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10대의 약] ‘키 크는 주사’ 맞으면 170cm가 180cm되나요?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효과 불확실해 키 크는 데 도움이 된다는 영양제에 관심을 갖는 경우도 많습니다. 흔히 우리가 말하는 영양제, 즉 건강기능식품이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건강과 관련된 기능이 있다고 인정받은 식품입니다. 국내에서 어린이의 키 성장에 도움이 된다고 인정된 것은 황기, 가시오가피, 한속단 ... ...
- [Tech] 만능 스포츠 로봇을 만들어라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사람과 의사소통도 한다. “로봇공학자가 되겠다고 결심한 건 아주 오래 전이었어요. 우리 집은 장애를 겪는 동생이 있어서 온 가족이 종일 보살펴야 했지요. 그런데 만화영화에서 커다란 로봇이 사람을 번쩍 들고 하늘을 가르며 날아가거나, 로봇 형사(‘형사 가제트’라는 애니메이션에 ... ...
- ‘메이드 인 코리아’ 75t급 액체로켓엔진 대한민국을 들어 올렸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이 이야기를 다 기록하자면 책 한 권으로도 모자란다. 온갖 우여곡절을 거쳐 2016년 4월 우리 팀은 75t급 액체로켓엔진의 최초 연소시험에 성공했고, 이후 연소 시간을 조금씩 늘려나갔다. 같은 해 7월에는 누리호 1단의 임무시간인 145초 연소시험까지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2015년 7월 7t급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내 몸의 설계도 읽는 유전체 해독 기술과학동아 l2019년 01호
- 2016년 한국인 41명의 유전체 정보를 추가한 유전체 지도(KOREF_C)도 발표했습니다. 우리 연구팀은 조지 처치 교수와 함께 ‘한국인 개인 유전체 프로젝트(KPGP·Korean Personal Genome Project)’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한국인이 잘 걸리는 질병을 효율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한국인 50명의 유전체 데이터를 ... ...
- [수학뉴스] 1월의 수학자 - 다비트 힐베르트 탄생수학동아 l2019년 01호
- 1862년 1월 23일은 독일 수학자 다비트 힐베르트가 탄생한 날입니다. 힐베르트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가장 위대한 수학자 중 한 명으로 늘 손꼽히지요. 힐베르트 ... 쓰였으며, 후대의 많은 학자들에게 도전 의식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우리는 알아야만 한다! 우리는 알게 될 것이다 ... ...
- 돼지 게임 전략? 수학으로 찾으면 되지!수학동아 l2019년 01호
- 더 피그’가 인기더라고. 마찬가지로 100점을 먼저 넘긴 사람이 이기는 게임이지. 우리 돼지 두 마리를 주사위처럼 하늘로 던진 뒤, 착지하는 자세에 따라 점수를 주는 거야. 1997년 미국 레이크사이드 중학교 학생 52명이 3939번 돼지를 던진 결과로 각 모습이 나타날 확률을 계산해 공개했습니다. ... ...
- [스타쌤의 수학 공부꿀팁] 부평동중학교 김정란 선생님, 새 가족이 생기는 수학 시간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엄마가 서로 나서서 도와준다. 자식들은 부모 말을 잘 듣고 따른다. 첫째 조준영 군은 “우리 가족은 단합이 잘 돼 마치 동그라미처럼 모난 데 없이 잘 굴러간다”며, “혼자서는 잘 공부하지 않는데, 엄마, 아빠 역할을 맡은 친구들이 도와줘 수학 시간이 재밌다”고 말했다. ● 정란쌤의 ... ...
- [큐레이터조의 수학미술관] 4차원 세계로 들어간 화가, 파블로 피카소와 큐비즘수학동아 l2019년 01호
- 그릴 수 있었으니 피카소는 오히려 ‘아이처럼’ 그리는 것을 부러워했을 정도라네요. 우리가 생각했을 때는 얄밉긴 하지만, 그림을 보고 나면 실력을 인정할 수밖에 없을 거예요. 예를 들어 피카소가 15살 때 그린 ‘첫 영성체’ 라는 작품이 있어요. 15살 아이가 그린 그림이라는 게 믿기지 않을 ... ...
- Intro. 달 착륙 50주년 기념 출발! 은하수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치직, 치직…. 안녕하십니까. 여러분의 여행을 책임질 우주 함장 ‘캡틴 스트레인지’입니다. 이 우주선은 지구에서 출발해 달을 거쳐 태양계를 지나 ... 태양계 경계 - 태양풍이 멈추는 곳에 다다르다Part 4. 태양계 밖 - 외계행성의 비밀을 풀어라!Part 5. 우리은하 - 미지의 세계를 향해서 ... ...
- [가상인터뷰] 도시 개구리가 숲 개구리보다 인기가 많은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안녕? 어과동 친구들. 나는 과학마녀 일리야. “퉁 퉁 퉁 크릭 크릭” 숲을 지나는 데 숲속에 사는 퉁가라개구리의 노랫소리가 들려왔어. 그런데 어? 도시에 ... “도시화가 자연선택과 성 선택을 변화시킨 사례”라고 말했어. 도시화의 진행과 함께 우리 동물들도 같이 진화하고 있단다 ... ...
이전3113123133143153163173183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