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구자
조사자
연구원
뉴스
"
연구자
"(으)로 총 5,947건 검색되었습니다.
WHO 어쩌다 효과없다는 하이드록시클로로퀸 임상 재개했나…엉터리 자료 썼다 '낭패'
동아사이언스
l
2020.06.04
이 약물이 코로나19 대응의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이라며 적극 추천해왔다. 하지만
연구자
들은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이 실제 치료에서 효과가 거의 없거나 오히려 위험하다는 연구를 잇따라 내며 위험성을 경고했다. 미국 뉴욕주립대 공중보건대 교수 연구팀은 하이드록시클로로퀸과 항생제 ... ...
메가시티형 바이오 혁신클러스터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2020.06.04
창업 특구를 조속히 구축하고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것에 정책의 우선순위를 둬야 한다.
연구자
들이 정부와 서울시가 추진하고 있는 서울의 홍릉과 창동 지역의 메가시티형 바이오밸리 조성 사업을 눈여겨보는 이유다. 그다음으로는 판교처럼 바이오기업 성장에 유리한 입지조건을 갖춘 수도권의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비즈니스 모델과 과학계의 파국
2020.06.04
국내에서는 호원경 교수 등을 위주로 한 의생명과학자들이 기초과학 연구비 증액과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지원 확대를 외치고 있지만, 이 또한 임시방편의 정책일 뿐이다. https://www.ibric.org/myboard/read.php?Board=isori&id=34334 -현대 과학계는 연구비라는 자본과 논문이라는 화폐가 시장에서 거래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방감초' 스타틴의 재발견
2020.06.02
5.9%에 불과했다. 반면 BMI가 30 미만인 사람들에서는 복용 여부가 별 영향을 주지 않았다.
연구자
들은 다른 데이터도 분석했는데, 스타틴 미복용 그룹은 박테로이데스2형이 16.3%인 반면 스타틴 복용 그룹은 4.7%로 역시 큰 차이가 났다. 박테로이데스2형인 사람은 장 건강이 나빠질 위험성이 큼에도 ... ...
[게놈과 인류사]"말 없는 수천 년 전 인류사, 게놈이 밝힐 수 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6.01
고대 역사를 연구 중이다. 서울대 제공 정 교수는 이 분야의 본격적인 발전을 이끈 주요
연구자
중 한 명이다. 미국 시카고대에서 집단유전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뒤 2016년부터 독일 예나의 막스플랑크 인류사과학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하며 유럽과 서남아시아, 동아시아 지역의 ... ...
NASA의 격리 전문가가 전하는 코로나19 대응은
동아사이언스
l
2020.06.01
모든 도구는 보안 네트워크를 거쳐 집에서 활용했다”고 말했다. 주노를 이용하는
연구자
들이 전 세계에 있다 보니 NASA 주노 임무팀은 화상회의에도 익숙하다. 하지만 적어도 1년에 한 번은 얼굴을 맞대고 연구결과와 향후 계획을 논의해 왔다. 이번에는 수 일 간에 걸쳐 100명이 넘는 이들과 화상 ... ...
美연구팀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박쥐·천산갑 거치면서 인체 감염 능력 갖춰”
동아사이언스
l
2020.06.01
19·코로나19) 바이러스가 박쥐에서 유래해 천산갑이 중간 숙주로 추정되고 있다. 일부
연구자
들 사이에는 코로나19가 어떤 종의 동물에서 유래했는지 여전히 불확실하다는 견해를 내놓기도 했다. 미국 듀크대 연구진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박쥐와 천산갑을 거치면서 사람에게 감염하는 능력을 ... ...
"로봇
연구자
는 아이디어에 머물지 말고 효율과 경제성까지 따져야 해요"
과학동아
l
2020.05.31
경기 화정고 1학년) 군은 "로봇을 실제로 만들고 이를 상용화하기 위한 노력을 하는
연구자
를 직접 만나게 돼 영광이었다"고 밝혔다. 곽다연(대구 강북중 3학년) 양은 "로봇을 실제로 눈으로 보고 만져보기까지 하니 영상으로 볼 때보다 훨씬 멋지고 매력적으로 느껴졌다"고 말했다. 이달 30일 ... ...
[표지로 읽는 과학] 14만 명의 유전자 지도, 유전질병 잡는 해답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5.30
아프리카인과 아프리카계 미국인 1만 2000여 명의 정보가 포함됐다. 프로젝트에 참여한
연구자
들은 지노마드를 활용해 점돌연변이와 같은 작은 변이뿐 아니라 염기서열 50~100개 정도로 긴 범위의 DNA가 바뀌는 구조 변이도 관찰했다. 질병과 관련한 유전자 기능 문제는 이런 긴 조각 전체가 떨어져 ... ...
'궁금합니까, 휴먼?' AI 권위자 김정호 교수 30일 온라인 생중계
과학동아
l
2020.05.29
미치는 영향을, ‘미래’에서는 AI의 발전 방향을, 마지막 주제인 ‘진로’에서는 AI
연구자
를 꿈꾸는 청소년의 진로 문제에 대해 다룬다. 김 교수는 “AI를 활용해 우리가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미래를 같이 설계해보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고 말했다. 애초 이번 강연은 대전 유성 KAIST 캠퍼스에서 ... ...
이전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