다. 반대로 연속 성질을 따르지 않는 현상을 연구하는 이론도 생겨나는데요.
나비
효과로 유명한 카오스 이론이 대표적입니다. 조금만 상황이 달라져도 결과가 완전히 다르게 나오는 현상을 연구하죠. 이 외에도 각종 수를 연구하는 정수론, 주어진 조건들의 대상을 연구하는 집합론, ... ...
한국 문화 꽃피운 과학 찾아서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꿀의 양은 꽃이 노란색일 때 가장 많고 빨간색일 때는 거의 없다. 바이스 박사는
나비
들이 빨간색 꽃은 거들떠보지도 않고 꿀이 풍부한 노란색 꽃만 찾아다니는 것을 관찰했다.어린아이를 넣어 ‘에밀레(에미 때문에)~’ 구슬픈 소리가 울린다는 성덕대왕신종(에밀레종)의 비밀도 밝혀졌다. 8세기 ... ...
나 대신 옷 갈아입는 아바타 쇼핑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고양이의 망토는 가상의복 기술을 활용해 실제처럼 그려졌다. 국내 영화 ‘불꽃처럼
나비
처럼’에서는 대결 중 무사들의 도포가 역동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표현하는 데 이 기술이 사용됐다.이외에도 가상현실을 의복에 적용해 소비자들이 더욱 편하고 즐겁게 쇼핑하고 마음에 꼭 들면서 몸에도 잘 ... ...
Part1. 상온초전도체 언제 탄생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제임스 카메론의 영화 아바타에서 인류는 행성 판도라의 희귀 금속을 채굴하기 위해
나비
족과 싸움을 벌인다. 극중이 금속은 상온초전도체로 설정돼 있다. 거대한 땅이 공중에 떠 있는 신비로운 지형도 이 금속이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공중에 부양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상온초전도체는 꿈의 ... ...
애벌레의 36계 줄행랑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7월 30일 89mm의 왕
나비
수컷 성충으로 우화했다.[왕
나비
(Parantica sita ) 분류 :
나비
목/네발
나비
과, 날개 편 길이 : 90~100mm박주가리과 큰조롱을 먹이식물로 한다. 녹색과 노란색, 흰색이 섞여 일종의 경계색을 띤다. 머리 양 옆과 배마디 끝부분에 가는 실 형태의 돌기가 두 개씩 ...
뱀눈 뜨고 악취 풍기는 생존의 달인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이유다. 이렇게 많은 종류의 방어 전략을 갖고 있기 때문인지 700여 종 이상의 많은
나비
가 전 세계 어디에나 살고 있다. 잡아먹을 힘이 있는 포식자라고 해서 항상 편안하게 살 수 있다거나 생존이 보장돼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연약한 애벌레가 위험천만한 세상을 항해하는 삶을 보면 그들이 왜 ... ...
그림자도 지우는 숨기의 달인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녹색이나 등 쪽으로 삼각형 모양의 갈색 무늬가 선명하다. 4쌍의 배다리와 다른
나비
목 애벌레에서는 볼 수 없는 몸 끝 쪽의 돌기가 특징이다.]그림자까지 지우는 ‘투명애벌레’이보다 더 놀라운 전략이 있다. 몇몇 애벌레들은 그림자를 지워 자신을 숨기기도 한다. 윗면은 어두운 색, 아랫면은 밝은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