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같은시간"(으)로 총 9,560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이젠 그만 깨고 싶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최근 인기 가수 ‘엠블렉’의 멤버 지오가 자신이 기면증을 앓고 있음을 고백했다. 그는 “노래를 듣다가 잠들 뿐만 아니라 고음 부분을 노래하다가 잠들기도 한다”고 말해 화제를 모았다.기면증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갑자기 잠에 빠지는 질환이다. 정신을 집중해서 공부나 일을 해야 하는 ... ...
- 제2기 독자기자단, 카이스트로 수학여행을 떠나다!수학동아 l2013년 12호
- 2013년, 다사다난했던 한 해도 점점 마무리돼 가고 있다. 독자기자단도 얼마 남지 않은 활동의 마무리를 앞두고 한자리에 모이는 시간을 가졌다. 장소는 바로 수학과 입학을 꿈꾸는 학생이라면 누구나 가고 싶어하는 카이스트 수리과학과와, 우리나라 우주과학 연구의 심장인 한국항공 ... ...
- [life & Tech] 동물은 어떻게 커플이 되었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30년간 모태솔로인 김주황 양. ‘혼자서도 잘해요’ + ‘내 아이돌만큼 멋진 남자는 없어!’라는 철학으로 무장한 만큼 단풍 구경도 혼자 떠났다. 그런데 이게 웬걸. 가는 장소마다 쌍쌍이 붙어 있는 것이 아주 눈꼴이 시리다. 사람만이 아니다.커플 사이에서 혼자 멀뚱하게 서 있는 김주황을 비웃는 ... ...
- [life & Tech] 설탕과 펙틴이 만나면 과일이 끈적끈적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아주 오래 전 냉장고가 없던 시절에는 과일을 오랫동안 보관할 수가 없었어요. 그런데 4세기 그리스 사람들은 귤과 비슷한 과일인 마르멜로를 오랫동안 저장하는 방법을 생각해냈지요. 마르멜로를 잘게 썰어서 꿀에 재우는 것이었어요. 농도를 높이면 과일에 살고 있던 세포가 수분을 모두 잃어버 ... ...
-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누구나 바이오인포매틱스(생명정보학)를 쓸 수 있게 하자.” 생명과학 벤처회사 ‘천랩’의 창업자이자 대표인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의 모토다. 세상에서 가장 바쁜 직업 중 하나인 교수가 역시 세상에서 가장 바쁘고 도전적인 일인 벤처 기업을 만들었다는 사실도 신기하지만, 무엇보 ... ...
- 좋아하면서 동시에 성장할 수 있는 일을 직업으로 삼아라 (노준용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스크린에서는 모든 게 가능하다. 거대한 외계 우주선이 지구를 침공해 닥치는 대로 도시를 파괴하기도 하고, 판타지 세계의 기기묘묘한 풍경과 생물이 실제 있는 것처럼 생동감 있게 나타나기도 한다. 현실에서 일어나기는 하나 촬영하기 어려운 장면이 현실감 있게 펼쳐지기도 한다.노준용 교수는 ... ...
- 소년이여, 네 멋대로 해라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서울시 서대문구청 뒤로 올라가면 3층짜리 큰 건물이 하나 있다. 그 앞은 늘 어린이와 청소년, 어머니들로 북적인다. 2003년 문을 열어 올해로 10년째를 맞은 서대문자연사박물관이다. 현재 박물관을 이끌고 있는 선장이 바로 이정모(50) 관장이다. 박물관이 문을 닫기 직전에 이 관장을 찾아갔다. 다음 ... ...
- PART 2. 생리의학상 - 신속 정확 세포 택배회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이번에 노벨 생리의학상이 발표된 뒤, ‘네이처’가 가장 먼저 인터뷰한 사람은 빌 위크너라는 과학자였다. 미국 다트머스대에 있는 필자의 지도교수인데 세 명과 두루두루 친분이 많았다. 덕분에 필자도 수상자들을 직접 만나거나 이야기를 자주 들었다. 그러나 보니 사생활도 조금 들었는데 공교 ... ...
- 오직 근육의 힘으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새벽 공기에 성큼 다가온 가을이 느껴지던 10월 4일, 전남 고흥에서 ‘제1회 인간동력항공기경진대회’가 열렸다.대학 8개 팀과 고등학교 2개 팀, 그리고 항우연 시범기 1개 팀 등 11개 팀이 지난 1년간 공들여 만든 인간동력항공기를 선보였다.하루 동안 ‘인간 엔진’이 된 조종사들은 이를 악물고 ... ...
- 70억 인류 정말 한가족일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오늘은 인류학에서 가장 예민하고 논쟁이 많은 주제를 다루려고 합니다. 바로 인종입니다. “세계의 인류는 모두 하나의 종이며 인종은 그저 편견에서 비롯됐다고 다 밝혀졌는데, 철 지난 문제가 아닐까”라고 생각할지도 모르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아직도 이 주제는 뜨거운 논란을 낳고 있으며, ... ...
이전3133143153163173183193203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