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천문"(으)로 총 77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천문대] 이달의 우주 날씨 1회 방송 안내!공지사항                                        l20210120
 
                            - 날씨에서는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 천체와 특별한 천문 현상에 대해 말씀 드려요.   재미있는 퀴즈와 별빛미션까지 함께한다면 모두 천문우주 박사가 될 수 있겠죠?   이달의 우주 날씨는 매달 한 번 만날 수 있어요!   이번 주제는 2월 명절을 맞이하여 정월대보름에 뜨는 달이 가장 클까? 입니다.     정답이 궁금하다면 지금 바로  ...
                            
 
                        
                        
                                            
                                                        - 메소포타미아 문명에 대해 알아보자!!기사                                        l20210119
 
                            - 인류 최초의 문명인 메소포타미아 문명을 건설했다고 합니다. 관개 농업등 발달된 농업기술을 바탕으로 여러 도시들을 세웠으며 문자,천문학,달력 등 고도로 발달 된 문명을 이룩했다고 합니다 또 수메르인들은 태음력이라는 달력을 만들어 농사에 이용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음.... 그렇다면 태음력은 무었을까요? 태음력이란 달의 모양 변화를 기준으로 한 달 ...
                            
 
                        
                        
                                            
                                                        - 미지의 세계, 우주 4탄 (8가지 행성2)기사                                        l20210118
 
                            - 달려있다' 라고 말합니다. 그로부터 50년 뒤, 내덜란드 전문 학자 '호이겐스'가 토성에 달린 것이 고리임을 알아냈고, 1675년 이탈리아 천문학자 '카시니'가 토성의 고리가 여러개였음을 알아냅니다. 참 재미있네요!    3. 천왕성  천왕성은 태양계에서 가장 추운 온도를 기록하고 있는 행성입니다. 그 온도에 기록은 영하 226도! 엄청 낮네요 ...
                            
 
                        
                        
                                            
                                                        - 과거에 태양계에는 19개의 행성이 있었다고???기사                                        l20210115
 
                            - 합니다. 248년간 공전하는 동안,명왕성은 거의 20년 동안 해왕성보다 태양에 더 가까워지지만 해왕성과 충돌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천문학자들은 이 천체들을 행성으로 분류하지 않고 명왕성을 왜소행성으로 분류했습니다.명왕성의 대기는 98퍼센트가 질소입니다. 핵은 약 430km라더군요. 1회 자전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6387일 입니다.  에리스입니 ...
                            
 
                        
                        
                                            
                                                        - 달력은 왜 일요일부터 시작할까?!기사                                        l20210105
 
                            - 무엇일까요? 율리우스력은 4년마다 12월32일을 추가하는 윤년을 두었는데 율리우스력의 1년 길이는 365.25 일이였다고 합니다. 이는 천문학의 회귀년보다 0.0078일 더 길었기 때문에 128년마다 1일의 편차가 났다고 하네요.  이를 보환하는 것이 그레고리스력 인데요 당시 교황이 었던 그레고리오13세는 율리우스력의 3일을 없애 단점을 해결했 ...
                            
 
                        
                        
                                            
                                                        - [과학동아천문대] 2021년 첫 별빛미션!공지사항                                        l20210105
 
                            - 여러분 안녕하세요! 과학동아천문대장이에요 '_'   지난 한 해 동안 21 개의 별빛미션으로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어서 저는 너무 행복했답니다.   2021년에는 더 재미있고 흥미있는 주제를 준비하고 있으니, 여러분들의 무한한 상상력으로 별빛 ... 참여할 수 있어요~   ※모바일 앱은 안드로이드 “Play 스토어”에서 “과학동아천 ...
                            
 
                        
                        
                                            
                                                        - 저두 100문 100답 도전 합니당포스팅                                        l20210103
 
                            - 넹 엄마한테도 말하기 싫은   #72. 존경하는 사람은?: 칼세이건   #73. 72에서 존경하는 사람이 있다고 했다면 그 사람은 어떤 직업인가?: 천문학자   #74. 어른이 되어서 꼭 하고 싶은 것은?: 강아지 키우기   #75. 곧 해야 하는 것은?: 동영상 강의 듣기   #76. 어과동은 언제 부터 보기 시작했어?: 2019년 마지막호  ...
                            
 
                        
                        
                                            
                                                        - 유레카의 유래를 알아보아요 !기사                                        l20201231
 
                            - r4_image_sas%3Ablog143672980%7C6%7C222134923681_868827565)     먼저, 유레카는 그리스어로 '알았다 , 찾았다 ' 라는 뜻인데요, 유레카는 오래전 , 천문학자 피라쿠스의 아들인 아르키메데스로부터 유래되었습니다.   왕은 자기의 왕간이 황금이 아니란 소문이 있어서, 진짜 금이 맞는지 아닌지 궁금했습 ...
                            
 
                        
                        
                                            
                                                        - 대전 시민 천문대에서 다녀와서.......기사                                        l20201223
 
                            - 안녕하세요. 김다현 기자입니다.   저는 얼마 전 친구와 대전 시민 천문대에 다녀왔습니다. 대전 시민 천문대 건물 안에서는 사진을 찍을 수 없어서 건물에 들어가기 전에 사진을 찍었습니다. 건물에 들어가 ... 1년 동안 이동한 거리를 광년이라고 합니다.   -빛이 진공에서 1분간 나아가는 거리를 광분이라고 합니다.   이와 같이 대 ...
                            
 
                        
                        
                                            
                                                        - [과학동아천문대] 400년만에 가장 가까워지는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천문대와 X-Space가 함께하는 특별 온라인 관측회공지사항                                        l20201217
 
                            -  그런데 안타깝게도 코로나19로 인하여 여러분들을 직접 만나기는 어려울 것 같아요. 너무너무 아쉬워요 ㅠ_ㅠ   대신! 과학동아천문대에서 여러분들과 함께 하기 위해 온라인 관측회를 준비했어요.   두 행성의 모습이 궁금한 분들은 12월 20일부터 22일까지 저녁 시간에 동아사이언스 유튜브 채널을 찾아주세요.     목성과 토성, 그리고 겨울철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