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2018 ‘한화 사이언스 챌린지’ 미래 노벨상 인재들의 축제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사이언스 챌린지’ 본선의 백미는 심층발표 및 토론이다. 각 팀이 20분 동안 발표한 뒤 참가자들끼리 토론을 한다. 수준 높은 질문이 오가며 대회장의 긴장감은 더욱 고조됐다. 초음파를 이용해 미세먼지 제거 장치를 제작한 ‘바코드’ 팀의 이준성 군(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2학년)은 ... ...
- Part 3. ‘대한민국 우주군’ 창설되나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년 이라크전에서는 미군이 조기경보위성으로 이라크군의 스커드미사일을 탐지해 추적한 뒤 패트리어트미사일로 방어했으며,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위성으로 정밀 유도무기를 썼다. 또한 전쟁 시 폭증하는 통신과 기상 정보를 위성을 이용해 원활히 활용할 수 있었다. 美 우주군, 위성에서 ... ...
- 세살 기억 여든까지 간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기억을 떠올린 것은 아니다”라며 “유아기 기억이 뇌에 남아 있더라도 성인이 된 뒤 모두 회상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의미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사람은 어떨까. 실험용 쥐는 유전적으로나 환경적으로 거의 동일한 상태인 만큼 일정한 자극에 나타내는 행동 패턴도 거의 동일하다. 반면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자라면서 세포층이 톱니바퀴처럼 안쪽으로 불쑥불쑥 솟아나고, 그로부터 약 5일 뒤 솟아난 세포들이 지그재그 모양으로 대열을 갖추면서 융모로 발달한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위 사진).doi:10.1126/science.1238842 소장은 대략 6m나 되는 길이만으로도 놀랍지만, 소장이 발달하는 그 ‘속 이야기’는 더 ... ...
- Part 3. 9를 사랑한 음악가 콘서트수학동아 l2018년 10호
- 9입니다. 저는 학창시절부터 9를 좋아했어요. 9는 일의 자리 수 중 가장 큰 수면서 가장 뒤에 있는 수라서, 어리숙해 보이면서도 믿음직스럽다고 생각했거든요. 꽉 찼지만, 아직 완벽하지 않다는 점이 정감 가기도 하고요. 바로 저처럼요.0(유정목) 기타를 연주하는 0입니다. 리더인 9가 멤버 모두 ... ...
- [서울대 에너지자원공학과] 21세기 한국의 미래, 에너지자원공학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못 풀겠더라고요. 그래서 진로를 바꿨습니다.”허 학과장은 에너지자원공학과에 입학한 뒤 2년 동안 공부하면서 공학도의 길이 자신과 잘 맞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다른 진로를 찾기 위해 들었던 산업공학과 수업은 성적이 잘 나왔지만 끌리지는 않았다. 그러다가 4학년 때 새로 학과에 부임한 ... ...
- Part 2. 우주공장 제품을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지난 2016년, 비행기를 타고 올라가다가 떨어지며 약 30초 동안 무중력 상태를 만든 뒤, 그 동안 3D 프린터로 인공 심장을 찍어내는데 성공했지요. 테크샷의 3D 프린터가 무중력 상태에서도 작동하는지 확인한 거예요. 하지만 인공심장을 만들기 위해서는 3D 프린터로 찍어낸 다음 과정도 중요해요. ... ...
- Part 3. 수학 문제도 컴퓨팅 사고력으로수학동아 l2018년 09호
- 위해 일련의 절차를 공식화한 것 입니다. 우리는 문제를 읽고 수학 공식을 세운 뒤 공식을 풀어 답을 구합니다. 이때 세운 수학 공식도 알고리듬입니다. 즉 어떤 문제가 됐든 컴퓨터가 잘 이해할 수 있도록 간단하게 공식화한 게 알고리듬이다 보니, 알고리듬을 잘 만드는지 평가할 때 수학 문제가 ... ...
- [엔씨소프트와 함께하는 수학동아 게임카페] 슈퍼마리오를 내 손으로수학동아 l2018년 09호
- 구상했다는 이서하 군은 “밑에서 치면 아이템이 나오는 장치를 넣었다”며 “뒤에 나오는 적을 여러 개 겹쳐 놓아서 한 번 맞으면 생명이 네 개 닳기 때문에 꼭 앞의 아이템을 먹고 지나가야 스테이지를 깰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특별한 아이템을 많이 넣었다는 최지안 군은 “먹으면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 대푯값 편수학동아 l2018년 09호
- 모두 더해서 n으로 나눈 값입니다. 두 번째는 ‘기하 평균’으로 자료의 값을 모두 곱한 뒤 그 값의 n제곱근을 구하는 것이고, 세 번째는 ‘조화 평균’으로 n을 각 자료의 역수의 합으로 나눈 값이예요.세 평균은 모두 대푯값 역할에 적합하면서 동시에 부등식 ‘조화 평균≤기하 평균≤산술 ... ...
이전3083093103113123133143153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