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장
발전
발육
진보
진화
향상
생장
d라이브러리
"
발달
"(으)로 총 3,776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진 예측의 새로운 가능성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고도로
발달
한 현대에도 인간의 마음대로 하지못하는 것이 자연재해다. 그중에서도 방지는 커녕 예측도 제대로 못해 항상 '닭 쫓던 개 지붕쳐다 보는 격'이 됐던 것이 지진이다. 지난해에도 이란에서 진도 7.7의 강진이 발생해 수만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지진계가 설치돼 있고 ... ...
침묵의 바다를 깨우는 로봇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해저유전을 찾는 일에 뛰어들었고 이를 통해 로봇의 성능은 급속히 발전했다. 기술
발달
은 가격인하도 가져와 60년대만해도 대당 수천만달러에 이르던 가격이 80년대 들어서는 수십만달러 수준으로 떨어졌다.약탈에 가까운 해저탐험지금까지 심해용 로봇은 추락한 비행기의 본체를 찾고, 끌어올려 ... ...
2. 퍼스널 컴퓨터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이용이 활발해짐에 따라 컴퓨터의 시장규모는 날로 확대되었다. 과학기술의
발달
은 컴퓨터의 성능을 개선시켰으며 가격은 반대로 낮아졌다.IBM과 클론업체1971년 세계최초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인텔404의 개발과 1970년 IBM의 8인치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FDD)개발을 기점으로 하여 컴퓨터 기술은 ... ...
비(非)과학 속의 과학─천하도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지식을 적용 또는 첨가해 가는 과정을 통해 볼 때 천하도는 오랜 세월에 걸쳐 진화
발달
해 온 것이다. 중국적인 세계관을 수용해 한국에서 지도화(地圖化)했을 가능성이 가장 크다."이 천하도의 한 가운데 있는 대륙은 1402년의 세계지도인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가 만들어지기 전에 존재했던 중국 ... ...
앵무새보다 흉내를 더 잘내는 구관조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필리핀을 제외한 나머지 섬들에 널리 분포돼 있다. 물론 지역에 따라 육수의
발달
정도와 몸집의 크기가 다르다. 따라서 몇가지의 아종(亞種)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모든 찌르레기과(科)의 조류중에서 사람의 말을 가장 잘 흉내내는 놈이 바로 구관조다.도둑을 내쫓기도구관조는 앵무새 중에서도 ... ...
PARTⅠ 2000년대를 내다 본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생명현상을 하나씩 연구하는 방법을 주로 활용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여러 기술의
발달
에 힘입어 인간이 가진 유전정보(유전물질) 모두를 판독하자는 연구계획이 세워졌다. 바로 게놈프로젝트다. 이 계획은 미국을 비롯해 전세계가 공동참여하는 국제적 협동과제로 제안됐다. 우리나라도 이 ... ...
암과 AIDS를 번쩍 들어 올릴 수도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불구하고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가 제기되었다. 유전자를 악으로당시 급속한 유전공학의
발달
에 많은 사람들이 두려움을 느끼고 있어 논란은 더욱 커졌다. 결국 클라인박사의 연구팀은 해체되고 미국립보건원은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유전자요법 시도요건을 한층 강화했다. 클라인박사의 첫 ... ...
PARTⅤ 한국 유전공학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서울대 총장인 조완규박사였다.이어 84년에 유전공학육성법이 국회를 통과했고 85년에는
발달
사에 큰 획을 긋는 유전공학센터가 설립되었다. 실제로 이때까지는 대단한 붐을 이뤘다. 유전공학자가 결혼대상 0순위로 선정될 정도였고, 유전공학 간판만 걸면 우수한 학생들이 모여 들었다. 마치 금방 ... ...
생체냉동 청원 기각한 미국 병원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더 이상 자신의 병을 치료할 수 없게되자 그는 냉동인간으로 잠자고 있다가
발달
한 미래사회에 깨어나 수술받는 방법을 택했다.그가 현행법을 어기면서까지 생체냉동을 고집하는 이유는 자신이 더 살아봤자 뇌세포만 파괴돼 미래의학으로 수술을 받을 경우 성공할 확률만 떨어뜨린다는 데 있다 ... ...
가속기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매달리는 빅사이언스(big science)때문"이라고 말한다. 빅사이언스 때문에 전통적으로 과학
발달
을 주도해 온 스몰사이언스(small science)가 해를 입었다는 주장. 미국내의 이러한 반론을 잠재우기 위해 우리나라를 참여시키는 측면도 있다.그러나 이것은 미국에서 제기될 수 있는 반론. "가속기에 관련된 ... ...
이전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