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헷갈린 과학] 주머니 속에 새끼를 쏙~! 캥거루 VS 왈라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특징이랍니다. 또 캥거루와 달리, 다리가 조금 짧아요. 이 때문에 최고 속력도 시속 48km 정도로 캥거루보다 느리지요. 이빨을 비교하면 가장 정확하게 캥거루와 왈라비를 구별할 수 있어요. 왈라비는 캥거루와 달리 위턱 셋째 앞니에 세로로 홈이 나 있고, 어금니 앞끝에 튀어나온 부분이 있거든요.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7화] 비행기 엔진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긴 활주로를 얼마간 달리더니, 구름을 뚫고 하늘로 솟아올랐지요. 그 다음 시속 300km 정도로 빠르게 하늘을 날았답니다. 이처럼 사람을 태우고 다니는 여객기나 음속보다 빠른 전투기는 ‘제트엔진’을 통해 추진력을 얻어요. 비행기가 이륙을 하거나 하늘을 날 때 들리는 ‘위~윙~!’ 소리도 ... ...
- [현장취재②] 지구사랑탐사대 5기 심화교육 곤충 표본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된다는 설명에 눈 딱 감고 채집한 곤충을 냉동실에 차례차례 넣었어요. 냉동실에서 15분 정도 얼린 곤충들은 대부분 조용히 죽어 있었어요. 이제 본격적으로 표본을 만들 차례! 배윤혁 연구원은 “표본을 만들기 위해서는 썩기 쉬운 내장과 살을 빼내고 그 안을 솜으로 채운 뒤 약품 처리를 한다”고 ... ...
- [공룡은 왜?] 휘두르기만 해도 티라노가 깜짝? 안킬로사우루스의 꼬리 곤봉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달려드는 육식 공룡들을 위협했지요. 꼬리 골침을 휘두른 속력은 최대 시속 50km에 이를 정도로 빨랐다고 해요. 그래서 이 꼬리 골침에 찔리거나 맞으면, 피부가 찢기거나 구멍이 뚫리기도 해요. 또 갈비뼈나 얼굴뼈가 부서지는 것은 물론, 다리를 맞으면 심각한 부상을 입어서 제대로 걸을 수도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는 ‘열 십(十)’과 ‘입구(口)’로 이뤄졌어요. ‘10대에 걸쳐서 입에서 입으로 전해질 정도로 오래된 것’을 나타낸답니다. ‘있을 유(有)’는 오른손을 본떠 만든 ‘또 우(又)’에 고기를 나타내는 ‘육달월(月=肉)’이 합쳐진 한자예요. 오른손에 고기를 들고 ‘고기가 여기에 있다’라고 ... ...
- Part 3. 하늘소, 앞으로 어떤 영향을 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0년 동안 400회 이상의 탐사를 통해 만들어졌지요. 눈을 감아도 하늘소의 모습이 아른거릴 정도로 하늘소에 푹 빠졌다는 세 사람을 만나 볼까요? Q. 세 분이 함께 탐사를 다니게 된 계기가 있나요?이승현: 곤충 동호회에서 처음 만났어요. 셋이 나이도 다르고, 전공하는 분야도 제각각이었지만 ... ...
- Part 5. 미래 우주여행은 엘리베이터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고도 400km에서 우주 엘리베이터에 대한 기초실험을 수행하고 있어요. 두 대의 위성은 100m 정도의 거리를 두고 낚싯줄과 같은 특수 케이블로 연결돼 있답니다. 고도 400km 부근에는 공기가 아주 희박해요. 이 공기의 저항에 케이블이 어떻게 흔들리는지, 어떻게 늘어뜨렸을 때 가장 안정적인지 분석하고 ... ...
- Part 1. 하늘소, 서울을 습격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이번처럼 서울 도심지에서 많은 수가 발견된 건 처음이지요. 하늘소는 몸 길이가 5~6cm 정도이고, 몸 전체가 흑갈색이에요. 성충은 6~8월에 출현하고, 주로 밤나무나 참나무 같은 활엽수의 수액을 먹고 살지요. 이처럼 하늘소의 먹이나 산란 장소, 유충의 보금자리가 되는 나무를 ‘기주식물’이라고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드디어 밝혀지는 보물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있었어요. 그러던 중 주유소를 운영하던 주민이 지하에 묻힌 휘발유의 온도가 78℃ 정도까지 올라가는 것을 발견 하면서 화재가 심각하다는 사실이 점차 드러나기 시작했지요. 이후 화재는 점차 심해져 불에 타던 지하 탄광이 무너지기 시작했어요. 그리고 도로들 곳곳이 갈라지며 이 틈으로 유해 ... ...
- Part 4. [도전 ➌] 냉동 인간의 핵심은 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기술도 매우 중요해요. 현재 이 기술을 실현할 수 있는 장비는 개발돼 있어요. 하지만 20cm 정도로 무척 크지요. 만약 앞으로 세포와 비슷한 수십 나노미터 크기로 줄일 수 있다면, 냉동 인간을 실현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여요. 뇌를 다른 사람의 몸에 이식하다!뇌는 미래에 다시 ... ...
이전3093103113123133143153163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