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d라이브러리
"
에너지
"(으)로 총 4,593건 검색되었습니다.
3. 빛보다 빨리 달리는 우주선 초광속비행
과학동아
l
199811
인류가 처음으로 지구 이외의 천체를 방문한 것은 1969년 7월 20일 미국의 암스트롱이 달에 착륙했을 때였다. 그 후 태양계에 대한 우주 탐험이 본격화돼 우주라는 존재는 인류 ... 우주선을 광속으로 가속시킬 때 필요한
에너지
와는 비교가 안될 정도로 엄청나게 많은
에너지
가 필요하다 ... ...
1. 21세기 황금알을 낳는 거위
과학동아
l
199811
만들 수는 있다. 하지만 불안정해 상용화될 수 없다. 이것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화학
에너지
가 일정한 양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아무리 복잡한 화학반응 속에서도 리튬이 산화될 때 만들어지는 전위차는 고유하다는 이야기다.더 높은 전압을 얻기 위해서는 전지를 적당히 직렬로 연결해야 ... ...
과학자로 다시 돌아온 우주영웅 글렌
과학동아
l
199811
통해 질병에 강한 콩과식물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글렌이 해야할 마지막 일은 절연력과
에너지
보관력이 뛰어난 에어로젤(Aerogel)을 실험하고, 인체에 흡수가 잘되는 아주 작은 마이크로캡슐을 만드는 것이다. 에어로젤은 가장 가벼운 고체로 알려져 있으며, 뛰어난 절연력 때문에 응용분야가 매우 ... ...
3. 1998년 노벨상 : 신물질의 성질 컴퓨터가 알아준다
과학동아
l
199811
의미가 있는 전자의 밀도함수를 이용하는 이론을 개발했다. 콘은 1964년에 분자의 전자
에너지
를 바닥상태의 전자 밀도만으로 표현할 수 있음을 증명했고, 1965년에는 바닥상태의 전자밀도를 알려주는 콘-샴 방정식을 유도했다. 파동함수 대신 전자의 밀도함수를 직접 이용하는 콘의 이론은 '밀도 ... ...
4. 자연법칙에 반하는 공중부양, 반중력
과학동아
l
199811
세계적으로 흥행에 성공한 영화 ET에서 가장 인상적인 장면은 주인공 어린이와 ET가 자전거를 타고 보름달을 배경으로 하늘을 나는 순간일 것이다. 그러나 과학에 대한 상식이 조금만 있는 사람은 자전거를 타고 하늘을 날 수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중력 때문이다.하늘을 날기 위해서는 열기 ... ...
질량의 기원은 밝혀질까
과학동아
l
199811
완성하기 위해 반드시 찾아야하는 궁극적인 입자인 셈이다.박교수는 “힉스는 매우 높은
에너지
상태에서 존재하기 때문에 일상에서 확인할 수 없다”며 “거대한 가속기를 이용해 양성자를 빠른 속도로 충돌시켜 태초의 환경을 재현하는 것이 힉스를 찾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 ...
겨울 문턱의 천체 베스트 10
과학동아
l
199811
캘리포니아 성운이다. 성운 바로 아래 있는 제타(ξ)별이 이 가스구름을 빛나게 하는
에너지
원이다. 이 별은 매우 빠르게 이동중인데, 약 20만년전 한 별이 암흑성운을 통과하면서 성운이 가열돼 빛나면서 캘리포니아 성운이 탄생하게 됐다.마차부자리 지역페르세우스자리에서 다시 은하수를 따라 ... ...
3. 생명현상 조절하는 생체전지
과학동아
l
199811
하는 생각을 불러일으킨다.섭취한 음식이 분해되면서 만들어진 화학
에너지
가 전기
에너지
로 바뀌면서 우리 몸의 그 무엇인가를 조절하고 있다면 이런 과정에서 전지가 필요하지 않을까. 그렇다면 몸속에도 전지가 있는 것일까. 물론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건전지 같은 것이 우리 몸속에 ... ...
입자물리의 영원한 라이벌
과학동아
l
199811
이용할 수 있는 국립가속기연구소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의 아이디어를 받아들인
에너지
부(DOE)는 1967년 2억4천3백50만달러를 들여 페르미연구소를 세웠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같은 해에 옛소련이 모스크바 근교에 7백억eV로 가속할 수 있는 세계 최대의 양성자가속기를 세웠다.1947년 미국 ... ...
불가능의 과학
과학동아
l
199811
"광속 우주여행은 실현될 수 없다.""인간은 아무리 오래 살아도 1백20살을 못넘긴다."현대 과학으로는 '죽었다 깨나도' 해결할 수 없는 불가침의 영역이 있다. 과학기술이 제시하는 장밋빛 희망에 '찬물'을 끼얹는 사례들을 통해 인류가 맞이할 미래의 운명을 점쳐보자. 필자와 의견을 달리 하는 독 ... ...
이전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