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앞발
주먹
도움
손바닥
약혼
sone
so’n
d라이브러리
"
손
"(으)로 총 5,21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세상'으로 소풍오세요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최초의 카메라라고 알려진 ‘옵스큐라’를 종이와 송곳, 볼록렌즈로 직접 제작한다.
손
과 발을 움직여 과학원리를 배울 수 있는 셈이다.과학과 쉽게 친해질 수 있는 ‘놀이터’에서는 ‘과학으로 만나는 김치’가 눈에 띈다. 이 코너에서는 하루에 3번 이상은 꼭 먹는 김치에 숨은 발효의 과학을 ... ...
3. 스트레스가 약이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마비된다. 즉 심장이 허혈(虛血) 쇼크에 빠진다는 말이다. 이런 심근경색은 심장근육이
손
상될 수 있는 엄청난 스트레스다. 심장도 예열해야 건강해 경주용 자동차도 미리 엔진을 예열해야 순간 큰 힘을 내듯, 심장도 ‘워밍업’을 하면 큰 충격을 이겨낼 수 있는 힘이 생긴다. 이를 ... ...
조향사, 전자코와 한판 승부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후각을 회복할 수 있다. 하지만 머리에 충격을 받아 뇌의 후각구나 코의 신경세포가
손
상된 환자는 치료하기가 쉽지 않다.건국대 의대 이비인후과 홍석찬 교수는 “사고로 머리를 다치면서 냄새를 못 맡게 된 경우 드물게는 몇년 뒤 신경이 다시 이어지며 후각이 되돌아오기도 한다. 하지만 현재로는 ... ...
조선시대 천문학 스파이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수 없었다.하지만 조선은 나름대로 독립국이라 자부했으므로 서양천문학을 배워 자기
손
으로 달력을 만들고 싶어 했다. 이런 모순적인 상황 때문에 조선은 청나라에서 서양천문학 지식을 몰래 빼내오는 ‘천문학 스파이’가 필요했다.조선에서는 관상감의 천문관 중에서 우수한 사람을 동지 때마다 ... ...
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나는 일어서서 래빗이 내민 핀을 뒷머리에 꽂았다. 핀은 보기보단 무거웠다. 그리고 왼
손
을 뒤로 돌려 더듬이를 시키는 대로 움직였다. 그러자 갑자기 더듬이 끝에서 붉은 빛이 쏟아지면서 내 몸 전체를 감쌌다. 가상의 옷을 한 겹 더 껴입은 기분이었다.“T! 이쪽이오.” 집무실이 차려진 입체영상 ... ...
과학 행사 평정 비법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즉 동체를 잘 다듬는 일이랍니다. 휘지 않았는지 잘 살펴보고 만약 휜 부분이 있다면
손
으로 살살 바로 잡거나 사포를 이용해 균형을 잘 맞춰 봅니다. 다 만들고 나서 날개에 물을 뿌리는 친구들이 많아요. 물이 마르면 날개는 팽팽해지지만 날개의 뼈대와 동체는 뒤틀려요. 결국 균형이 안 맞아 잘 ... ...
인간이 서서 걷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나왔다. 미국 워싱턴대 허만 폰처 교수팀은 인간과 침팬지를 비교 실험해 이족보행이
손
이나 팔 관절을 땅에 끌면서 걸을 때보다 신체 에너지 소모량이 25%나 적다고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7월 16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침팬지 5마리에게 두발로 걷도록 훈련을 시켰다. 그 뒤 인간과 함께 ... ...
피스토리우스의 올림픽 출전을 둘러싼 논란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녹지 않는다부신피질호르몬 작용, 특히 당질 코르티코이드 작용이 강하다히드로코르티
손
6배의 항염증 작용이 있다류머티즘성 관절염 · 알레르기성 및 염증성 안질환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 바르비툴산계의 속효성 최면제 무색 · 무취의 백색결정, 또는 결정성 분말이며 녹는점은 145~147℃이다 ... ...
PART1 비교체험 KAIST vs. 포스텍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가기 위해서였다. 미술의 ‘미’자도 몰랐고 예체능 과외 한번 받은 적 없지만 내
손
으로 자동차를 만들겠다는 꿈 하나로 도전했다.1986년 KAIST는 당시 이공계 대학으로서는 국내 최초로 산업디자인학과를 만들었다. 설립 20년만인 2006년 10월에는 미국의 경제주간지 ‘비즈니스위크’가 선정한 ... ...
북두칠성 미자르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묶여 이중성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미자르는 이중성 연구의 ‘보물창고’라고 불러도
손
색이 없을 만큼 천문학의 이중성 연구 역사에서 최초 타이틀을 여러개 갖고 있다.미자르의 동반별은 1650년에 발견됐다. 이탈리아의 천문학자인 지오반니 리치올리는 망원경으로 미자르와 알코르를 ... ...
이전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