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계의 미답지로 가는 여행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통틀어 말한다1833년에 프랑스의 페앵과 프뤼소가 맥아(麥芽)에서 추출한 역사상
최초
의 효소제품이다 아닐린에 염화벤젠디아조늄을 작용시키면 생성되는 화합물 1,3-디페닐트리아젠이라고도 한다녹는점 99~100℃의 담황색 결정으로 산에 의해 전위하여 4-아미노아조벤젠이 생성된다녹는점 이상으로 ... ...
2. 정자 없이 수정하는 난자 처녀생식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황 교수팀의 줄기세포가 정말 처녀생식으로 만들어진 것이라면 묘하게도 이 역시 ‘세계
최초
’가 된다.처녀생식 줄기세포는 난치병 치료에 쓰일 수 있다. 단 환자가 여성이어야 한다. 환자에서 난자를 채취해 처녀생식으로 수정란을 만든 다음 줄기세포를 얻으면 이 환자에게 이식할 때 ... ...
미래 정보저장기술의 주인공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영화 타이틀을 공개하며 세계에 자신들의 장점을 자랑했다.CD에서 3세대 광디스크까지
최초
의 광정보저장기기는 1982년 등장한 음악용 광디스크인 CD(Compact Disc)다. CD는 당시로선 획기적인 650MB란 대용량과 2Mbps의 빠른 전송속도를 강점으로 핵심 오디오 저장매체로 부상했다.1990년대 중반 2세대 ... ...
부끄럼 많은 태양계의 외톨박이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연다는 의미의 우주선 이름은 아주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우선 명왕성으로서는
최초
의 우주탐사선 방문이 된다. 명왕성 이후에는 태양계 형성의 비밀을 간직하고 있는 카이퍼벨트에 2016~2020년경 도달할 예정이다. 행성 X 의 발견?명왕성은 어떻게 발견됐을까. 1846년 8번째 행성인 해왕성의 발견은 ... ...
친절한 거미씨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학생들이 직접 생물들을 체험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특히 주필거미박물관은 세계
최초
의 거미박물관으로 김주필 거미 박사가 전세계를 누비며 모은 자료를 모아 뒀다.아라크노피아 생태수목원과 주필거미박물관에서는 거미표본 4000여 점과 한국 야생화 2000여 점, 수목 1000여 점 등 거미와 다양한 ... ...
GPS에 도전장 낸 갈릴레오표 우주나침반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군사용으로 개발된 미국의 GPS와 러시아의 GLONASS와는 달리 갈릴레오 시스템은 세계
최초
의 민간 전용 위성항법시스템이다. 두 시스템은 군사적 목적이나 전략적인 이해에 따라 언제든 중단될 수 있는 반면 민수용인 갈릴레오는 그렇지 않다.지난 2002년부터 추진되고 있는 갈릴레오 프로젝트는 이 ... ...
생명의 기원을 명강의로 푸는 어린왕자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스티븐 와인버그의 흥미로운 강연을 듣고 깊은 감명을 받았습니다. 그가 저술한 ‘
최초
의 3분’이란 책을 바탕으로 우주와 물질의 기원을 재미있게 풀어낸 명강이었죠.”어린시절 장미와 별을 보며 키워왔던 생명과 우주의 기원에 대한 탐구가 이때부터 본격화됐다고 김 교수는 회고했다.우주와 ... ...
오존 구멍 회복이 늦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1901년에 필로티와 슈베린이 포르피렉시드(II)를
최초
로 얻었는데, 이것은
최초
로 단리된 유기 유리기이다 합성고무의 하나로 부타디엔과 아크릴로니트릴의 혼성중합체 최대 특징은 내유성이 우수한 점이고, 고(高)니트릴고무는 개스킷 · 연료호스 · 링 · 오일실 등, 중고 니트릴고무는 오일실 · ... ...
잃어버린 줄기세포의 희망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황 교수의 모든 연구에 대해 진상 규명에 나서 23일 중간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세계
최초
의 획기적 연구 성과로 세상을 뒤흔든, 그 화려했던 논문이 다시 한번 세상을 뒤흔들며 추락하고 있다. 지금까지 밝혀진 ‘과학적 진실’은 과연 어디까지일지, 조사위원회의 발표 내용을 바탕으로 짚어봤다 ... ...
1. 대한민국 최고과학자의 몰락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영롱이’와 ‘스너피’도 도마에 올랐다. 영롱이는 황 교수팀이 1999년 탄생시킨 국내
최초
복제소다. 그런데 체세포 복제가 아니라 정자와 난자가 결합한 뒤 계속 분열하는 수정란을 둘로 나눠 각각을 핵을 제거한 난자에 넣고 복제하는 할구 복제로 탄생한 게 아니냐는 의혹을 사고 있다. ... ...
이전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