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뉴스
"
큰
"(으)로 총 14,560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민 20명 중 19명 코로나19 항체 가져...자연감염 항체 석달새 0.6%→36%
동아사이언스
l
2022.06.14
241명 15.0%로 나타났다. 월별로 보면 S항체양성자는 1월 93.2%, 2월 95.8%, 3월 95.8%, 4월 94.7%로
큰
변화가 없었으나 N항체양성자는 1월 0.6%, 2월 2.5%, 3월 16.5%, 4월 36.1%로 오미크론 유행과 함께 크게 늘었다. 이번 조사는 월별로 조사 지역이 다르고 규모도 적다는 점이 한계로 꼽힌다. 또 대상자의 연령이 10세 ... ...
"중장년층·호흡기질환자 '롱코비드' 위험…폐렴백신 접종 권고"
연합뉴스
l
2022.06.14
정 교수에 따르면 호흡기 기저질환이 있고 나이가 많을수록 롱 코비드의 위험이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45∼69세 중장년층 코로나19 환자의 경우 롱 코비드 위험이 평균의 4.4∼4.5배라는 해외 연구 결과도 있다. 그는 "코로나19 후유증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의 입원 이유 1위는 호흡기 감염인데 ... ...
"온실가스 안 줄이면 금세기말 극한 강수량 최대 78% 증가 전망"
동아사이언스
l
2022.06.14
분석결과’를 공개했다. 분석은 환경부 수자원 단위지도의 21개 대권역 중 가장 면적이
큰
한강 유역과 낙동강 유역을 세분화한 26개 대권역을 대상으로 했다. 권역별로 극한 강수량의 ‘100년 재현빈도’를 따졌다. 재현빈도는 극한 강수량이 나타날 것으로 예측되는 기간으로 100년 재현 빈도는 10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명의 기원 수수께끼 풀리나
2022.06.14
초기 지구에서 ‘누군가’의 도움 없이 RNA 가닥이 만들어질 수 있음을 보인 것만으로도
큰
성과다. ○ 운반RNA에 남겨진 흔적 그러나 RNA 세계 가설의 가장 결정적인 한계는 RNA가 자신의 기능을 DNA와 단백질로 넘기는 과정을 여전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유전 정보(염기 서열)는 DNA에게, ... ...
누리호 발사 센 바람 때문에 하루 연기…"이송제한 기준엔 못미치지만 안전 위해 결정"
동아사이언스
l
2022.06.14
나로우주센터의 평균 풍속은 초속 최대 4m를 넘지 않을 것으로 전망돼 누리호 이송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발사 예정시각인 16일 오후에는 초속 7m의 바람이 불 것으로 예보됐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 발사를 앞두고 13일 오후 전남 고흥군 봉래면 나로우주센터 과학관 ... ...
코로나19로 잃은 후각 찾기 프로젝트 시동 걸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4
3월 미국 이비인후과 저널에 공개된 연구에 따르면 염증을 줄이는 스테로이드 치료제는
큰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광범위한 염증을 유발하는 만큼 염증을 억제하는 스테로이드를 통해 후각 회복을 기대했지만 결과가 신통치 않았던 것이다. 코로나19 환자 자신의 ... ...
아내의 충격적 이발 실력
팝뉴스
l
2022.06.13
머리를 맡겨야 했다. 그런데 머리를 다 깎은 후에 아내의 태도가 의심스러웠다. 뭔가
큰
잘못을 했는데 숨기려는 그런 분위기였다. 거울을 본 남자는 충격에 빠졌다. 그대로 둘수는 없고 삭발을 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 ...
안개와 이슬에서 전기 얻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3
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됐다. 그러나 지금까지 개발된 물방울 기반 발전기는 100μL 이상의
큰
물방울이 있어야만 전기를 얻을 수 있어 활용도가 떨어졌다. 연구팀은 표면이 물에 젖지 않는 연잎의 미세 구조를 도입해 빗방울 크기인 6μL 부피 물방울로도 전기를 얻어내는 데 성공했다. 연잎은 표면이 ... ...
[누리호 타고 우주로]②초소형위성 최초 지상 촬영 도전하는 '랑데브'
동아사이언스
l
2022.06.13
방 교수는 “큐브위성은 아무 때나 발사체의 남는 공간에 실어 발사할 수 있는게 가장
큰
장점”이라며 “위성개발은 일정 지연 요소가 늘 있는 만큼 신뢰성 확보가 가장 중요한데 일정을 맞추도록만 하면 이벤트에 머물 것”이라고 말했다. 우주 선진국들은 큐브위성을 우주기술 검증의 장으로 ... ...
수소 대규모 운반기술 상용화할 촉매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2
촉매 성능이 유지된다”고 설명했다. 손현태 선임연구원은 “기존 LOHC의 공정의 가장
큰
문제였던 부산물의 양을 줄여 반복적인 추출 공정이 가능해졌다”며 “제작 중인 대용량급 LOHC 수소 저장 추출 시스템 시제품에 바로 적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어플라이드 ... ...
이전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