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레벨
규격
표준
계급
d라이브러리
"
수준
"(으)로 총 5,615건 검색되었습니다.
쓰나미도 잠재운 산호초의 힘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좋은 것 이상의 중요성이 있다. 만약 산호초가 없었다면, 열대바다 생물의 다양성은 현재
수준
에 훨씬 못 미쳤을 것이다. 탁 트인 바다에는 생물들이 숨을 만한 곳이 많지 않다. 그러나 나뭇가지처럼 복잡하게 얽혀있는 산호초에는 물고기를 비롯한 해양생물들이 포식자를 피해 숨을 만한 곳이 많다. ... ...
한국 숲은 이산화탄소 청소기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2월초 비공식 거래가 시작된 이산화탄소 배출권은 지난해 t당 5달러
수준
에서 현재 10달러
수준
으로 뛰어올라 이산화탄소가 돈이라는 사실을 실감나게 했다. 이 거래소는 2년 안에 온실가스 거래 규모가 200억달러(20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한국은 퍼스텍이라는 기업이 처음으로 유엔 ... ...
황금 주파수를 잡아라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중 24%는 군사용 주파수로 10%
수준
에 불과한 외국에 비해 군용주파수 비중이 매우 높다. 전시에 대비해 군에서 미리 상당수의 주파수를 점유해놨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신규 서비스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상당수 자원이 사용되지 못한채 ... ...
차세대 정보통신기술 흐름 한자리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분류된다.삼성전자는 자체 개발한 모뎀칩을 탑재한 HSDPA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상용
수준
의 휴대전화를 이번 전시회에서 세계 최초로 시연했다. 삼성전자 김운섭 부사장은 “우리가 시연한 HSDPA폰은 최근 지멘스 등이 선보인 박스 크기의 테스트 단말기와는 차원이 다르다”며 “상용단말기를 ... ...
냉중성자 연구로 나노혁명 이끈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밀도와 단위부피당 출력은 크게 올라간다. 반면 같은 출력의 발전용 원자로 보다 50분의 1
수준
에 불과한 규모다. 짧고 굵게 타버린 탓에 연료는 수시로 교체된다. 이 때문에 연평균 150일은 연료 교체를 위해 가동을 중단한다. 이처럼 연구용 원자로를 유지보수가 까다롭기 때문에 23일 운전, 12일 ... ...
KIST 휴머노이드에 '마루' '아라' 이름 붙어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최근 밝혔다. 마루는 정상, 높은 곳을 뜻하는 순우리말로 한국 로봇의 높은 기술
수준
을 희망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또 아라는 ‘주인을 알아보는 로봇’이라는 뜻을 담기 위해 ‘알아’의 음을 빌린 것이다.마루와 아라는 키 150cm, 무게 67kg에 사람처럼 머리와 몸통 팔다리 등으로 구성돼 있고, 미리 ... ...
“디자인은 기술을 안내하는 설명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시작한지는 불과 10년. 1990년대 초까지만 해도 국산 제품 디자인은 거의 외국제품 베끼기
수준
에 불과했다. 그러다 정보기술(IT)이 발전하면서 창의적이고 모험심 강한 디자인회사들이 하나둘 기지개를 펴기 시작했다. 모토디자인은 그 가운데 비교적 일찍부터 독자적인 제품 디자인에 뛰어든 회사다. ... ...
안 봐도 보이는 모자 색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그 이전 번역판보다 훨씬 떨어졌다. 일본의 1960년대 출판
수준
이 1990년대 한국의
수준
보다 나았다기보다는 국내에서는 시시한 수수께끼 책 정도로 생각하고 너무 성의 없이 만들었던 게 아닌가 싶다.그래서인지 인터넷에서 한국과 일본의 퍼즐 관련 웹사이트들을 비교해 보면 양과 질 모든 면에서 ... ...
물 위 나는 대형 위그선 2009년 개발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유럽 등에서 제조기술 특허까지 받았다.해양부는 위그선이 상용화되면 항공요금의 절반
수준
으로 국내 연안과 중국 동부 연안, 일본 등지를 1∼3시간에 연결할 수 있어 동북아시아 여객 및 화물운송 시장에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 ...
“일단 믿고 맡겨봐” 인간과 맞붙은 로봇 외과 의사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그리 어둡지 않다. 지금까지 로봇은 정교한 수술과 반복적인 수공 작업을 대체하는
수준
에 불과했다. 그러나 앞으로는 수술하는 집도의가 로봇의 말단 장치에 전달되는 감각을 직접 느끼면서 수술하는 ‘햅틱 기술’(과학동아 2003년 10월호 참조)과 결합한 첨단 수술시스템으로 거듭날 것이다. ... ...
이전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