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GPS 뺨치는 정확성과 휴대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0호
데 무척 편리한 방식이었습니다. 또한 대동여지도는 목판으로 만들어 인쇄를 할 수 있는
최초
의 지도였습니다. 덕분에 대량 제작이 가능했지요. 게다가 22개로 나눌 수 있고 접을 수도 있어 휴대가 간편했답니다. 이 모든 특징들은 지도가 높은 관리나 학자뿐만 아니라 일반 백성들도 쉽게 접하고 ... ...
아주 특별한 숫자 1의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9호
중세에는 신의 숫자로 칭송받았고 현재와 미래까지 아우르는 신비한 숫자 1. ‘어린이과학동아’창간 1주년을 맞아 1이 펼치는 숫자의 ... 죽음을 맞게 되었지. 비록 경쟁자였지만 나는 스콧의 죽음에 매우 슬펐어. 스콧은 남극
최초
탐험에는 실패했지만 그의 용기와 애국심은 존경할 만해 ... ...
달 달 무슨 달?! 달이 너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8호
만인 7월 24일 무사히 지구로 귀환했습니다. 아폴로 11호 착륙 36주년2005년, 인류가
최초
로 달에 첫발을 디딘지 36년이 지났어요. 아폴로 11호 이후에도 많은 무인, 유인 탐사선들이 달의 비밀을 풀기 위해 달에 다녀왔지요.달은 공기와 물이 없고 낮과 밤의 온도 차이가 급격해 사람이 살기에는 ... ...
나도 이제 카트라이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8호
철로 만든 뼈대와 엔진, 자전거용 체인을 사용하여 조그만 자동차를 만들었어요. 그것이
최초
의 카트랍니다.뼈대만 있는 자동차가 뛰어난 힘과 속도를 내기 때문에 카트의 인기는 정말 대단했어요. 그래서 매니아들이 늘어나면서 미국에는‘고-카트 클럽’이라는 모임이 생겨나고, ‘고-카트’라는 ... ...
아름다운 15일 간의 우주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7호
이후 첫 우주왕복선을 이끌 선장으로 단연 아일린 콜린스를 지목했어요. 그녀가
최초
로 선장을 맡았던 1999년 비행에서 전기결함으로 인한 위기 상황을 맞이했어도 침착하게 극복한 경험이 있기 때문이죠. 1979년 공군비행사가 되었던 아일린 콜린스 선장은 스탠퍼드대학교와 웹스터대학교에서 ... ...
반가워, 서울숲의 친구들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5호
커뮤니케이션부장한 그루 나무를 가지자!서울숲은 시민이 주인인 숲이에요. 우리나라
최초
로 시민들의 기금으로 만들고 시민들의 힘으로 숲을 가꾸고 지켜나가는 숲이지요. 시민이 주인이기 때문에 누구나 편안하고 자유롭게 서울숲에서 휴식도 취하고 즐겁게 뛰어 놀 수도 있어요. 하지만 여러 ... ...
지진 생존자를 위한 '따뜻한 텐트'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추위와 강풍 실험을 통과했다. 재료시험에서 시료조각의 단면적 변화를 무시하고,
최초
의 단면적으로 외력을 나눈 값둘 또는 그 이상의 천체의 무게중심 공통 무게중심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관성계(慣性系)에 대해 정지(靜止) 또는 등속도운동을 한다 공항 주변이나 항공로의 관제를 위해 ... ...
1905년 11월 1일 날씨맑음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갑신정변이 일어난 1884년 6월이 될 것이다. 일기예보 기록을 중요하게 여긴다면
최초
의 자료가 나타날 때까지 1905년 11월 1일을 기준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단 침략사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말이다. 만일 우리민족이 주도했는가를 중시한다면 대한제국 시기인 1907년 1월 1일 또는 2월 1일이거나 ... ...
황우석 줄기세포, 줄기 꺾이나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그러나 이듬해 황 교수가 복제한 인간배아에서 줄기세포를 추출한 결과를 세계
최초
로 역시 ‘사이언스’에 발표해 섀튼 교수의 주장을 일시에 뒤집었다.그 뒤 섀튼 교수는 황 교수팀과 공동연구에 나섰다. 실험에 직접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논문을 쓰는 요령을 조언하거나 연구방향에 의견을 ... ...
신경세포에서 엿본 영혼의 그림자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아니었다”고 한다. 그는 KIST 신희섭 박사와 함께 생쥐에서 배아줄기세포를 국내
최초
로 만들어 낸 주역이다. 일부 유전자 기능을 없앤 ‘녹아웃 생쥐’(knock-out mouse)도 우리나라에서 그가 가장 먼저 성공했다. 그러던 그가 신경과학으로 전공을 바꾸게 된 계기는 생쥐의 발작.“한번은 ‘PLC-β1’이란 ... ...
이전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