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을 인쇄하라, 3차원 프린터
과학동아
l
201201
층층이 쌓아올려 ‘살아 있는 장기’를 만들겠다는 발칙한 연구를 하는 과학자도 있다.
미국
미주리대 생물물리학자인 가보 포르가츠 박사는 2006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국제실험생물학회에서 “지름이 수백 ㎛(마이크로 미터, 100만분의 1m)인 세포를 겹겹이 쌓아 압축하면 심장이나 간을 만들 수 ... ...
인공눈, 누가 만들까?
과학동아
l
201201
세균이라는 가설을 ‘사이언스’ 2008년 2월 29일자에 발표했다.눈 만드는 세균 발견1975년,
미국
위스콘신대의 대학원생인 스티브 린도우는 식물에 냉해를 입히는 세균인 ‘슈도모나스 시링가이(Pseudomonas syringae )’가 눈을 만든다는 사실을 발견했다.이 세균은 세포벽에 물을 끌어 모으는 특이한 ... ...
꿈을 저장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01
생각을 넣는 데 쓸 수도 있다. 외부에서 뇌의 특정부분을 자극하기만 하면 된다. 1999년
미국
UC버클리의 양 단 교수 연구팀이 미세바늘로 고양이의 시각 중추인 측면슬상핵 표면을 자극하자 고양이는 특정 영상을 보고 있다고 인식했다. 심지어 연구팀은 고양이가 보고 있는 영상을 읽어 컴퓨터 ... ...
난, 이제 MIE로 진화한다
과학동아
l
201201
공이 바스켓으로 빨려들어가는 투사속력의 범위나 투사각의 범위가 넓으면 좋다.
미국
의 천체물리학박사 피터 브란카지오는 자신의 저서 ‘스포츠과학: 물리법칙과 최적동작’에서 행한 계산에 따르면, 높은 투사각도의 슛이 직선으로 던진 슛보다 바스켓에 도달하는 속력의 범위가 넓다. 다시 ... ...
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적들
과학동아
l
201201
교수팀이 발표한 인구 예측 결과였다.루츠 교수는 세계를 13개 지역으로 나눈 뒤 유엔과
미국
인구통계국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해 미래 인구를 추정했다. 그 결과 2100년이 되도록 지구가 100억 인구에 도달하지 못할 확률이 도달할 확률보다 높으며(60%), 인구가 정체될 확률은 85%였다. 심지어 2100년에 ... ...
곤충 껍질만큼 가볍고 단단한 플라스틱 나왔다
과학동아
l
201201
나는 단단한 껍질이 아닐까. 곤충의 트레이드마크인 이 껍질은 알루미늄만큼 강하다.
미국
하버드대 의대 유다 포크만 교수팀은 곤충 껍질을 그대로 재현하면 단단하면서도 가벼운 소재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포크만 교수팀은 우선 곤충 껍질의 구성 성분을 살펴봤다. 곤충의 껍질은 ... ...
신의 입자 힉스, 눈 앞에 다가오다
과학동아
l
201201
위해서는 5시그마(99.99994%)가 필요하다. CERN의 경쟁자로 지난해까지 테바트론을 운용했던
미국
페르미연구소는 “두 결과를 각각 놓고 보면 주사위를 두 번 굴려 연속으로 6이 나온 수준에 불과하지만 124~126GeV를 가리키는 신호가 독립적으로 여러 번 나왔다는 점이 흥미롭다”고 논평했다.[2011년 12월 ... ...
세상에서 가장 둥근 게 뭐지?
과학동아
l
201201
004년 인간은 중성자별을 대적할 수 있는 가장 완벽한 구슬 네 개를 우주로 쏘아 올렸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스탠퍼드대 연구팀이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을 검증하기 위해 ‘중력탐사B’라는 이름의 우주선을 우주로 발사했다. 구슬 네 개는 우주선 안에 있는 핵심적인 실험 장치다 ... ...
내 우주는 눈을 감을 때 더 잘 보인다
과학동아
l
201201
포함한 대다수 생물이 멸종한 것과 같은 절멸을 다시 겪게 되었을 수도 있다. 당시
미국
에서 박사학위 과정을 거의 마치던 나는 자연히 이 혜성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내 아내에게 내가 연구하는 분야의 흥미로운 사건을 설명해 주고도 싶었다.우리 부부는 차를 타고 근처의 어두운 지역으로 갔다. ... ...
고등학교 동아리의 한계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1201
모았다. 과학동아로 e메일을 보냈던 정지원 학생은 “요트를 만들기로 하고 알아봤더니
미국
보스턴에 작은 요트를 설계하고 만드는 분이 있었다”며 “한 달 넘게 팩스를 보내서 어렵게 설계도를 얻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 설계도로 만든 것이 지금 마무리 작업이 한창인 ‘퀸맵(Queen Mab ... ...
이전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