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뉴스
"
뇌
"(으)로 총 4,37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들은 얼마나 똑똑할까
2017.02.28
기능)을 이루기 위해 다른 수단(메커니즘)을 사용하는 게 아주 흔한 일이라는 것이다.
뇌
세포를 다 합쳐봐야 100만 개도 채 되지 않는 곤충이지만 이를 어떻게든 활용해 얼굴 인식 능력을 획득한 것이다. 결국 진화계통수로 인지능력을 판단하는 오류를 범해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미국 중서부에 ... ...
[작심일주② 주(酒)빈에서 수(水)빈으로] 하루에 물 몇 잔 마셔야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2.26
통해
뇌
의 활성화 정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참가자들이 물을 과도하게 섭취하는 경우
뇌
의 특정 부위가 활성화되며 물을 삼키려는 노력이 3배 더 든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파렐 교수는 “강박적인 스케쥴에 따라 물을 마시기보단 목이 마를 때 물을 마시는 게 좋다”고 말했다. ● 금주 2주차, 물 ... ...
안희정 캠프 “기초과학 집중육성…공모형 그랜트 확대” 주장
동아사이언스
l
2017.02.24
바라보는 시각을 근본적으로 바꿔야 한다. 기초과학은 투자다. 그것도 장기적인 투자다.
뇌
과학을 연구하다가 인공지능이 상용화 수준까지 이른 것이다. 기초과학에 대한 장기투자가 보장될 때 발전과 번영이 가능하다. Q. “상향식 연구 비중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 ...
가상과 현실의 경계가 무너진다…SK텔레콤, 홀로그래픽 통화 기술 공개
포커스뉴스
l
2017.02.23
및 원격 가이드(Tele-maintenance)도 가능하다. 원격에 있는 다수의 의료진이 환자의 심장이나
뇌
등 복잡한 신체 기관의 3D 데이터를 보며 협진을 하거나, 직접 공장에 가지 않아도 3D로 구현된 자동차의 내외관 구조를 보면서 실시간 논의를 할 수 있다. 혼합현실(MR) 기술도 선보인다. AR과 가상현실(VR)을 ... ...
아이폰과 애플워치가
뇌
전증 원인 밝히는 의료기기?
동아사이언스
l
2017.02.22
수집했다. 실험 참가자들은 아이폰과 애플워치에 에피워치 앱을 설치하고 생활했다.
뇌
전증 발작이 시작될 것 같으면 앱을 실행시킨다. 앱은 실행된 순간부터 10분 가량 참가자의 심장 박동과 움직임을 기록하고, 발작이 멈춘 뒤 앱에서 묻는 질문에 답했다. 앱에 모인 자료와 응답을 토대로 ... ...
[사이언스 지식in] 치매 왜 생기는 걸까? ... 흔들리는 알츠하이머 원인의 정설
동아사이언스
l
2017.02.20
개발해 임상 시험을 진행했습니다. BACE1이 베타-아밀로이드를 만들 수 없게 만들어
뇌
세포 손상을 막겠다는 계획이었지만 특별한 치료효과를 보지 못했지요. 이에 자료모니터링위원회에서 “임상적으로 긍정적 소견을 도출할 수 없다”는 의견을 내며 3차 임상시험을 중단하기에 이르렀습니다. ... ...
남들보다 밤 눈 어두운 이유는 ‘신호전달 세포’ 부족
동아사이언스
l
2017.02.20
사실을 알아냈다. 즉 이번에 발견한 알파 아마크린 세포 수가 많은 사람은 빛 정보를
뇌
로 더 잘 전달하는 셈이다. 연구진은 쥐를 이용한 동물실험 결과 이 세포 수가 감소하면 빛을 실제보다 약하게 인식한다는 사실 역시 알아냈다. 또 연구진은 망막에 있는 ‘Lhx3’와 ‘Tgfb1i1’란 이름의 ... ...
내 머리 속 ‘GPS’...이렇게 작동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2.20
부착하면 서로 다른 위치에 있더라도 유사한 발화 양상이 나타났다. 연구진은 쥐의
뇌
를 확인한 결과 두 종류의 장소세포가 해마의 같은 영역에서 서로 다른 층을 따라 상하로 배열돼 있음을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 로열 박사는 “기억의 핵심을 담당하는 해마가 장소와 관련된 추상적 정보를 ... ...
[작심일주 ① 주(酒)빈에서 수(水)빈으로] 우리는 왜 술을 마실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2.19
가꾸는 행동(그루밍)이 줄어든다. 연구팀은 에탄올이 급속 항우울제와 똑같은
뇌
경로를 활성화시키며 우울감을 단기적으로 없앤다고 설명했다. 에탄올은 급속 항우울제가 NMDA 수용체를 억제해 몇 시간 정도 우울감을 없애는 것과 같은 작용을 했다. ● 금주 시작, 그리고 1주차 한편 오랫동안 ... ...
치매 유발물질 가위처럼 싹둑~ 잘라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2.16
코발트TMC를 첨가하자 세포의 생존율이 커졌다. 임 교수는 “
뇌
-혈관 장벽을 투과해
뇌
속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과 만날 수 있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로서 잠재력이 높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미국화학회지(JACS)'15일자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 ...
이전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