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기
오래
d라이브러리
"
긴
"(으)로 총 3,499건 검색되었습니다.
오키펀오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바닥이 마르는 다른 습지와는 달리 오키펀오키 습지는 1년중 10개월 이상 물에 잠겨 있다.
긴
침수기간(hydroperiod) 때문에 습지에는 깊이에 따라 지형과 식생이 어우러져 다양한 생태단위가 나타난다. 낮은 사구열(sand ridge), 초지, 늪으로 둘러 싸인 채 소나무와 활엽수가 촘촘히 자라고 있는 활 또는 ... ...
암호명 「타조알을 깨뜨려라」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길게는 10분 정도 물속에서 견딜 수 있다.한편 물사마귀는 꼬리에 붙은 빨대처럼 생
긴
긴
관을 수면 밖으로 내밀어 숨을 쉰다. 아가미를 통해 숨쉬는 곤충도 있다. 예컨대 실잠자리 애벌레의 꼬리 끝에는 물고기와 구조가 다른 아가미가 붙어 있다. (6) ③ 말미잘은 대표적인 강장동물인데 촉수에 있는 ... ...
슈퍼컴퓨터 만들기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분통을 터뜨리면서 거대기업 IBM의 구겨진 자존심을 세우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라고
긴
급 지시했다. 드디어 IBM이 CDC의 6600을 겨냥해서 알쏭달쏭한 성격의 X-프로젝트를 발표했다.CDC는 6600의 성공에 힘입어 새로운 모델 7600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7600은 곧바로 로렌스 국립연구소로 팔렸고 이후 1 ... ...
과학으로 풀어본 야구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1루주자는 투수가 투구동작을 할 때부터 1,2루간의 거리인 27.4m (약간의 리드가 있
긴
하지만)를 달리기 시작한다. 공이 날아가는 총 거리는 57.19m이고 사람이 달려야 하는 거리는 27.4m이므로 투수 포수의 동작이 특별히 굼뜨지 않는한 아무리 빠른 주자라 할지라도 도루에 성공하기 어렵다.2,3루간 ... ...
1만가지의 냄새를 어떻게 식별하나?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밝힌 냄새가 뇌로 전달되는 대략적인 과정.인간은 대개 5감중 시각을 가장 중요하게 여
긴
다. '몸이 1천냥이면 눈은 9백냥'이란 말도 그래서 나왔고 실제로 모든 정보의 80% 이상을 눈을 통해 받아 들인다. 그러나 원시적인 동물들은 시각보다 후각의 도움을 더 많이 받고 산다. 그들은 자신들의 작은 ... ...
어떤 망원경을 선택하나?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다른 빛은 매질을 통과할 때 굴절률이 다르다. 따라서 렌즈를 통과한 가시광선은 파장이
긴
빨간색과 파장이 짧은 보라색으로 분산된다. 결국 렌즈를 한번 통과한 상은 제대로 초점이 잡히지 않고 어른거리게 되는데 이를 색수차라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렌즈를 몇개 결합시켜 사용한다 ... ...
피자만드는 로봇 등장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세계 최초의 피자로봇이 금년 봄 미국 피츠버그시의 명물로 등장했다. 카네기 멜론대의 공학자들이 만든 이 피자 만드는 로봇은 그 제작동기부터 신선하다. 연구팀은 장애인들이 직 ... 로봇이 완성된 피자를 오븐 위에 올려놓으면 식당 종업원들이 이 피자를 손님들의 식탁위로 옮
긴
다 ... ...
1. 첨단과학기술의 경연장 「해양정보도시」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평지가 비교적 적은 우리나라지만 국토의 3배가 넘는 대륙붕, 총 연장 1만7천㎞에 달하는
긴
해안선과 3천개가 넘는 크고 작은 도서가 있으며 무한한 바다가 있는 것이다.해양에 거주시설을 만들거나 공항 항만 발전소 등을 건설하는 것은 해양공간이용의 한 방편이다. 주거장소의 건설위치에 따라 ... ...
타국 땅에서 그려 보는 조국의 밤하늘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우리의 천문학은 근세에 접어들면서 여타의 고유한 지(知)적 전통의 운명이 그러했듯
긴
잠에 빠지고 말았다. 하지만 바로 지금 이 순간 모두들 잠든 깊은 밤의 적막 속에서도 우리들의 자랑스런 과학의 뿌리를 되살리고자 일산과 관악산 소백산의 천문대를 지키는 젊은이들이 있음을 확신한다. 수백 ... ...
초정밀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길이 측정을 하기 위해서는 주파수가 안정돼 있고 간섭거리가
긴
가시광선이 적당하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것으로는 현재 레이저 광선이 가장 바람직하다. 1960년부터 출현한 레이저는 이제 과학기술 산업 의학 군사 등 모든 분야에 사용되고 있으며 측정 ... ...
이전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