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뜨거운 건 무거워야 안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압력의 단위부터 정해져야 물을 이용해 표준 섭씨온도를 정하는 방법이 의미가 있다.지구를 둘러싼 공기층은 우리에게 생각보다 큰 압력을 가한다. 손바닥 위에 가로 세로가 각각 1cm가 되는 작은 정사각형을 그려보자. 대기권이 우리 몸을 누르는 힘은 이 작은 면적(1cm2)에 무려 질량 1kg인 물체가 ... ...
- 치아 만드는 유전자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치아뿌리가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사실도 알아냈답니다.크크! 치아 걱정 없이 지구를 정복하러 가야지~!안타깝지만 닥터 그랜마, 이 유전자를 이용해 자기 치아를 만드는 기술이 개발되려면 오랜 시간이 걸려요. 그러니 남아 있는 치아를 건강하게 지키는 게 중요해요. 그러려면 충치균이 ... ...
- 치키노사우루스 가능할까? 동물 복원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보면 고양이가 사람을 사냥해 잡아먹었다고 추측할 수도 있답니다.*현생 동물 : 현재 지구에 살고 있는 동물.화석으로부터 멸종동물을 복원하는 방법1단계 지층에서 발굴한 뼈 화석을 부위 별로 맞춘 다음, 현존하는 동물 중에서 가장 비슷한 동물을 찾는다.2단계 닮은 동물을 해부해 뼈와 근육이 ... ...
- 닥터 그랜마도 깜짝 놀란 사물인터넷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기록4등급 (비밀 아닌 비밀) 이름, 전화번호 이젠 정말 진짜로 도넛을 먹을 수 있게 됐어! 지구 정복은 내일로 미루고 스마트 기술로 이뤄진 나의 스윗홈에서 일단 휴식을 즐겨볼…. 아니 근데 초코도넛은 없고 웬 채소가? 냉장고가 내 신체정보를 학습하더니 몸에 좋은 채소만 사다 놓은 거 있지! ... ...
- Part 2. 한반도 덮치는 무서운 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6개가 지난 10년간 꾸준히 수위가 줄었다.‘무서운 물’에 직격탄 맞는 한반도기후변화로 지구가 뜨거워지면서 가뭄은 길어지고, 홍수는 늘고, 지하수는 사라지고 있다. 물과 관련한 이상기후로 매해 수만 명이 사망하고, 부족한 수자원을 두고 국가 간에 분쟁이 일기도 한다. 먼 나라 이야기라고 ... ...
- Part 3. 공유, 기술, 소통으로 본 똑똑한 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는 중해상도 분광기다. 모디스는 36개 파장의 빛으로 지구를 찍어서 육안으로 볼 수 없는 지구의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적외선을 쏘면 지표 온도, 해수면, 식생지수 등을 알 수 있다. 식생지수는 적외선과 근적외선 영상을 조합해 만든 지표다. 식생지수 값이 1에 가까울수록 식물과 생물이 많은 ... ...
- [과학뉴스] 빛의 속도 논란, 아인슈타인 승?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광자는 저에너지 광자보다 수 분 늦게 도착해야 한다.분석 결과, 파장이 다른 두 광자가 지구에 도달하는 시간차는 겨우 수 분의 1초에 불과했다. 광자 에너지가 빛 속도에 영향을 준다는 양자중력이론의 예측이 어긋난 셈이다. 연구에 참여한 이스라엘 예루살렘 히브리대 츠비 피란 교수는 “이번 ... ...
- [Knowledge] 지질도 보면 싱크홀 피할 수 있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디지털로 만든 지질자료에 증강현실 기술을 접목하는 연구를 준비하고 있다. 인류가 지구라는 행성에서 과학기술과 더불어 살아가는 동안 지질학의 기본을 이루는 지질도는 더욱 정교해질 것이다. 다만, 지질학 전공자들이 기초 연구보다는 응용 연구를 선호하는 현실은 다소 아쉽다. 지질도를 ... ...
- [Knowledge] 유로파를 향해 떠나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1년. 지구의 물은 2년 뒤에나 다시 볼 수 있을 터였다. 유로파에도 물이 있다지만 지구의 물과는 느낌이 다를 터였다.10년 전 화성 탐사를 할 때, 나는 향수병에 시달렸고 말 못할 온갖 고생을 다 겪었다. 그리고는 결심했다. 다시는 우주 탐사에 나서지 않겠다고. 하지만 다짐은 무용했다. 나는 또다시 ... ...
- [Knowledge] 길고 짧은 건 '단위'로 재봐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타원체가 아니라 정밀한 거리를 재기도 어려웠고, 무엇보다 1m가 궁금할 때마다 매번 지구 둘레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거리를 걸어다닐 순 없었다.1799년 위원회에서 또다른 제안이 나왔다. 여러 나라가 모여 정확히 1m에 해당하는 길이를 약속하고, 그 길이를 갖는 금속 막대를 하나 만들어 프랑스에 ... ...
이전3073083093103113123133143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