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준"(으)로 총 5,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03. 빠른 비트에 몸을 맡겨라과학동아 l2005년 06호
-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이 컴파일러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수행할 수 있는 하위 수준 프로그램으로 변환됐는데, 컴파일러를 통해 변환된 프로그램이 아주 간단한 명령어를 주로 사용한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간단한 명령어만을 지원하다보니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구조도 훨씬 간단해졌고 이로 ... ...
- 디카, 과학으로 찍는다과학동아 l2005년 06호
- 화각은 매우 넓다. 특히 움직이는 물체를 보면 180도까지 넓어진다. 거의 전방위라고 할 수준이다. 우리 눈에 보이는 상은 눈동자가 끊임없이 움직이며 수집한 상을 합성한 것이다. 주의를 집중하면 대상물 주위로 시선이 집중되면서 사각도 줄어든다.문제는 여기서 시작된다. 뭔가 특별한 것을 ... ...
- 대학 교수에게 물리 과외받기과학동아 l2005년 06호
- 어떻게 대답해야 할까. 정답 맞추기에 급급한 요즘 교육으로는 선뜻 대학이 원하는 깊은 수준의 설명이 어렵다. 그러나 롤러코스터에 작용하는 알짜힘의 방향과 가속도 등 물리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다면 이 문제는 어렵지 않다(정답은 왼쪽 아래).한국물리학회가 직접 6명의 대학교수와 ... ...
- 가상현실로 정신병 치료과학동아 l2005년 06호
- 뇌 발달과정에서 생긴 이상이 훗날 발현하는 생물학적 병이라는 얘기다. 지능이나 교육 수준, 부모의 양육태도, 성격 등은 무관하다는 게 권 교수의 설명이다.정신분열병 치료는 그만큼 어렵다. 지금까지 치료에는 항정신병약물이 주로 사용돼 왔다. 약물을 복용하지 않고 완쾌됐다면 정신분열병이 ... ...
- 나노 기술로 거장의 작품을 재현한다과학동아 l2005년 06호
- 의사의 ‘大韓國人’(대한국인) 글씨, 한반도 지도 등 다양한 2차원 그림도 모두 100nm 수준의 정밀도로 제작했다. 이런 그림을 그리는 공정을 ‘나노 복화(復畵)’ 기술이라고 부른다.양 교수는 “현재 80nm를 최소 단위로 하는 정밀한 형상 제작이 가능하다”며 “앞으로 50nm급 정밀도로 최대 500μm ... ...
- PART 02. 알레르기 잡아먹는 기생충과학동아 l2005년 06호
- 대상이다. 암 공격하는 기생충더욱 혁신적인 아이디어도 있다. 아직은 가설이나 구상 수준에 그치고 있지만 실현만 되면 기생충을 인간의 좋은 친구로 격상시킬 것이다.하나가 기생충으로 암을 치료하려는 것이다. 서울대 의대 채종일 교수는 “톡소포자충이라는 기생충에 감염되면 몸 안에서 ... ...
- 02. 플래시 터뜨리는 황의 법칙과학동아 l2005년 06호
- 세계 최대였다. 인텔은 올해 65nm 공정기술을 적용할 예정이며, 다른 경쟁사들은 아직 90nm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는 삼성전자가 수년간 시장을 지배해온 노어(NOR) 플래시메모리를 버리고 낸드(NAND) 플래시메모리를 선택한 것과도 잘 맞아떨어졌다.낸드 플래시메모리는 음성이나 화상 등 용량이 큰 ... ...
- VHS vs 베타과학동아 l2005년 06호
- 베타맥스는 시장 점유율에서 서서히 JVC의 VHS에 밀리더니 1984년에는 판매량에서 4분의 1 수준도 이르지 못했다. 그 후에도 상황은 호전되지 않았고 드디어 1980년대 말 소니는 베타맥스 생산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최초의 트랜지스터 라디오, 트랜지스터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를 개발하면서 전자 ... ...
- 복제양 '돌리' 만든 윌머트박사, 황우석교수에 공동연구 제안과학동아 l2005년 05호
- 논의하기 위해 자비로 방한한 윌머트 박사는 황 교수의 실험실들을 둘러보고 “매우 수준 높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었다”며 “공휴일(식목일) 오전 9시에 서른 명이 넘는 연구원이 실험실에 나와 연구에 전념하는 모습이 매우 인상적”이라고 밝혔다 ... ...
- 정부와 기업이 관심을 갖는 미국의 과학교육과학동아 l2005년 05호
- 전국과학교사협회의 현종오 회장(성동기계공고)은 우리나라의 과학교육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가늠하고 “이런 행사에 참석해 선진국과 정보를 교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국내에서 자체적으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행사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컨퍼런스에도 20~30명의 한국 과학교육 ... ...
이전3053063073083093103113123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