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기
오래
d라이브러리
"
긴
"(으)로 총 3,499건 검색되었습니다.
중화(中華)적 세계관이 우르르 마테오 리치 충격파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지구의가 그 실증적인 유물이다. 이 지구의들은 비록 크기는 작고 혼천의에 연결된 것이
긴
하지만, 동아시아에서 가장 정확한 지구의이면서 또한 최초로 제작된 것이다. 타원형의 평면에 그려진 세계지도를 정확한 위도와 경도의 선이 그어진 구(球)위에 완전히 옮겨 놓은 제도법은 매우 훌륭하다.160 ... ...
차디 찬 바이칼호수에서 발견된 열수배출구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나섰다. 탐사의 목표는 1차 탐사에서 찾아낸 고온구역이 정말로 마그마의 분출로 인해 생
긴
틈인가를 알아내는데 두었다. 그들은 호수 밑 3백m지점까지 카메라와 감지기를 내려보냈고 고온구역 주위에 펼쳐져 있는 진흙의 온도와 모양, 염도 등을 측정했다. 어떤 특정지점이 열수배출구일 가능성이 ... ...
위베르 리브의 우주론 우주에는 또다른 생명이…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연구하고 이를 일반인에게 보급하는데 힘쓰고 있다. 엷은 초록색의 눈과 예언자 같이
긴
턱수염, 강한 퀘벡 액센트를 구사하는 달변가인 리브는 자연현상의 관찰과 우주신비의 탐구를 통해 인간의 삶의 의미를 재조명하려는 휴머니스트이기도 하다. 그는 이미 베스트셀러가 된 '하늘의 인내'(Patience ... ...
PARTⅣ 인류로의 진화 침팬지에서 호모 사피엔스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대부분의 뼈를 발굴해 복원한 결과 얼굴 턱 이빨의 생김새가
긴
팔원숭이와 비슷해
긴
팔원숭이의 조상으로 보고 있으며 약 2천만년 전의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프로콘슬(Proconsil) : 1930년대 리키(L.. Leaky)가 아프리카 케냐에서 발견했으며 초기 유인원으로 고릴라나 침팬지의 조상으로 본다. 2천만년 ... ...
노출시간과 필름의 감광속도에 주의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주기 때문이다. 또 이러한 필름으로 노출을 장시간 요하는 별의 일주운동 등을 촬영하면,
긴
시간 동안에 어두운 밤하늘 배경에 민감히 반응하기 때문에 조리개의 조작에 조심하지 않으면 사진이 하얗게 바래버린다.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고정 촬영을 할 때 그 대상이 별자리의 일주 운동일 경우는 ... ...
일본의 기술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된 하나의 이유가 된다.) 이제 일본인들은 구 실크로드를 따라 아시아의 길이만큼
긴
현대식 고속도로를 꿈꾸고 있다.그들은 또한 히말라야 산맥의 풍부한 수자원을 이용하여 무공해 전기를 생산하고 파나마운하의 바로 남쪽인 콜롬비아의 북서쪽 끝부분에 대서양과 태평양을 잇는 다리를 ... ...
태양만 뜨겁게 작열하는 수성(Mercury)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등을 들 수 있다.수성에서 우리는 수십억년 전 격렬했던 소천체와의 충돌 때문에 생
긴
각종의 크레이터 분지 절벽 용암이 흐른 자국 등 수많은 표면 작용의 흔적을 볼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수성은 지질작용도 일어나지 않고, 충돌도 일어나지 않고, 대기도 없고, 용암도 흐르지 않는, 햇빛만 뜨겁게 ... ...
1.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못하기 때문에 그 개발을 자제해야 할 것이다.외국 소프트웨어의 한글화 작업만큼
긴
안목으로 봐서 우리나라 소프트웨어의 개발 기술 향상에 도움을 못주는 것이 이른바 '소프트웨어 한글'들이다. 최근 우후죽순처럼 나타난 소프트웨어 한글프로그램들은 한글 카드가 없는 컴퓨터에서도 한글 ... ...
블랙홀이 지구에도 있는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정상적인 블랙홀은 너무 천천히 증발되므로 현재까지의 우주의 역사보다도 엄청나게
긴
시간이 소요되어야 사라지게 된다.그러나 그 증발속도는 블랙홀의 질량이 작아지면서 점점 빨라진다. 미니 블랙홀은 평범한 블랙홀보다 훨씬 빨리 증발되고 그 속도가 가속화되면서 더욱 줄고 줄어 결국 남은 ... ...
동물한테 배우는 비만치료법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수 있는 에너지창고로서 생겨난 것이다. 반면 여성은 임신이나 출산 후의 몸조리를 위해
긴
기간동안 사용될 에너지창고가 필요했을 것이다."캘리포니아 대학의 그린우드박사의 말이다.효소 양으로 지방대사 조절그러나 복부 지방등의 급속한 신진대사가 너무 오래 지속되면 몸에 해로울 수 있다. ... ...
이전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