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자
지은이
작가
글쓴이
저작자
작자
저술가
d라이브러리
"
필자
"(으)로 총 1,571건 검색되었습니다.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EHT와 ‘블랙홀캠(Black Hole Cam)’이라는 이름이 연구자들 사이에서 혼용되고 있다.
필자
는 EHT가 과학적으로는 더 적당한 이름이라고 생각한다. 우리가 블랙홀을 ‘직관’하는 것은 아니고 사건의 지평선 바깥에서 일어나는 일을 관측하기 때문이다. 천문학자들은 EHT의 관측 성능을 개선해 정지한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버려졌던 이론의 재탄생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세계 각국은 그 잠재 가치에 주목하고 이를 선점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습니다.
필자
가 속한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해양자원연구본부도 미래 해양자원 확보를 목표로 2009년부터 인도양중앙해령 지역에서 활발히 연구를 진행해왔습니다. 이런 노력이 열매를 맺어 2014년 정부는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우연이 만든 혁명 유기 태양전지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발생시키는 데 태양광의 2~30%만 흡수할 정도로 전기 생산 효율(2~3%)이 낮았습니다.
필자
가 속한 UNIST 에너지공학과 연구팀은 태양광의 사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 2009년부터 다양한 고분자 유기물을 합성해왔습니다. 최근 태양광 흡수율이 높은(7~80%) 고분자 유기물을 개발해 전기 생산효율이 12%로 높은 ... ...
[Tech] 프로펠러 없이 하늘 난 비행기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엔진이나 프로펠러가 공기 흐름을 만드는 역할을 이 이온풍이 하는 것이다. 작은 시작
필자
는 이 추진 시스템이 얼마나 효율적이고 강력한 지에 대한 세부 정보들을 발전시키며 실제 환경에서 어떻게 작용할 수 있는 지 계속 연구하고 있다. 우리 연구팀은 전기 기술자와 협력해 이온풍을 ... ...
[이달의 PICK] 백악기 한반도에 ‘참새 공룡’ 살았다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있을까? 참새 크기의 드로마에오사우리포미페스 라루스보다 더 작은 공룡이 살았을까?
필자
는 가능성을 열어두고 싶다. 하지만 이보다 더 작은 공룡 발자국을 발견하는 것은 아주 어려운 일이다. 초소형 공룡 발자국은 여러 가지 이유로 매우 희귀하다. 대형 공룡들은 무거운 몸무게 덕분에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내 몸의 설계도 읽는 유전체 해독 기술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변이가 다른 만큼 결국 개인 유전체를 해독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였습니다.
필자
가 속한 UNIST 게놈산업기술센터는 2014년 한국인의 유전체를 더욱 정밀하고 정확하게 해독해 세계 최초로 한국인 표준유전체지도(KOREF)를 완성했습니다. 2016년 한국인 41명의 유전체 정보를 추가한 유전체 지도 ... ...
‘메이드 인 코리아’ 75t급 액체로켓엔진 대한민국을 들어 올렸다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성공했다.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면서도 묵묵히 개발에 매진한 팀원들 덕분에
필자
도 지금까지 잘 해올 수 있었다. 모두의 노력이 더해져 우주강국 대한민국의 꿈이 순항하고 있다 ... ...
우리는 돌고래 추적자들입니다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된다. 기존의 실험실 위주의 연구비 지원 체계에 맞출 수 없기 때문이다. 그동안
필자
를 포함한 연구팀은 2013년부터 제주 앞바다에 서식하는 남방큰돌고래 연구를 진행해 오면서 이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다. 그리고 연구를 지속할 새로운 동력으로 펀딩을 기획했다. 펀딩의 주제는 돌고래 연구 ... ...
허리 고치는 수술 로봇 ‘닥터 허준’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혈관 등 내시경 수술이 필요한 여러 질환에 폭넓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필자
는 우리 의술을 크게 발전시킨 허준처럼, 닥터 허준이 앞으로 의료 강국으로 주목받고 있는 대한민국의 위상을 한층 더 끌어올릴 것이라고 확신한다 ... ...
中 과학계가 던지는 교훈 3가지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한류의 열풍으로 세계를 휩쓰는 나라’ ‘IT의 성지’ 등으로 한국을 인식하고 있다.
필자
는 이런 한국의 저력을 믿는다. 동시에 한국 과학자들이 세계 과학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믿는다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