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공룡 족보, 100년 만에 바뀔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포함됐고, 조반류 공룡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을 중간형의 공룡을 고려해 최소 사촌 이상의 먼 친척으로 분류했다. 현재까지도 엉덩이뼈를 바탕으로 하는 실리 교수의 구분법이 이용되고 있다.수각류 공룡은 조반류와 형제일까그런데 최근 이 구도에 균열이 생겼다. 영국 케임브리지대와 ... ...
- [Origin] 스페인 유전체조절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유럽 연구소들이 대부분 그렇듯, CRG는 박사 후연구원이나 주니어 그룹 리더의 경우, 5년 이상의 장기 계약을 하지 않는 원칙을 가지고 있습니다. 새로운 연구원들이 많이 유입될 수 있도록요. 또 CRG는 특별히 여성 과학자들을 위한 ‘Women in Science’라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선임연구원 ... ...
- Intro. 남쪽의 작은 고장 ‘순창’, 장수로 흥하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놀라울 정도로 정정했다. 지팡이가 없으면 오래 걷기 힘든 어르신도 있었지만, 절반 이상의 어르신이 스스로 걷는 데 문제가 없었다. 건강의 비결을 물어도 장수인들의 대답은 하나같이 “허허허”라는 웃음뿐. 이쯤 되니 이들의 건강한 장수 비결이 정말 궁금해진다. 기자가 어렵게 알아낸 장수 ... ...
- Part 3. 장수촌의 비밀, DNA는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많이 들어있는 음식은 된장, 청국장, 고추장 등으로 장수촌 백세인들의 기본 식사에 하나 이상은 들어가는 음식들이다. 장내미생물의 분포를 변화시키는 데에는 먹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김 교수의 2015년 논문에 매우 흥미로운 결과가 있다. 어린아이와 장수촌 노인들의 장내미생물의 분포가 ... ...
- Part 3. 별별 사랑 배달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뛰어나요. 캐나다 레스브리지대학교 연구팀은 벌새가 다른 새보다 해마의 크기가 5배 이상 크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해마는 뇌에서 기억력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해마가 클수록 기억력이 뛰어나지요. 덕분에 벌새는 해마다 같은 위치에 핀 꽃을 찾아갈 수 있답니다.또, 새는 곤충보다 멀리 날아갈 ... ...
- 수학이 빚은 조각 보석수학동아 l2017년 05호
- 통과하는 가상의 선. 이 선을 기준으로 결정을 360° 회전시켰을 때 처음 모양과 2번 이상 겹쳐야 한다. 쌩얼이 빛나는 비결TV 프로그램을 보면 종종 ‘원석을 발견했다’, ‘예능 원석을 찾았다’고 합니다. 아직 능숙하지 않지만 재능이 뛰어난 신인이나 아마추어를 ‘원석’이라고 표현하죠. 원석은 ... ...
- [과학뉴스] 지구 최강 생명체, 물곰의 비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생명과학연구소 토마스 부스비 박사팀은 물곰이 극저온에서 10년 이상 건조 상태를 유지해도 살아남을 수 있도록 돕는 단백질 그룹을 찾아 학술지 ‘분자세포’ 3월 16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물곰이 완전히 말라버렸을 때 높게 발현된 유전자를 발견했고, 이 유전자로 ... ...
- [Future] 가짜 뉴스 꼼짝 마! 팩트 체크 인공지능 나선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방법을 연구 중입니다.완전 자동화된 팩트 체크 기술이 위험하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이상욱 한양대 철학과 교수는 “우리가 사실이 라고 말하는 것은 여러 종류의 관련 증거에 입각해 가장 합리적으로 믿을 만한 내용이라는 ‘판단 사실’에 가까운 데, 인공지능은 판단 사실을 마치 실재 사실인 ... ...
- [Future] 아동학대수사, 로봇이 도울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때문에 피해 아동의 증언이 유일한 증거인 경우가 많다. 문제는 아동 진술의 신빙성. 3세 이상의 아동은 경험을 정확히 진술할 만한 잠재력을 갖고 있지만, 어른에 비해 환경에 좌지우지되기 쉽다.두 가지 상황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조사관이 의도적으로 답변을 유도하는 경우다. 이런 정황이 ... ...
- [Issue] 개나리와 벚꽃이 동시에… 봄꽃이 미쳤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연구원은 “과거 개화시기 데이터와 기온 자료를 분석해보면 온난화에 따른 이상기온 현상이 봄꽃 개화시기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최근 한반도의 기후변화 양상을 보면 초봄 기온은 완만하게 상승하고 있는 반면 늦봄의 기온은 급격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 ...
이전306307308309310311312313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