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년"(으)로 총 2,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IBS×수학동아] 나의 삶, 나의 수학 그래프로 연결하는 세상수학동아 l2021년 05호
- 생겼던 때를 기억하시나요?어릴 때만 해도 사실 저는 컴퓨터를 좋아했어요. 조등학교 6학년 때 고향인 경상북도 예천에 처음으로 컴퓨터 학원이 생겨서 다니게 됐습니다. 코딩 언어를 배워 사칙연산 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었는데, 분수를 연산할 때는 약분하거나 분모를 같게 만드는 통분을 해야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5호
- ‘K-RIEMANN’ 친구입니다! Q 자기 소개 부탁해요!안녕하세요. 저는 서울 불암중학교 1학년 김래윤입니다. 모든 소수가 한 직선 위에 있다는 리만 가설은 아직도 해결하지 못한 난제예요. 이런 멋진 난제를 만든 수학자 리만을 본받고 싶어서 닉네임을 ‘K-RIEMANN’이라 지었어요. 리만 앞에 K는 한국의 ... ...
- 제23회 전국학생 통계활용대회수학동아 l2021년 05호
- 함께 알아볼까요? 통계 포스터는 어떻게 만들까? 2020년 당시 세종 조치원교동초등학교 6학년에 재학했던 전율하 친구는 ‘슬기로운 저작권 생활’이라는 통계 포스터를 제출해 제22회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에서 초등부 대상을 받았는데요. 전율하 친구의 통계 포스터 만드는 과정을 살펴볼까요 ... ...
- [과동키즈] 오랜 응시 끝에 종이에 피워낸 보편적인 꽃 한송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채소, 허브학 그리고 토양, 시설, 비료까지 배우는 내용의 범위는 굉장히 방대했다.그중 3학년 수목학 수업을 맡은 교수님이 한 학기 동안 교정의 나무를 관찰해 그림으로 그려 도감을 만들라는 과제를 냈다. 개나리, 진달래, 느티나무, 계수나무와 학교 뒷산의 서어나무까지 나는 약 50여 종의 나무를 ... ...
- [기획] 음악으로 발견한 소통의 본질, 뮤지션 박새별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시간 속에서도 항상 피아노를 치고 노래하는, 음악을 사랑했던 내가 있었다. 대학 1학년 말, 그렇게 나는 음악을 업으로 하는 사람이 되기로 결심했다. 실력 측정이 아닌 소통의 수단, 음악음악인이 되겠다고 다짐해보니 음악에는 ‘잘함’의 기준이 없다는 것이 엄청난 딜레마로 다가왔다. ... ...
- [수담수담] 엔지니어, 개발자에 이어 천체사진가까지 직업을 바꿔도 수학은 항상 내 곁에!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놀랐다”며 혀를 내둘렀습니다. “학교에서 시험문제를 무척 어렵게 내는데, 다음 학년 문제집에 나온 문제들이 많아서 마치 선행학습을 부추기는 것처럼 느껴져 우리나라 교육 현실이 안타까웠다”고도 했죠. 하지만 고대 그리스에서 수학을 전공한 현자들이 수학을 통해 성취를 느끼고 성장한 ... ...
- [과학의 달 특집] 무퀴즈 온더 블럭!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날 것 같죠? (하하) 전공은 언제 정하나요? 노리고 있는 과가 있나요? 재익 : 전공은 2학년 때 정하는데 1순위로 수리과학과를 생각하고 있어요. 수학이 현상의 근본을 파헤치고, 그 과정에서 얻은 결론들이 언젠가는 인간에게 이롭게 쓰인다는 점이 흥미로워요. 현재 코로나19 상황에서 환자들의 ... ...
- [인터뷰] 할 수 있는 게 이렇게 많은데 놓쳐 버리는 건 너무 아깝더라고요과학동아 l2021년 04호
- 해본 일로, 덕분에 스스로를 평가해 볼 수 있었다.”고 말했다.수환 씨는 “지스트는 한 학년 학생수가 200명 정도로 적은 만큼, 좋은 기회를 비교적 쉽게 잡을 수 있다”라며 “후배들도 학부 공부 외에 더 넓은 경험을 해봤으면 한다”고 말했다 ... ...
- 코로나19도 막을 수 없는 열정 마스크 쓰고 파이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대학 입시를 경험했던 김 기자는 이 부분이 잘 이해되지 않았습니다. 공부하기 바쁜 3학년이 행사를 기획하는 것은 무척 부담스러운 일이라는 생각이 들었거든요. 공부하는 시간을 뺏긴다는 생각이 들지 않았냐는 질문에 3학년 최서영 양은 “물론 입시 준비를 해야 하는 부담도 있지만, 즐거워서 ... ...
- [그래프뉴스] 10대, 성희롱에 대해 오해하고 있어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남성과 10대 남성이 가장 크게 오해하고 있었어요. 이는 국가인권위원회가 초등학교 5~6학년생과 중고생, 성인 등 1만 212명을 조사한 결과예요. ‘성희롱은 ‘싫다’고 표현하지 않은 사람의 책임이 크다’, ‘성희롱은 친해서 하는 말을 오해한 데서 생긴다’, ‘성희롱 피해는 과장되는 경향이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