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예술이 예술인 물리적 이유
과학동아
l
201201
닫혀 있다. 그래서 공기가 바깥으로 자유롭게 나가지 못하고 뚫린 쪽으로 되돌아온다.
미국
위스콘신대 물리학과 교수이며 소리에 조예가 깊은 저자 윌리 해벌리는 사람들이 음악이나 악기에 대해 궁금할 만한 사항들을 물리적으로 풀어냈다. 같은 학교 같은 과 교수이며 색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 ...
1973년 허버트 보이어 교수의 제한효소를 이용한 재조합DNA 실험
과학동아
l
201201
이런 거부가 된 건 유례가 없는 일이었다. 보이어 교수는 유전공학의 선구자로 1981년
미국
의 시사주간지 ‘타임’(3월 9일자)의 표지를 장식했다. 그럼에도 재조합DNA 기술을 개발한 보이어 교수와 코언 교수 모두 노벨상을 받지는 못했다. 현재의 생명과학이 있게 한 가장 중요한 기술을 개발한 ... ...
유방암 백신 개발 ‘한발짝 더’
과학동아
l
201201
유방암을 90%까지 치료하는 백신이 나올까.
미국
조지아대 암센터와 메이요 클리닉 연구팀은 면역체계를 이용해 암을 치료하는 백신을 개발했다고 최근 ... 연구팀은 2013년에는 1차 임상시험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지난해 12월 ‘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됐다 ... ...
유리처럼 투명한 각막 유전자
과학동아
l
201201
유전자가 각막 속의 혈관 생성을 막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지난해 12월 ‘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를 통해 발표했다.큠 교수는 이 사실을 밝혀내는 데 FoxC1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긴 쥐를 사용했다. 이 유전자에 문제가 있는 쥐의 각막에는 혈관이 비정상적으로 발달해 더 이상 앞을 ... ...
근육로봇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01
무려 4개나 달려있기 때문이다. 이 무게 때문에 파리로봇은 결국 날지 못했다.하지만
미국
하버드대의 로버트 우드 교수팀이 개발한 파리로봇은 비행에 성공했다. 우드 교수팀은 다른 전략을 취했다. 파리가 움직임을 만드는 원리는 물론 그 내부에 주목한 것이다. 파리는 등에 큰 근육이 하나 ... ...
나노갤러리
과학동아
l
201201
바퀴 속으로 들어가면서 형태를 바꿔 앞으로 굴러가게 되는 것이다.나노 트랜지스터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 전자광학센터의 조수아 로빈슨 교수팀은 그래핀으로 지름 100nm 정도의 초소형 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 놀랍게도 트랜지스터 속에는 2만 2000개 이상의 미세구조가 들어있다. 그래핀 속에서 ... ...
점박이: 한반도의 공룡 3D
과학동아
l
201201
이것이 최신 연구로 밝혀진 벨로시랩터의 본모습이다.얼마 전까지도 공룡의 피부는
미국
와이오밍 주에서 발견된 에드몬토사우루스(오리주둥이 공룡)의 화석에서 보듯 파충류의 비늘과 같은 모습으로 알고 있었다. 그러나 1996년 중국의 랴오닝 성에서 한 농부가 발견한 화석은 공룡에 대한 우리의 ... ...
“남 배려하는 따뜻한 학생 뽑겠다”
과학동아
l
201201
교수가 의욕이 넘치고 능력이 있어도 이런 환경에서는 창의성을 키울 수가 없습니다.
미국
스탠포드대의 D스쿨이나 MIT의 미디어랩처럼 창의적인 융합 교육 과정을 고민하고 있습니다.”사회에 봉사하는 서울대생학생들을 보면서 안타까웠을 때도 많았을 텐데요.“다들 최고의 학생인데 들어와서 ... ...
사람이 살 수 있는 ‘제2의 지구’를 찾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1
사람이 살기에 적합한 ‘슈퍼지구’가 처음으로 확인됐어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지구로부터 약 600광년 떨어진 곳에 사람이 살 수 있는 행성 ‘케플러-22b’를 찾아냈다고 12월 5일 발표했습니다.케플러우주망원경이 관측한 결과 ‘케플러-22b’는 지구와 놀랍도록 비슷했어요. 지구처럼 흙과 ... ...
발 없는 트위터가 천 리 가는 이유
수학동아
l
201201
만날 수 없었던 사람들까지 연결시켜 줘 빠르게 정보가 전달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미국
노트르담대의 앨버트 라슬로 바라바시가 만든 수학적 모델에 따르면, 트위터에서는 팔로우가 많은 사람도 영향력이 크지만 좋은 정보를 잘 전달하는 사람이 더 영향력이 크다. 유용한 전문지식을 잘 전달해 ... ...
이전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