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기
오래
d라이브러리
"
긴
"(으)로 총 3,499건 검색되었습니다.
4 고함소리의 1백억 배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여러회전기계에서 발생)가 한강변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되돌아와 아파트에 균열이 생
긴
사례가 있었다. 마찬가지로 여의도 쌍둥이빌딩이 생김으로써 바로 이웃인 공작아파트에 영향을 미쳤다. 이 두가지 예는 대형 건물로 인해 초저주파에너지가 반사돼 건물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 대표적인 ... ...
한여름밤의 꿈, 은하산책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IC5146이다. 이것은 산개성단 M39의 동남동 약 4° 떨어진 7등성 곁에 놓여있다. 희미하고 성
긴
산개성단 주위의 정체 모를 빛같이 느껴지는 코쿤은 궁수자리의 삼렬성운처럼 암흑대가 성운을 나누고 있다. 불행히도 12인치 이상의 대구경 망원경으로만 이들 모습을 살펴 볼 수 있다.코쿤은 버나드 168로 ... ...
슈퍼컴퓨터 만들기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분통을 터뜨리면서 거대기업 IBM의 구겨진 자존심을 세우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라고
긴
급 지시했다. 드디어 IBM이 CDC의 6600을 겨냥해서 알쏭달쏭한 성격의 X-프로젝트를 발표했다.CDC는 6600의 성공에 힘입어 새로운 모델 7600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7600은 곧바로 로렌스 국립연구소로 팔렸고 이후 1 ... ...
피자만드는 로봇 등장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세계 최초의 피자로봇이 금년 봄 미국 피츠버그시의 명물로 등장했다. 카네기 멜론대의 공학자들이 만든 이 피자 만드는 로봇은 그 제작동기부터 신선하다. 연구팀은 장애인들이 직 ... 로봇이 완성된 피자를 오븐 위에 올려놓으면 식당 종업원들이 이 피자를 손님들의 식탁위로 옮
긴
다 ... ...
1만가지의 냄새를 어떻게 식별하나?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밝힌 냄새가 뇌로 전달되는 대략적인 과정.인간은 대개 5감중 시각을 가장 중요하게 여
긴
다. '몸이 1천냥이면 눈은 9백냥'이란 말도 그래서 나왔고 실제로 모든 정보의 80% 이상을 눈을 통해 받아 들인다. 그러나 원시적인 동물들은 시각보다 후각의 도움을 더 많이 받고 산다. 그들은 자신들의 작은 ... ...
1. 첨단과학기술의 경연장 「해양정보도시」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평지가 비교적 적은 우리나라지만 국토의 3배가 넘는 대륙붕, 총 연장 1만7천㎞에 달하는
긴
해안선과 3천개가 넘는 크고 작은 도서가 있으며 무한한 바다가 있는 것이다.해양에 거주시설을 만들거나 공항 항만 발전소 등을 건설하는 것은 해양공간이용의 한 방편이다. 주거장소의 건설위치에 따라 ... ...
혈액제제의 작용과 부작용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등에게 적용한 동물실험에서는 합격점을 받아놓은 상태.사람의 혈액보다 수명도 훨씬
긴
이 대용혈액은 몇가지 기술적 난관을 극복해야 얻을 수 있다. 첫째 몸안에서 거부반응을 일으키지 않고 어떠한 독성도 유발하지 않도록 헤모글로빈을 고도로 정제해야 한다.둘째 헤모글로빈의 분자구조가 ... ...
과학으로 풀어본 야구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1루주자는 투수가 투구동작을 할 때부터 1,2루간의 거리인 27.4m (약간의 리드가 있
긴
하지만)를 달리기 시작한다. 공이 날아가는 총 거리는 57.19m이고 사람이 달려야 하는 거리는 27.4m이므로 투수 포수의 동작이 특별히 굼뜨지 않는한 아무리 빠른 주자라 할지라도 도루에 성공하기 어렵다.2,3루간 ... ...
어떤 망원경을 선택하나?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다른 빛은 매질을 통과할 때 굴절률이 다르다. 따라서 렌즈를 통과한 가시광선은 파장이
긴
빨간색과 파장이 짧은 보라색으로 분산된다. 결국 렌즈를 한번 통과한 상은 제대로 초점이 잡히지 않고 어른거리게 되는데 이를 색수차라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렌즈를 몇개 결합시켜 사용한다 ... ...
타국 땅에서 그려 보는 조국의 밤하늘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우리의 천문학은 근세에 접어들면서 여타의 고유한 지(知)적 전통의 운명이 그러했듯
긴
잠에 빠지고 말았다. 하지만 바로 지금 이 순간 모두들 잠든 깊은 밤의 적막 속에서도 우리들의 자랑스런 과학의 뿌리를 되살리고자 일산과 관악산 소백산의 천문대를 지키는 젊은이들이 있음을 확신한다. 수백 ... ...
이전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