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미니
뉴스
"
초소형
"(으)로 총 716건 검색되었습니다.
[KAIST서밋]日 도쿄공업대 총장 "대학은 사회와 함께 미래 그리고 연구자가 실현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1.02.03
영양소와 운동을 제안한다. 학자들을 이를 실현하기 위해 건강 상태 측정에 필요한
초소형
정밀 기계기술(MEMS)로 만든 센서를 개발하고 응용하는 연구를 제안할 수 있다. 또 다른 시나리오는 2040년에 현재 일상에서 하는 모든 일을 집에서 할 수 있게 되어 집에서 보내는 시간 늘어나고 가족의 ... ...
충돌위협소행성 '아포피스' 한국 우주개발 새 목표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1.29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다. 2018년 마련된 제3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에는 소행성 탐사에
초소형
위성을 활용하고 정부출연연구기관 사업을 활용해 소행성 자원을 채취하는 내용이 담겼다. 개발에 수년이 걸리는 우주탐사를 감안하면 늦어도 2022년에는 설계에 들어가야 한다. 우주개발 주체가 ... ...
인공 뇌 신경회로 분석할 3D 전극시스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8
입체 형태의 인공 뇌 회로를 망가뜨리지 않고 회로의 신호를 3차원으로 실시간 측정하는
초소형
분석 시스템을 개발했다. K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뇌 연구에 쓰이는 3차원(3D) 인공 뇌를 망가뜨리지 않고 신경 신호를 읽을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실제 뇌에 가까운 인공 뇌를 분석할 수 있게 ... ...
5t급 국산 우주 로켓엔진 불 뿜었다…하이브리드 로켓엔진 개발하는 이노스페이스는 어떤 기업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1.01.27
차관은 엔진 연소시험이 끝난 후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국토관측‧재난대비
초소형
위성 개발 등 우주분야 공공수요가 크게 창출되고 있다”며 “민간기업들이 우주산업에 과감히 도전할 수 있도록 우주기업들의 기술개발과 전문인력 양성을 지원하고 우주산업 촉진을 위한 제도 마련 등을 ... ...
차세대 한국형발사체 목표 2029년 소행성 탐사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1.25
아포피스의 자전 특성과 표면 지형을 관찰했다. 2029년 7월에는 아포피스 표면으로 내려가
초소형
로봇을 내려놓고 시료를 채취하는 데도 성공했다. 최영준 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본부장은 이달 25일 대전 유성구 천문연에서 열린 제3회 과학기술미래포럼에서 발제자로 나서 한국이 미래에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모빌리티 기술
과학동아
l
2021.01.16
주어진 임무를 완수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곤충을 본떠 개발되고 있는
초소형
비행체들은 적에게 들키지 않고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스파이 로봇이나, 야생동물들이 놀라지 않게 하면서 자연을 탐사하는 로봇으로 활용될 전망이다. ☞ 마이크로스위머 3종이 움직이는 모습 보기 ... ...
로봇을 보는 순간 실험쥐들 머리의 LED가 동시다발로 반짝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15
확인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뇌에 전극을 꽂아 실시간으로 뇌 신호를 처리하는
초소형
프로세서와 LED를 결합해 뇌파를 빛으로 바꾸는 뇌파측정시스템 ‘씨브레인’을 개발했다. 신호가 나오는 뇌 영역에 따라 다른 색을 띠고 신호가 강할수록 밝은 빛이 나온다. 연구팀은 딥러닝과 통계 ... ...
세계 최대 전자·IT 전시회 CES 온라인 개막…혁신 기술 면면은
연합뉴스
l
2021.01.11
적용한 마이크로 LED TV를 전 세계에 선보인다. 마이크로 LED는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초소형
LED를 사용해 기존의 TV 디스플레이들과는 달리 각 소자가 빛과 색 모두 스스로 내는 유일한 제품으로, 삼성 제품은 CES 2021 최고 혁신상을 받았다. LG전자는 이번 CES에서 48인치용 구부러지는 '벤더블' ... ...
[한 토막 과학상식]잡음 적은 레이저 '브릴루앙 레이저'란 무엇인가
2020.12.24
데 유리하다. 여기에 브릴루앙 산란이 잘 일어나는 물질을 찾아 레이저에 적용하면
초소형
및 저전력 레이저를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이한석 KAIST 물리학과 교수와 이용희 KAIST 물리학과 교수, 최무한 경북대 전자공학부 교수, 최덕용 호주국립대 교수 연구팀은 23일 브릴루앙 산란 현상이 수백배 ... ...
머리카락만큼 가는 모세혈관 속 누비는
초소형
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3
개발된 '카테터' 로봇. 스위스 로잔연방공과대 제공 머리카락만큼 가는 지름 100마이크로미터(μm∙ 100만분의 1m)의 구불구불한 모세혈관을 자유자재로 돌아다니는 로봇이 개발됐다. 복잡한 뇌 속 모세혈관과 연관된 신경장애를 치료하는 새로운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흐무트 셀만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