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나
일
한사람
한개
d라이브러리
"
1
"(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식│ 백신을 몇 명이 맞아야 어린이도 안전할까?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5호
낮춰야 해요. 그렇다면 성인의 몇 %가 백신을 맞아야 백신 접종을 못하는 어린이도 코로나
1
9에 걸릴 확률이 낮아질까요?우리나라 인구의
1
7% 정도인
1
8세 미만 어린이와 청소년은 현재 백신 접종 대상이 아니에요. 백신을 맞았을 때 이상 반응이 일어나는지를 성인을 대상으로만 확인했기 때문이에요.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드디어 마주친 삐뚤란 범인은 바로 이 안에 있어!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5호
이곳에 처음 온 저는 그게 신기했지요. 방금 사람들을 잠시 관찰했는데, 그렁그렁 주민은
1
분에 평균 30번씩 눈을 깜빡였습니다. 그런데 당신은
1
0번 정도밖에 깜빡이지 않았습니다!”“제가 원래 눈물이 많아서 그래요!”“과연 그럴까요? 당신은 특수 홀로그램으로 그렁그렁 행성 주민의 눈처럼 ... ...
[과학뉴스] 태양계에서 가장 먼 천체 신기록 ‘파파아웃’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태양계에서 가장 먼 천체라고 알려진 천체는 ‘파아웃’이라는 별칭으로 불린 ‘20
1
8 VG
1
8’로, 태양에서
1
24AU 떨어져 있어요. 20
1
8년 발견된 파아웃보다
1
0AU 정도 더 멀리 있는 파파아웃은 파아웃에 영어로 ‘멀리’를 뜻하는 ‘far’가 한 번 더 붙은 이름을 갖게 됐어요.파파아웃은 ...
[4컷만화] 가볍게~, 전기를 만드는 스마트 배낭!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3일, 미국 조지아공과대학교와 중국 칭화대학교 국제 연구팀은 짐의 무게를 최대 5분의
1
까지 줄이고, 전기도 생산하는 배낭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보통 배낭을 메고 걸으면 짐도 위로 올라갔다가 떨어지며 몸에 충격을 줘요. 하지만 이 배낭은 탄성체에 짐을 매달게 돼 있어요. 이 탄성체가 ... ...
[가상 인터뷰] 파리지옥 손, 섬세한 게 매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로봇 손은 어디에 활용할 수 있어?파리지옥 손 로봇은 지름이 0.5mm인 가느다란 바늘이나
1
g의 가벼운 무게추를
1
.3초 만에 잡았어. 쉽게 깨지거나 손상될 수 있는 물체를 부드럽고 섬세하게 잡는 데 탁월했지. 잎에서 잘린 뒤 최대 하루 동안 로봇 손으로 기능할 수 있었어. 하지만 파리지옥 손은 한 번 ... ...
[기획] 순간 포착! 물질의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교수팀이 액체 괴물처럼 끈적한 점성을 갖는 폴리머 액체에
1
00fs(펨토초.
1
000조분의
1
초) 정도의 짧은 순간 레이저를 쏘아 마이크로 로봇을 만들었어요.
1
00fs 동안 레이저와 접촉한 폴리머 액체는 열에 의해 단단해져요. 이 과정을 반복해서 미세한 구멍이 많으면서도 단단한 마이크로 로봇을 ... ...
[핫이슈] 뮤온의 ʻ흔들림 값’ 예측보다 커 새로운 기본입자 가능성?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표준모형은 자연계의 물질과 힘을
1
7가지 기본입자로 설명하는 이론이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네 가지 힘 중 중력을 제외한 나머지 힘(전자기력, 약한 핵력, 강한 핵력)을 표준모형으로 ... 정중앙에서 돌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담당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doi:
1
0.
11
03/PhysRevLett.
1
26. ...
1
년 동안 지구에 내리는 우주먼지는 얼마나 될까?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없다. 연구팀은 해당 지역에서 입자의 지름이 30~350µm(마이크로미터·
1
μm는
1
00만분의
1
m)인 우주소구체(대기를 통과하며 녹은 미세운석) 808개와 얼어 있는 미세운석 조각
1
280개를 수집했다.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지구 전체에 같은 양의 우주먼지가 내린다면 매해 5200톤(t)의 우주먼지가 지구에 ...
목성의 오로라가 특별한 이유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푸른 빛이 쉴 새 없이 반짝이는 목성의 오로라는 지구의 오로라와는 또 다른 신비로움을 연출한다. 목성의 극지에 이런 독특한 오로라가 만들어지는 이유는 미스터리로 남아있었다. ... “자기권을 이해하는 방식의 패러다임 전환을 가져온 연구”라고 평가했다. doi:
1
0.
11
26/sciadv.abd
1
20 ... ...
선사시대 딱정벌레의 마지막 식사메뉴는 꽃가루?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땅파기 능력을 생존과 자기방어에 적극적으로 활용했을 것으로 추측했다. 논문의 제
1
저자인 박진영 서울대 고생물학연구실 연구원은 “이번에 분석한 갑옷공룡 표본은 건조한 아시아 지역에서 발견됐다”며 “건조한 지역에 적응해 살아가는 대형 초식동물들처럼 땅을 파서 식물의 뿌리를 ... ...
이전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