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명"(으)로 총 9,637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세계 상위 1% 한국인 과학자는 누구?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성균관대)·최진희(서울시립대) 등 7명이 상위 1% 연구자에 이름을 올렸다. 화학 분야는 6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윤주영(이화여대)·장석복(KAIST)·김기문(포스텍)·김종승(고려대)·천진우(연세대)·현택환(서울대) 교수가 그 주인공이다. 또 수학 분야에서는 권오민(충북대)·강신민(경상대)·박주현 ... ...
- [News & Issue] 오큘러스 리프트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결과 응답자 1358명 중 1062명(78%)이 ‘오큘러스 리프트 가격이 너무 높다’고 했고, 그중 916명이 ‘가까운 시일 내로 사지 않겠다’고 답할 정도로요.하지만 예약판매가 시작되고 하루 만에 3개월치 물량이 바닥났습니다. 제작사인 오큘러스VR 최고경영자 팔머 럭키는 오히려 자신의 트위터에 ... ...
- [News & Issue] 국민 한 명이 국가 이미지 바꾼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이를 전후로 실험참가자가 A가 속한 집단이 고통을 겪는 영상을 보게 했다.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으로 참가자의 뇌를 촬영한 결과, A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을 하고 난 뒤에는 전방 섬상 세포군 피질(anterior insular cortex)의 활성도가 급격히 증가했다. 이 부분은 타인에게 공감하는 능력과 관계가 깊다 ... ...
- [News & Issue] 명절 보낸 아내를 위한 과학 노래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딱 감고 견디면 될 것을!”이라고 역정을 내거나 ‘이해가 안 돼’라며 회피하지 말자. 명절의 푸념을 계기로 평소 쌓여 왔을 아내의 불만과 스트레스를 들여다 보자. 가정에 어떤 불평등이 있을지 되짚어 보고 상황을 바꾸기 위해 노력해 보자. 잘 모르겠다면, 하다 못해 “애써줘서 고맙다”는 ... ...
- [News & Issue] 1986년 서울, 그들은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많이도 망가뜨렸죠. 그래서 실험은 안 되겠단 생각에 이론으로 방향을 틀었습니다.”_임명신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천체물리)“저도 그때 같이 이론을 하기로 마음 먹었어요. 당시에도 입자물리가 인기가 가장 많았는데 그건 너무 어려울 것 같아 고체 물리를 골랐습니다. 계산으로 새로운 ... ...
- PART 2. ‘기술장벽’은 더 이상 해결책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도전했다. 이 프로젝트는 처음엔 세 명에서 시작했고, 가장 사람이 많을 때도 여섯 명을 넘기지 않았다. 연구에 참여했던 사람 중 이전에 방사성 동위원소 분리법을 연구한 경험이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그럼에도 5년 안에 개발에 성공할 수 있었다. 호주는 그나마 오래 걸린 편으로, 이탈리아나 ... ...
- Interview. “수중시체 검시, 특별한 애정 필요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프로펠러에 맞았는지 참 밝히기가 어렵습니다.”법의학자를 가장 힘들게 하는 건 사인불명의 시체다. “수중시체에 대한 감정서를 보면요, 사인을 확실히 결론내지 못하고 ‘익사 추정’이라고 적은 경우가 많습니다. 폐 팽창 같은 익사의 흔적들이 시체가 썩으면서 사라지거든요.” 사인을 밝힐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등대가 무엇이고 등대 주인이 어떻게 등장했는지 한 가지 가설을 세웠다. 등대 주인의 문명은 우리처럼 기술적 특이점에 도달했고 더 먼 우주로 나아갔을 것이다. 그리고 등대에 저장되어 있던 자료란 아마도, 우리가 그랬던 것처럼, 역사에서 완전히 지워버리지 못한 옛 육체를 재조립할 수 있는 ... ...
- [News & Issue]혼자 살면 좋을까? 아니 골병난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외로움에 의해 뇌에서 활성화된 신호가 백혈구 생성에 영향을 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2015년 11월 23일자에 실렸다 ... ...
- [Tech & Fun]내 연구가 춤이 된다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대회 참가자) 등 다양한 사연이 있었다. 하지만 대부분은 “춤 형식으로 연구 주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아이디어가 창의적으로 발전하는 것을 느꼈다”고 말했다.그런 의미에서 올해 생물학 분야의 우승자인 리 연구원은 한국 과학자들의 출전을 기대했다. 어릴 때부터 보아나 현아 같은 한국 ... ...
이전3153163173183193203213223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