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장
발전
발육
진보
진화
향상
생장
d라이브러리
"
발달
"(으)로 총 3,77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뚝 선 메히코의 피라미드 나우아 문명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이곳에 거대한 조각기념탑들을 세웠다. 뿐만 아니라 그는 금 은 동 등 금속의 사용법을
발달
시켰고 건축술도 크게 장려했다. 큰 건물의 기둥 책상 왕좌 등의 다리를 조각물로 만들고 지주를 이용, 건물을 크게 짓고 내부를 넓게 확보하기 시작했다. 때로는 원형의 건물을 짓기도 했다. 아울러 멕시코 ... ...
풀어쓰는 컴퓨터역사① 셈의 기원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오랫동안 전인류의 사랑을 받아왔다.다음호에는 보다 체계적인 기계식 계산장치의
발달
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그 장치의 개념들이 어떻게 현대의 컴퓨터 설계에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자 ... ...
3. 미사일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로켓공학 전자기술 정밀기계공업 사이버네틱스 등 미사일 제조와 관련된 공학기술의
발달
은 미사일을 '더 멀리, 더 정확한 지점'으로 쏘아 보낼 수 있게 했다. 원래 투창이나 화살 총포 등 '날아가는 무기'들 모두를 일컫는 말인 미사일은 목표물을 겨냥하고 난 뒤에야 발사되는 총기류나 포탄과는 ... ...
PARTⅠ마이크로파에서 레이저과학으로 첨단과학에 빛을 더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반도체가 기존의 진공관을 대체하면서 급기야는 소형통신기 라디오 등 전자과학의
발달
을 유도하게 되었던 것이다. 반도체 공학이 오늘날 컴퓨터 문명의 기초를 이루게 되어 20세기말의 컴퓨터를 이용한 정보화 시대의 도래를 눈앞에 두고 있다. 레이저와 컴퓨터2차 세계대전이 종료된 이후 195 ... ...
의족보행자도 슬라이딩을 할 수 있다 정신적 위안까지 제공하는 「촉감시스템」등장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가벼운 물질을 사용하고 또 굽힘성이 큰 소켓을 널리 활용하고 있다. 최근 의수 의족의
발달
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데 미국 뉴욕에 위치한 정형스튜디오의 카를로 마라노는 샤워를 하거나 수영을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스윔 림(Swim Limb)이라는 완전방수의족을 선보이기도 했다. 물론 이처럼 ... ...
가장 밝고 푸른 '사랑의 여신' 금성(Venus)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1961년까지도 금성의 자전주기가 얼마인지 정확히 알지 못했다. 그러나 레이더 기술이
발달
하면서 금성으로 발사된 레이더 전파의 도플러 이동(doppler shift)을 이용해 금성의 자전주기를 알아낼 수 있었다. 금성은 기대했던것 보다 자전 속도가 아주 느려서 243.01일에 한번 자전하고, 자전 방향도 지구 ... ...
1. 컴퓨터음악의 역사-전위음악에서 대중화로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이들의 작업은 자연스레 컴퓨터 발생음과도 연결되었으며 결국 컴퓨터 음악기술의
발달
을 촉진시켰다.1967~69년 존 케이지는 르야렌 힐러의 도움으로 얻은 난수열을 그의 우연성 음악에 사용하기도 했다. 힐러는 많은 작곡용 서브루틴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후에 이것들은 그의 '일리악 모음곡'(1957 ... ...
찌르레기 둥우리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따르면 새들이 잎을 찾아낼 때는 거의 후각에 의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감각은 항상
발달
해 있는 것이 아니라 어린새들의 부화시기에 맞춰 잠깐 최고의 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때 찌르레기의 코는 '마치 쥐의 코처럼' 예민해지는 것이다 ... ...
보이지 않는 전선(戦線)에 서서 지금 유학현장에서는…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거의 동시에 발표돼 선풍을 일으켰다. 그후 이 homeobox gene sequence를 이용해 수많은 새로운
발달
조절유전자들이 발견됐으며, 놀라운 속도로 연구가 진행돼 나가고 있다. 필자는 이 발견후 예일대학의 교수로 와있는 맥긴스의 연구실에 소속돼 이 분야에 관한 연구를 해오고 있다.이외에도 호르몬, ... ...
갈릴레이를 부끄럽게 한 기체 온도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이렇게 오랜 세월이 걸린 이유는 확실하지는 않지만 유리기구를 만드는 기술이
발달
하지 못해서인 것 같다. 그러나 옛날에도 '뜨거운 정도' 나 '차가운 정도'를 눈대중으로 알아내는 경우가 많았다. 강이나 호수의 물이 얼 정도로 춥다든지 날씨가 따뜻해지면 강물도 풀린다든지 하는 것을 알고 ... ...
이전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