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학과"(으)로 총 4,705건 검색되었습니다.
- 빅뱅 후 5억년 만에 이미 은하 있었다...133억년 전 초기은하 존재 입증동아사이언스 l2018.05.17
- 것 중 가장 먼 곳에서 온 것이었다. 연구를 이끈 일본 오사카산업대 환경과학및기술학과 타쿠야 하시모토 교수는 “빅뱅 후 5억년이 흐른 시점에 이미 MACS1149-JD1이 은하로 자리잡은 것”이라며 “천문학적 시간으로 따져보면 이보다 약 2억 5000만년 이전부터 이곳에서 별이 생기기 시작했을 ... ...
- 최고의 축구선수는 '방향전환' 능력이 판가름? 동아사이언스 l2018.05.15
- ‘프론티어스 인 피지오러지(Frontiers in Physiology)’에 발표했다. 스필트대 신체운동학과 다미르 세쿨릭 교수는 "축구선수들은 상대 선수를 피하기 위해 운동경기 중 방향 전환과 함께 속도조절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그간 이를 측정할 방법이 마땅치 않았는데, 이번에 새로 개발한 것"이라고 ... ...
- 학교에서 하는 명상이 좋은 이유동아사이언스 l2018.05.15
- 일상생활에서 스마트폰 금단 현상이 약해졌다고 합니다. (이인수 한국교통대 응급구조학과 교수팀, 2015 전인교육학회 추계 학술대회 발표) 명상을 단순히 눈을 감고 마음을 가라앉히는 과정이 아닌, 뇌의 활동을 조절함으로써 그 구조까지도 바꿀 수 있는 영역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약한 사람을 괴롭히는, 텃세의 심리학2018.05.13
- ※ 필자소개 박한선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신경인류학자. 서울대학교 인류학과에서 진화와 사회에 대해 강의하며, 정신의 진화 과정에 대한 논문을 쓰고 있다. , 를 옮겼고, , 등을 썼다 ... ...
- 한국과학창의재단 신임 이사장에 서은경 전북대 교수 임명동아사이언스 l2018.05.11
- 물리학 및 소자 분야 전문가로, 전북대 물리학과 교수를 거쳐 동 대학 반도체과학기술학과 교수로 재직해 왔다. 전북대 자연과학대학장, 전국국공립대 자연과학대학장협의회장, 한국물리학회 부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올해의 ... ...
- 화마에서 소방관 지켜라…서울대, 화염시험 시설 국내 첫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8.05.11
- 시험하는 화염 체임버(실험용 밀폐시설)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개발됐다. 서울대 의류학과 이주영·김도희 교수팀은 9일 서울대 생활과학대학 주최로 열린 ‘2018년 소방안전 공청회’에서 자체 개발한 화염 체임버를 공개했다. 그동안 국내 방화용 보호구는 직물 수준에서 소재의 물성을 평가해 ... ...
- 미래 건 양자컴퓨터 5파전..."양자 통제 기술과 소재가 관건"동아사이언스 l2018.05.11
- 연구 현황을 교환하는 등 협력 연구에 들어갔다. 프로그램위원장인 김윤호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는 “중국과 유럽, 미국 등 양자 강국들이 약진하는데 국내 연구 역량이 흩어져 있다는 판단에 학술대회를 기획했다”고 말했다. 양자컴퓨터는 원자나 이온, 전자 또는 빛 알갱이(광자) 등 양자역학의 ... ...
- 불치 면역질환 루프스 병 발병 원인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8.05.08
- 완치가 거의 불가능해 한 번 발병하면 일생 동안 괴로움을 겪는다. 정연석 서울대 제약학과 교수팀은 동맥경화 환자의 ‘고지혈’ 증상이 루푸스를 유도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8일 밝혔다. 고지혈증과 자가면역질환의 상관관계를 나태난 모식도. 고지혈 환경이 TLR4와 LXR라는 인체내 물질을 ... ...
- 아이유는 왜 속삭였을까...ASMR 효과, 직접 실험해 보니과학동아 l2018.05.06
- 관련 있다는 사실은 해외에서도 주목하고 있다. 스티븐 스미스 캐나다 위니펙대 심리학과 교수팀은 평소 ASMR을 느끼는 사람 11명과 그렇지 않은 사람 11명을 대상으로, ASMR을 볼 때 뇌에서 DMN(Default Mode Network·내정상태회로) 부위의 활성도 차이를 기능성 자기공명영상(fMRI) 장치로 분석했다. DMN은 ... ...
- [표지로 읽는 과학] 꽃가루관 칼슘 농도가 식물의 신경전달반응을 결정한다동아사이언스 l2018.05.05
- 표지는 꽃가루관이 투사된 그림이 차지했다. 미국 메릴랜드대 세포생물학및분자유전학과 미첼 우딕 교수팀은 꽃가루관의 칼슘 농도에 따라 코닉혼 유사 단백질(CNIH)과 유사 글루타메이트 채널(GLR)의 결합이 조절되며, 그 결과 식물의 신경신호전달 과정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발견해 이번 ... ...
이전3083093103113123133143153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