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공장의 환경과 생산속도 등을 조절하는 ‘스마트 공장’이 대표적이다. 인공지능이 큰 역할을 하리라 기대하는 부분 중 하나는 에너지 관리다. 실제로 ‘알파고’ 시리즈를 개발한 구글 딥마인드는 알파고의 알고리즘을 자사 데이터 센터에 접목해 데이터센터 구동에 필요한 전력량을 40% 줄였다 ... ...
- [Origin] 유럽의 ‘빛 공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거대한 영구자석을 만나 좌우로 진동하면서방사광을 만들어낸다. 이때 나타나는 가장 큰 장점은 빛이 덜 퍼진다는 점이다. 3세대 방사광가속기에서 나오는 빛이 백열구의 빛이라면, 4세대 방사광가속기에서 나오는 빛은 레이저에 비유할 수 있다. E-XFEL 단입자·클러스터·생체분자(SPB) 연구소에서 ... ...
-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지나고 있어 추락은 곧 재난이 될 수 있다. 역사상 가장 큰 우주 비행체가 역사상 가장 큰 우주 쓰레기로 전락할 수 있다(아래 사진). 그렇다면 ISS를 조각조각 분해해 지구로 회수하면 어떨까. 현재까지 인류가 수명이 다한 인공위성이나 우주망원경 등 우주 물체를 우주 공간에서 해체해본 경험은 ... ...
- [Issue] 국내 첫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미 다 쓴 부재보다는 복원된 문화재에 더 큰 관심을 쏟기 때문이다. 하지만 강 팀장의 생각은 달랐다. 그는 재료를 마감하는 법이나 건축 역사를 후대에 전승하기 위해서는 분해된 부재를 두고두고 연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내용은 ... ...
- [인터뷰] 상위 1%, KAIST 총장장학생 오현창, 1등 비결이요? 실패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정용원 KAIST 화학과 교수 연구실에서 단백질 연구에 참여한다. 단백질은 DNA에 의해 큰분자로 조립된 뒤 로봇처럼 여러 가지 일을 하는데, 어떻게 조립되는지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오 씨는 “고등학교 때 R&E에 실패했던 일이 오히려 이후 성적 향상의 계기가 됐다”며 “실패가 힘을 낼 수 ... ...
- [Future] 뒤로 공중돌기 완벽 성공, 너의 이름은 아틀라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기름을 압축한 힘으로 피스톤을 움직이는 방식이다. 굴착기, 크레인 등 순간적으로 큰 힘을 내는 장비에 주로 사용된다. 아틀라스처럼 다이내믹한 동작이 가능한 로봇에도 유압식이 유리하다. 전기모터식 손에 유압식 다리 결합한국생산기술연구원도 유압식 로봇을 개발하고 있다. 조 ... ...
- [Culture] 우리 개가 자꾸 똥을 먹어요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식분증이라면 문제행동이 아닌 정상적인 행동입니다. 하지만 반려인의 입장에서는 큰 골칫거리죠. 그렇다면 개의 이런 행동을 참고 견디는 게 좋은 방법일까요? 우리 개가 어떤 이유로 똥을 먹는지를 우선 이해해야 합니다. 질병에 의한 것인지, 사료가 잘 맞지 않는 것인지, 지루한 것인지 등 ... ...
- [Origin] 롯데월드타워의 시간은 빨리 흐른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빨라졌다. 450m 도쿄 스카이트리 전망대 실험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이다. 중력이 큰 곳일수록 시간은 느리게 흐른다. 즉, 지면에서 멀어질수록 중력은 작아지고, 그만큼 시간은 빨리 간다. 우리가 느끼지 못할 만큼 아주 작지만, 이론적으로 시간은 분명히 빨라진다. 그런데 최근 일본에서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관찰하라고 권한다. 대변은 자연계를 구성하는 하나의 작은 부분일 뿐이지만 세상이라는 큰 그림의 일부를 엿볼 수 있을 것이다. 책은 맨 마지막까지 대변에 대한 관심을 놓지 않는다. 동물 대변의 모습을 형상화한 일러스트로 ‘대변 도감’을 만들었다. 어른들이 왜 소화제를 보고 ‘염소 ... ...
- [Career] ‘전자약’으로 노화 걱정 덜어드립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받는 편이었어요. 하지만 지금 돌아보니 오히려 다양한 경험이 지금의 연구를 하는 데 큰 도움이 된 것 같아요. 시간이 걸리더라도 다양한 경험을 해 보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 ...
이전3133143153163173183193203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