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자
지은이
작가
글쓴이
저작자
작자
저술가
d라이브러리
"
필자
"(으)로 총 1,571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영화 ‘그래비티’의 모티브가 된 인물, 케이디 콜먼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처음으로 하게 됐다.그래서일까. 케이디는 여성 우주인이나
필자
와 같은 아시아 우주인을 위해 활동하고자 노력했다. 러시아에서 처음 만났을 때도 그가 나지막한 목소리로 이런 말을 했던 기억이 난다. “소연. 내 말을 오해하지 않고 들어줘. 너는 지금 꿈꾸고 노력하면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버려졌던 이론의 재탄생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세계 각국은 그 잠재 가치에 주목하고 이를 선점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습니다.
필자
가 속한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해양자원연구본부도 미래 해양자원 확보를 목표로 2009년부터 인도양중앙해령 지역에서 활발히 연구를 진행해왔습니다. 이런 노력이 열매를 맺어 2014년 정부는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우연이 만든 혁명 유기 태양전지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발생시키는 데 태양광의 2~30%만 흡수할 정도로 전기 생산 효율(2~3%)이 낮았습니다.
필자
가 속한 UNIST 에너지공학과 연구팀은 태양광의 사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 2009년부터 다양한 고분자 유기물을 합성해왔습니다. 최근 태양광 흡수율이 높은(7~80%) 고분자 유기물을 개발해 전기 생산효율이 12%로 높은 ... ...
[Tech] 프로펠러 없이 하늘 난 비행기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엔진이나 프로펠러가 공기 흐름을 만드는 역할을 이 이온풍이 하는 것이다. 작은 시작
필자
는 이 추진 시스템이 얼마나 효율적이고 강력한 지에 대한 세부 정보들을 발전시키며 실제 환경에서 어떻게 작용할 수 있는 지 계속 연구하고 있다. 우리 연구팀은 전기 기술자와 협력해 이온풍을 ... ...
‘메이드 인 코리아’ 75t급 액체로켓엔진 대한민국을 들어 올렸다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성공했다.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면서도 묵묵히 개발에 매진한 팀원들 덕분에
필자
도 지금까지 잘 해올 수 있었다. 모두의 노력이 더해져 우주강국 대한민국의 꿈이 순항하고 있다 ... ...
[이달의 PICK] 백악기 한반도에 ‘참새 공룡’ 살았다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있을까? 참새 크기의 드로마에오사우리포미페스 라루스보다 더 작은 공룡이 살았을까?
필자
는 가능성을 열어두고 싶다. 하지만 이보다 더 작은 공룡 발자국을 발견하는 것은 아주 어려운 일이다. 초소형 공룡 발자국은 여러 가지 이유로 매우 희귀하다. 대형 공룡들은 무거운 몸무게 덕분에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내 몸의 설계도 읽는 유전체 해독 기술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변이가 다른 만큼 결국 개인 유전체를 해독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였습니다.
필자
가 속한 UNIST 게놈산업기술센터는 2014년 한국인의 유전체를 더욱 정밀하고 정확하게 해독해 세계 최초로 한국인 표준유전체지도(KOREF)를 완성했습니다. 2016년 한국인 41명의 유전체 정보를 추가한 유전체 지도 ... ...
우리는 돌고래 추적자들입니다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된다. 기존의 실험실 위주의 연구비 지원 체계에 맞출 수 없기 때문이다. 그동안
필자
를 포함한 연구팀은 2013년부터 제주 앞바다에 서식하는 남방큰돌고래 연구를 진행해 오면서 이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다. 그리고 연구를 지속할 새로운 동력으로 펀딩을 기획했다. 펀딩의 주제는 돌고래 연구 ... ...
中 과학계가 던지는 교훈 3가지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한류의 열풍으로 세계를 휩쓰는 나라’ ‘IT의 성지’ 등으로 한국을 인식하고 있다.
필자
는 이런 한국의 저력을 믿는다. 동시에 한국 과학자들이 세계 과학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믿는다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조용한 침략자, 과불화화합물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흙 등 자연환경에서뿐만 아니라 인간의 혈액에서도 검출된다는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필자
가 속한 연구팀은 2008년부터 한국인의 혈액 샘플을 수집해 과불화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해왔습니다. 2012년에는 이미 혈중 PFOA 농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된 대구와, 공장이 많아 과불화화합물의 노출이 많을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