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앞발
주먹
도움
손바닥
약혼
sone
so’n
d라이브러리
"
손
"(으)로 총 5,21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이 예술에 빠졌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마크 맥고완 씨는 미오신이 ATP라는 에너지를 사용해 액틴 같은 필라멘트를 움직이고,
손
에 있는 수조 개의 필라멘트가 야구공을 바닥에 떨어지지 않도록 잡는다는 내용을 사실적으로 표현했다.사진 부문_공동 1등 콧속에는 무엇이 있을까카이훙 펑 | 중국 파멜라유드니더슬이스턴 병원우주에서 ... ...
춤추는 분자의 동영상 찍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학문은 어쩌면 차기 과학혁명을 이끌 새로운 ‘도구’일지도 모른다. 이 놀라운 도구를
손
에 쥔 조민행 교수는 포스트게놈시대의 주역으로 주목받는 단백질 분자 연구에서 생명의 비밀 캐기에 여념이 없다.조 교수는 서울대 화학과에서 석사를 마친 뒤 미국 시카고대에서 물리화학으로 박사학위를 ... ...
명예기자가 과학을 말로 재미있게 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쓰레기 소각장에서 보니까 아직 분리수거하는 기계가 없어서 일일이
손
으로 분리하느라
손
이 상처투성이인 걸 봤어요. 분리수거하는 기계를 발명하면 좋겠어요. 또 한 가지 환경 지키는 노하우는 환경일기를 쓰는 거예요. 환경일기를 쓰면서 내가 환경을 열심히 지키고 있는지 반성도 할 수 있고 글 ... ...
'시력' 좋은 컴퓨터 스크린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1cm 떨어진
손
의 움직임까지 읽어낸다. 또 한번에 여러 개의
손
가락을 인식할 수 있어 두
손
으로 조작이 가능하다.신사이트의 비밀은 LCD 패널 뒤쪽에 자리 잡은 광센서 층. 격자무늬로 배열된 광센서는 적외선을 방출한 뒤 스크린 앞에 놓인 물체에 반사된 적외선을 인식하는 방법으로 스크린 ... ...
한국인의 돌연사를 막아라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말했다.경동맥은 심장에서 뇌로 가는 동맥이다. 귀 아래의 턱과 목이 만나는 부분에
손
을 대보면 맥박이 뛰는 부위가 있는데 그곳이 경동맥이 지나는 길이다. 경동맥의 혈관벽은 가장 안쪽부터 내막, 중막, 외막으로 나뉘는데 내막에 지방이 침투하며 동맥경화가 진행돼 내막과 중막(내중막)이 점점 ... ...
시력 9.0의 진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가능성이 크다. 또 좋은 시력을 가진 사람만이 생존경쟁에서 살아남아 그 형질을 후
손
에게 전했기 때문에 현재 모겐족 대부분이 좋은 눈을 갖게 됐을 것이다 ... ...
그녀에게 자꾸만 끌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내 곁에 있어줘서. 사랑해.”얼마 전 막을 내린 한 드라마에서 무릎을 꿇은 채 반지를
손
에 들고 프러포즈를 하던 여주인공의 모습은 매우 인상적이었다. 부모의 반대를 무릅쓰고 결혼했지만 둘은 오래오래 행복하게 잘…, 살았을까.평생을 함께 하겠다는 굳은 혼인서약과 엄청난 노력에도 불구하고 ... ...
젊은 운동선수 노리는 '암살자'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때의 양 단위는
손
lkHz, 40dB의 소리를 1
손
이라 하고, 그 소리의 2배의 감각인 소리를 2
손
이라는 척도가 정해져 있다진동수와도 관계가 있고 옥타브띠의 백색잡음에 관여하는 [그림]에서 각 곡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다 소리가 벽이나 매질 등에 의해 흡수되는 현상 벽 등이 음파를 흡수하는 정도는 ... ...
모든 병은 '페트'로 통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기술이다. 그 결과 고온에서 웰빙 음료의 내용물을 담을 때 일어날 수 있는 맛과 향의
손
실을 최대한 줄였고 일반 페트병을 쓸 수 있게 됐다.기체가 드나드는 것을 좀 더 확실하게 차단하는 페트병도 나왔다. 2003년 효성은 국내 최초로 다층 페트병을 개발해 1.6리터 하이트 맥주병으로 공급하고 있다. ... ...
물고기자리 춘분점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8만4400km로 이때 달의 겉보기 크기는 대략 30′(분, 1°=60′)이다. 한
손
을 쭉 뻗었을 때 엄지
손
톱으로 다 가릴 수 있을 정도다.하지만 10월 26일 달과 지구의 거리는 37만6000km로 조금 더 가까워진다. 이때 보이는 보름달은 시직경이 33′28″(초,1′=60″)로 올해 볼 수 있는 보름달 가운데 가장 크다. . ...
이전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