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적확
명확
명료함
엄밀
확실
정밀도
d라이브러리
"
정확
"(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암세포 잡는 삼총사 뜬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특히 가슴이나 배에 있는 암은 환자가 숨을 쉴 때마다 불규칙하게 움직여 양성자 빔을
정확
하게 조준하기 힘들다.방사선치료는 환자라는 유리병 속에 있는 암이란 이물질을 제거하되 그 유리병을 깨뜨리지 않고 치료하는 방법이다. 이런 관점에서 양성자치료는 암환자들에게 꿈의 치료라 불릴만 ... ...
무기자 메디컬 취재노트 엿보기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떨어지는 사람이라면 대장에서 조영제가 굳어 변비가 생길 수도 있다. 내시경검사보다
정확
도가 떨어지고 X선을 사용하므로 임산부는 피해야 한다.위험한 헬리코박터 파이로리1970년대까지도 과학자들은 위산으로 가득찬 위 속에는 세균이 살 수 없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위 점막 속에 사는 ... ...
가마와 벽화에 남은 자기장의 흔적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따라서 달에서 나침반은 무용지물이다.지구자기장이 시간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더 이상
정확
한 위치를 나침반으로 찾기 어려워졌다. 최근에는 인공위성에 전파를 쏘아 위치를 알리면 인공위성 세 대가이 신호를 받아 분석한 뒤, 전파를 쏘아올린 곳의 좌표를 알려주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 ...
한국새‘유전자 신분증’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사는 새의 종류를
정확
하게 판별할 수 있는 ‘유전자 신분증’이 개발됐다.한국생명공학연구원 김창배 박사팀이 개발한 유전자 신분증은 새의 종류마다 다른 DNA 염기서열을 이용해 만든 것이다.연구팀은 국내 자생 조류 92종의 DNA 정보를 이용해 유전자 신분증을 만들었다. 연구팀은 앞으로 ... ...
걸어 다니는 신분증, 얼굴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확인한다. 90% 정도 일치하면 본인으로 판단한다.3차원으로 읽는다 얼굴 인식기술의
정확
도를 높이는데 가장 큰 걸림돌은 카메라 촬영시 같은 사람의 얼굴도 각도나 조명, 안경 등 착용물, 시간에 따라서 변한다는 점이다. 실제로 필자의 실험 결과 눈썹과 입술, 수염 모양이 비슷한 두 사람의 사진을 ... ...
1. 당신의 뇌가 '관상'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그림을 볼 때보다 그 사람의 얼굴 특징을 과장해서 그린 캐리커처를 볼 때 더 빠르고
정확
하게 누구인지 알아본다는 점이다. 특히 유명인처럼 친숙한 얼굴의 경우엔 더욱 그렇다.예를 들어 이마가 넓은 사람은 실제보다 이마를 더 넓게, 눈이 작은 사람은 실제보다 눈을 더 작게 그릴 때 알아보기 ... ...
4. 나는 꽃미남이 좋아요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피험자들에게 보여줬다. 그 결과 피험자들은 사진 속의 얼굴이 남성인지 여성인지 96%
정확
하게 구별해냈다.그렇다면 얼굴의 어떤 요소가 남자와 여자를 구분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일까. 얼굴형과 이목구비가 판단 기준이 되는 경우가 많다. 남자는 여자에 비해 턱이 넓고 코가 높다. 눈썹 부위도 더 ... ...
라식수술 부작용 줄인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온도를 재는 원리로 레이저의 출력을 0.01%의 오차까지 측정한다. 흑체의 온도가 낮을수록
정확
해 액체헬륨으로 -260℃ 이하에서 작동시킨다.아무리 좋은 레이저장비라도 오래 쓰면 레이저의 본래 기능이 떨어지게 마련이다. 레이저의 국내 표준을 잡는 일이 중요한 이유다.겨울방학에 라식수술을 ... ...
해적왕 잭의 지도정복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해구를 탐사, 1만 912m의 잠수기록을 세우면서 깊이 경쟁은 끝났다. 이후 바다속에서
정확
한 조사와 자원 개발을 할 수 있는 수중로봇(무인잠수정)의 개발이 경쟁적으로 시작되었다. 바다 속을 자유자재로 헤엄치는 무인잠수정들이 속속 개발되면서 해저 지도의 수준도 높아졌다. 우리나라 역시 최근 ... ...
떴다! 웹 2.0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지워버릴 수도 있다. 여기에는 여러 사람이 머리를 맞대고 고치고 다듬고 하다보면 더
정확
하고 풍성한 정보가 된다는 믿음이 깔려있다.사진 공유 사이트인 플리커(www.flicker.com)도 빼놓을 수 없다. 플리커는 다른 사진 공유 사이트와 달리 무제한 용량을 주고 사진에 태그를 붙이고 태그에 따라 ... ...
이전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