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같은시간"(으)로 총 9,560건 검색되었습니다.
- 물놀이 안전, 명예기자가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5호
- 야호~! 드디어 우리가 기다리고 기다리던 여름방학이야! 방학을 맞아서 이번 취재 장소도 워터파크! 신난다~!파도풀에 미끄럼틀까지 정말 재밌겠다~. 워터파크로 취재간다는 얘기를 듣고 내가 얼마나 기대했다고!수영복도 갈아입었고 구명조끼도 잘 입었지?당연하지! 이제 얼른 물에 들어가서 놀 ... ...
- 명예탐정, 사라진 ‘꿀벌’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꿀벌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 꿀벌은 우리가 먹는 작물의 70%가 넘는 양의 수분을 돕기 때문에 꿀벌이 사라지면 심각한 식량문제가 발생한다. “사건이다~!” 재빈은 일일 명예기자이자 셜록홈즈를 잇는 명탐정이다. 사람들은 재빈을 ‘명예탐정’이라고도 부른다. 재빈은 빠르게 연필과 탐정수첩 ... ...
- 위생해충에 대한 오해와 진실, 진드기는 억울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으앙~, 억울해~! 난 억울하다고~! 어과동 친구들, 내 얘기 좀 들어 봐. 사람들이 자꾸 나한테 '살인진드기'라고 손가락질 해. 게다가 내가 사는 풀숲에 와서 우리 가족들을 모조리 잡아가고, 매캐한 냄새가 나는 살충제를 동네방네 뿌려대고 있어. 도대체 왜 사람들은 우릴 이렇게 못살게 구는 거지? 살 ... ...
- 쉿…! 배아 세포가 자라고 있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알록달록한 작은 벌레 같은 이것은 무엇일까요? 열대어 배아의 세포핵 사진이랍니다. 미국 하워드휴즈 의학연구소의 필립 켈러 교수는 배아 세포를 관찰할 수 있는 새로운 이미징 기술을 소개했어요.배아 세포는 우리 몸의 어떤 조직으로든 자랄 수 있는 세포예요. 경이로운 생명의 시작이지요. 배 ... ...
- Part 3_ 우주의 종말은 뜨거울까, 차가울까?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노스트라다무스? 마야 달력? 휴거? 이런 식의 종말론이 종종 세상을 휩쓸고 지나간다. 전부 의미 없는 이야기다. 21세기 인류답게 사고의 규모를 키워보자. 진정한 종말은 이 광대한 우주의 끝이다. 그리고 그건 바로 암흑에너지에 달려 있다.거의 2000년 동안 서구 과학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아리 ... ...
- [Knowledge] 독수리 먹이는 몇 종류일까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생태계는 수많은 생물이 얽혀 있다. 종종 산불로 나무가 전부 타버리거나 어떤 동물이 천적에게 당해잡아먹혀 사라지기도 한다. 행렬을 이용하면 이런 복잡한 변화를 더욱 체계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행렬을 ‘수학적 속기술’이라고 부른다. 행렬은 수나 문자를 직사각형 모양 ... ...
- PART2 물 건너 온 한국 음식 김치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김장은 겨울에 담가야 제맛김치의 대표는 역시 배추김치다. 배추를 다듬고 한 나절을 소금에 절인 뒤, 고춧가루와 파, 마늘, 생강, 젓갈을 넣은 양념으로 버무린다. 그러나 오늘날 먹는 것처럼 고춧가루에 버무린 빨간 김치가 만들어진 것은 채 400년도 안됐다. 고추가 우리나라에 전해진 것은 조선 ... ...
- 과학동아 천문대 개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지난 11월 25일 과학동아를 발행하는 동아사이언스가 서울 용산 사옥에 ‘과학동아천문대’를 개관했다. 서울 한복판에서 밤하늘을 보며 잊고 있던 우주에 대한 꿈을 꿀 수 있는 곳이다. 온가족이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알찬 프로그램도 갖춰져 있다. 16일에는 개관 전 특별행사로 아이손 혜성 관측 ... ...
- 콘서트홀이 따뜻한 소리 만드는 5가지 비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오케스트라의 웅장한 화음, ‘또르르’ 굴러가는 소프라노의 아리아, 가슴 속까지 파고드는 드럼의 비트….’콘서트홀에서 감미로운 노래와 웅장한 오케스트라에 휩싸이는 경험은 정말 매력적입니다. 심장이 저릿저릿한 느낌이 그리워 다시 공연장을 찾게 되지요. 하지만 모든 공연장이 늘 최고 ... ...
- 에디슨이 블랙아웃 막는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지난 여름 전력이 부족해지면서 에어컨을 껐던 기억이 생생하다. 하지만 대규모 정전, 즉 블랙아웃은 사실 여름보다 겨울에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다고 한다. 이제 겨울철 난방 대부분을 전기로 감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에어컨이야 알아서 덜 쓴다고 하지만, 겨울철 난방이야 어디 전기 쓴다는 생 ... ...
이전3113123133143153163173183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