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발"(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 노래하는 장미’ 나올까 전자 부품이 된 식물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스트라노 교수팀은 폭탄이나 지뢰에 주로 쓰이는 질화방향족을 감지하는 시금치를 개발해 ‘네이처 머티리얼스’에 발표하기도 했다. 연구팀은 식물의 뿌리를 이용해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 입자를 주입했다. 이 입자는 적외선 파장을 내뿜는데, 질화방향족과 결합하면 파장이 변하기 때문에 ... ...
- [Issue] 전통 막걸리, ‘ 미생물 배합’으로 부활할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월 10일, 경기 성남시에 있는 한국식품연구원(이하 식품연)을 찾았다. “바로 이게 저희가 개발한 산업용 누룩입니다. 전통누룩에서 발굴한 미생물을 첨가해 만들었죠. 여러 양조장에 공급하고 있어요.” 이장은 식품연 우리술연구팀 선임연구원은 비닐로 포장된, 꼭 시멘트처럼 보이는 물질을 ... ...
- [Career] 안전한 배터리 전기자동차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리튬 배터리의 상용화를 크게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 유망한 교수라면 처음부터 관련 분야에 관심이 많았을까. 정 교수의 대답은 의외였다. 전공을 선택할 때 10년 뒤에 무엇을 어떻게 해야겠다는 생각은 전혀 없었다는 것. 처음에 화학공학과에 진학한 것도 ... ...
- Part 2. 주사위로 즐기는 마방진수학동아 l2017년 04호
- 불리는 이 퍼즐은 미국에서 수학 대중화에 앞장서고 있는 수학자 제임스 그라임이 개발했어요. 그라임 큐브를 잘 맞추면 가로, 세로 수를 합했을 때 가운데 적힌 수가 되도록 만들 수 있어요.또 마주보는 면의 같은 위치에 적힌 수의 합이 모두 같도록 그라임 큐브를 만들 수 있어요. 이렇게 만들면 ... ...
- [에디터 노트] 에디터 토크 2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여성 이공계 인력을 추적.최영준 기자(이하 최) : 오늘날 반도체 세상을 가능케 한 소자의 개발자 강대원 박사를 발굴.편 : 두 사람 모두 숨은 인물을 찾았다는 공통점이.우 : ‘히든 피겨스(숨겨진 인재)’니까. 근대를 만드는 데 공을 세운 여성들을 부각하고자.최 : 오래 잊혀졌던 연구자의 생애를 ... ...
- [과학뉴스] 에너지 없이 지붕 식히는 필름?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물체를 추가 에너지 투입 없이 식힐 수 있는 신소재가 개발됐다.미국 콜로라도대 기계공학과 연구팀은 전기장 안에서 극성을 띠는 절연체인 유전체(dielectricmaterial)로 만든 미세한 유리구슬을 고분자 필름안에 무작위로 삽입했다. 그 결과 태양에서 오는 빛과 열을 일반 물질보다 더 발산하는 특성을 ... ...
- [Origin]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수성탐사선도JAXA는 문부과학성 우주과학연구소(ISAS), 항공우주기술연구소(NAL), 우주개발사업단(NASDA) 이 세 기관이 2003년에 통합해 만들어졌습니다. 덩치가 큰 만큼 일본 안에서만 열여덟 곳이 있는데요. 도쿄도 쵸후시에 본사가 있고, 이바라키현 쓰쿠바시에는 쓰쿠바 센터라는 큰 우주센터가 ... ...
- [Career] 한옥의 매력에 푹 빠진 건축학도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프로그램을 만들면서 쌓은 정보와 노하우를 이용해 한옥 모형 개발에 뛰어들었다. 지난해 완성한 한옥조립모형은 근정전을 100분의 1로 축소한 것으로, 실제 한옥처럼 작은 부품을 끼워가면서 조립한 가구식이다. 3537개의 부재로 구성된 한옥조립모형은 진짜 근정전을 그대로 ... ...
- [Career] 세상을 바꾸는 착한 상상력 기아 에코다이나믹스 원정대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말레이시아 어느 시골 마을, 세상을 바꿔보겠다고 큰소리치는 10대 청소년들이 떴다. 바로 기아자동차와 유엔환경계획(UNEP, 유넵) 한국위원회가 함께 하 ... 기아자동차는 올해 역시 8기 에코다이나믹스 원정대원을 선발해 글로벌 인재 양성과 개발도상국 환경 개선에 힘을 쏟을 계획이다 ... ...
- [Future] 집 나간 국민생선이 돌아왔다! 명태의 귀환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것”이라고 밝혔다.그렇다면 이렇게 키운 명태를 언제쯤 맛볼 수 있을까. 이제 막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한 수준이기 때문에 당장 식탁에 오르기는 힘들다. 변 박사는 “어업인들에게 수정란을 분양하고 기술 지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립수산과학원에서는 대량 생산이 가능해진다면 육상 ... ...
이전3103113123133143153163173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