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명"(으)로 총 9,63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수중과학수사대 훈련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등에 수출한 상태다. 수중과학수사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게 성 본부장의 설명이다.해군 수중과학수사대에선 수중시체 인양에 최적화된 특수장비를 개발하고 있다. 강화아크릴로 된 관 모양의 장비로, 시체를 바닥부터 감싸 뚜껑만 닫으면 바로 들어 올릴 수 있다. 시야가 나쁠 때 시체낭을 ... ...
- Interview. “수중시체 검시, 특별한 애정 필요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프로펠러에 맞았는지 참 밝히기가 어렵습니다.”법의학자를 가장 힘들게 하는 건 사인불명의 시체다. “수중시체에 대한 감정서를 보면요, 사인을 확실히 결론내지 못하고 ‘익사 추정’이라고 적은 경우가 많습니다. 폐 팽창 같은 익사의 흔적들이 시체가 썩으면서 사라지거든요.” 사인을 밝힐 ... ...
- [Tech & Fun] 소녀탐정 ㅊ씨의 S(cience)-File ❷ 소년탐정 김전일의 ‘이진칸촌 살인사건’ (上)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탄 시체는 무릎을 구부리고 주먹을 쥔 채 팔을 몸 앞으로 들어올린 자세로 발견됩니다. 일명 권투선수 자세라고 하는데요. 근육이 고온의 열을 받으면 갑자기 수축한 상태로 굳어지기 때문입니다. 간혹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지만, 6~7구의 시체가 모두 몸을 펴고 있기란 확률적으로 불가능에 ... ...
- [지식] 세기의 매치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순간부터 거꾸로 체스의 기보를 보면 체스의 필승법칙을 찾을 수 있을까? 체스는 두 명이 번갈아 가면서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게임이기 때문에 이론상으로 역방향 추론이 가능하다. 하지만 영화 대사에서도 나오듯 체스는 단 네 번의 움직임만으로 이미 3000억 개가 넘는 경우의 수가 생긴다. 즉 ... ...
- [News & Issue] 명절 보낸 아내를 위한 과학 노래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딱 감고 견디면 될 것을!”이라고 역정을 내거나 ‘이해가 안 돼’라며 회피하지 말자. 명절의 푸념을 계기로 평소 쌓여 왔을 아내의 불만과 스트레스를 들여다 보자. 가정에 어떤 불평등이 있을지 되짚어 보고 상황을 바꾸기 위해 노력해 보자. 잘 모르겠다면, 하다 못해 “애써줘서 고맙다”는 ... ...
- PART 2. ‘기술장벽’은 더 이상 해결책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도전했다. 이 프로젝트는 처음엔 세 명에서 시작했고, 가장 사람이 많을 때도 여섯 명을 넘기지 않았다. 연구에 참여했던 사람 중 이전에 방사성 동위원소 분리법을 연구한 경험이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그럼에도 5년 안에 개발에 성공할 수 있었다. 호주는 그나마 오래 걸린 편으로, 이탈리아나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등대가 무엇이고 등대 주인이 어떻게 등장했는지 한 가지 가설을 세웠다. 등대 주인의 문명은 우리처럼 기술적 특이점에 도달했고 더 먼 우주로 나아갔을 것이다. 그리고 등대에 저장되어 있던 자료란 아마도, 우리가 그랬던 것처럼, 역사에서 완전히 지워버리지 못한 옛 육체를 재조립할 수 있는 ... ...
- [새 책] 입자물리학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미래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책치곤 드물게 군침이 돌게(!)하는 책이다. 13가지 수학 이야기를 간단한 게임을 통해 설명한다. 초콜릿으로 원주율의 근삿값을 구하고, 인기 게임 ‘앵그리버드’가 날아가는 궤적을 계산한다. 퍼즐 잡지를 생각나게 한다. 차이점이라면 비교도 안 되게 화려한 그래픽이랄까. 길지도 않다. 주제 당 7~ ... ...
- [가상인터뷰]박쥐 VS 에볼라, 승자는 누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정복하자!박쥐 : 에볼라 바이러스는 현재까지 감염자가 2만 명이 넘고, 이 중 사망자도 만 명이 넘어요. WHO는 2015년 12월 29일에 에볼라 종식 선언을 했지만, 90일 간의 집중 감시 기간이 주어져 아직까지 완전히 마음을 놓을 수 없는 상황이에요. 카르틱 찬드란 교수님은 이번 연구결과를 확장시켜 다른 ... ...
- 1인용 이동수단이 뜬다! 스마트 모빌리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탈것이에요.사실 세그웨이는 지금으로부터 15년 전에 개발됐어요. 2001년 12월, 미국의 발명가 딘 카멘이 ‘T’자 모양으로 생긴 세그웨이를 만들어 세상에 공개했지요. 당시 세그웨이를 처음 본 사람들은 모두 깜짝 놀랐어요. 몸을 아주 살짝만 기울이면 기울어진 방향으로 움직이고, 다시 몸을 똑바로 ... ...
이전3143153163173183193203213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