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과학자들이 반한 벌레의 능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곳도 문제없어!▶중요 기술 다리를 활처럼 구부리기 벼룩은 무려 자기 몸길이의 100배 이상 뛸 수 있어요. 150cm인 사람으로 치면 한 번 점프해서 커다란 빌딩 꼭대기까지 올라갈 수 있는 셈이지요. 벼룩이 이렇게 놀라운 점프 능력을 갖고 있는 이유는 점프할 때 근육뿐만 아니라 근육을 감싸고 있는 ... ...
- [Future] 잠 테크놀로지 시대, 숙면 위해 ○○하라!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기자의 수면효율 예측 값은 91.6%. 정상적인 수면을 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기준은 90% 이상이다. 아슬아슬하게 정상 수치를 넘겼다. 어떤 원리로 수면 효율을 계산하는 걸까. 박광석 서울대 의대 의공학과 교수와 정다운 연구원은 잠들기 전 관찰한 자율 신경계 활동이 수면효율을 예측할 수 있는 ... ...
- [Issue] 나폴레옹이 6월에 전쟁을 떠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이집트 사막지방에서 불어오는 강력한 모래폭풍이다. 이 폭풍이 불기 시작하면 일주일 이상 지속되는 경우도 많다. 지금도 함신이 불어오면 중동 지역에서는 휴업 및 휴교령을 내린다. 2003년 이라크 전쟁 때는 미군이 승승장구하다가 함신이 불어온 날 이라크에 공격을 당해 헬기 네 대와 전투기 두 ... ...
- [Issue] 슈퍼박테리아 비상, 그런데… 한국엔 재래식 무기만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것을 밝히기까지 추가적인 시간을 합하면 평균 10년이 필요하다. 기업들은 최소 1000억 원 이상이 드는 항생제 개발에 성공해도 2년 안에 내성균이 생겨 무용지물이 되기 때문에 투자를 꺼린다. 이 때문에 미국은 개발비용을 줄이고 신물질 적용시간을 앞당기기 위해 독성만 없는 것이 확인되면, 임상 ... ...
- [Origin] 기체 방울 속에 우주와 블랙홀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관찰해야만 하는데, 놀랍게도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체는 이 목적에 부합하는 가장 이상적인 시스템이 될 수 있다. 게다가 물리학의 난제인 ‘초 플랑크 영역의 문제’(138쪽 박스 참조)를 해결할 실마리도 제공할 수 있다.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체로 인플레이션 구현한다최근 필자의 연구팀은 온도 ... ...
- Part 3. 최고의 빵 만드는 ‘태양의 손’은 누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때문이다. 특히 제빵할 때 인위적으로 넣는 유산균(락토바실러스)은 포도당을 분해해 85% 이상 젖산을 만들지만, 자연에 존재하는 유산균(락토바실러스와 루코노스톡)은 젖산 외에도 휘발성 물질인 알코올과 이산화탄소를 만든다. 휘발성 물질과 기체가 많다는 것은 그만큼 풍미를 많이 낸다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서울대 다이로스 연구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목적지만 입력하면 운전자는 눈을 감아도 되지요. 레벨 4에 이르려면 최소 5년 이상은 걸릴 거예요.”차의 지붕과 정면에는 눈에 해당하는 레이저 센서가 달려 있었어요. 트렁크에는 컴퓨터가, 조수석에는 모니터가 들어 있었지요.“레이저 센서가 주변을 입체적으로 감지하면 컴퓨터가 도로 ... ...
- [매스미디어] 캐리비안의 해적 - 죽은자는 말이 없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잭. 물론 이번 영화에서도 살아남을지는 모르지만, 지금까지 몇 번은 저 세상으로 갔어도 이상하지 않다. 5편을 보기 전에 잭이 수많은 적으로부터 살아남을 수 있었던 비법을 알아보자.우여곡절 잭 스패로우의 생존 비밀이번 영화의 예고편을 보면 시리즈를 통틀어 가장 고생할 잭의 모습이 선하다. ... ...
- [에디터 노트] 에디터 토크 5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기사, 암 기획을 쓴 이영혜 기자입니다.편 : 암이 이상하다!이영혜 기자(이하 이) : 그러게 이상해!편 : 암이 걸리는 원인 중에 무작위적인 돌연변이가 가장 많다니, 이건 낯선 소식.이 : 그간 생활 습관이나 환경, 유전적 요인을 더 크게 꼽았는데, 충격.편 : 그럼 사람이 할 수 있는 게 없다는 뜻? 그냥 ... ...
- [과학뉴스] 인간의 후각, 기대 이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흔히 인간의 후각 능력은 동물에 비해 떨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뇌 전체에서 후각신경구가 차지하는 상대적 크기(비율)가 다른 포유동물에 비해 작기 때문이다. 그런데 미국 럿거스대 심리학과 존 맥간 교수는 최근까지 나온 후각 관련 논문 101편을 분석해서 통념을 뒤집는 결론을 얻었다.맥간 교 ... ...
이전3043053063073083093103113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