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자"(으)로 총 1,571건 검색되었습니다.
- [Go!Go!고고학자] 쓰레기장에서 보물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과거의 환경과 옛사람들의 식생활을 알 수 있게 해주는 박물관이랍니다. 필자소개고은별(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서울대 고고미술사학과에서 고고학을 공부했다. 시흥 오이도 유적, 구리 아차산 4보루 유적, 연천 무등리 유적 등 중부 지역의 고고학 유적 발굴에 참여했다 ... ...
- [로보트 재권V] 마침내 완성된 '로보트 재권v'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무엇인지 정의를 내리기는커녕 자신의 마음조차 잘 모른다고 생각합니다. 공학자인 필자의 입장에서 마음에 대한 정의를 내리자면, 마음은 인식하고 기억하는 대뇌의 작용이 몸에서 생성되는 각종 호르몬의 화학반응과 함께 일어나는 작용입니다. 참으로 낭만적이지 못한 생각이죠. 만약 마음이 ... ...
- 히어로의 ‘아이스 웨폰’ 얼음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있다. 과학소설가로서의 필자는 이 작품들의 예술성에 감탄할 뿐이지만, 공학자로서의 필자는 어느 정도의 에너지가 필요한지 과학적으로 계산해보고 싶어진다. 그래서 직접 해봤다. 엘사처럼 바다 위를 얼리면서 동시에 그 위를 달리려면 물리학적으로 얼마나 많은 에너지가 필요한지 말이다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사지마비 환자 벌떡 일으킬 뇌-컴퓨터 접속기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도 올해 7월 원숭이를 대상으로 뇌-컴퓨터 접속기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필자가 속한 울산과학기술원(UNIST) 뇌-컴퓨터인터페이스연구실은 일반인도 쓸 수 있도록 뇌 신호로 생활 기기를 제어하는 플랫폼 개발에 몰두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 많은 연구팀이 뇌-컴퓨터 접속기술을 ... ...
- [Go!Go!고고학자] 알프스에서 발견된 아이스맨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현대인들에게 당시의 모습에 대해 그 누구보다 자세한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답니다. 필자소개고은별(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서울대 고고미술사학과에서 고고학을 공부했다. 시흥 오이도 유적, 구리 아차산 4보루 유적, 연천 무등리 유적 등 중부 지역의 고고학 유적 발굴에 참여했다 ... ...
- 백골 시체의 조용한 아우성 치아가 알려주는 진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 2008년 6월 경북 봉화군에서 집 수리 중 백골이 발견됐다. 발견 당시 백골의 자세를 필자가 직접 재연하고 있다. 2008. 06. 15 치과 기록으로 치아 특성 대조다음으로 변사자의 키를 추정했다. 일반적으로 신장 추정에는 대퇴골(넙다리뼈)과 경골(정강뼈)을 활용한다. 이번에 발견된 대퇴골은 ... ...
- 충전 가능한 시대를 열다 리튬이온전지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지금은 뭔지 몰라도 미래에 하려고 하는 일과 연결돼 있을 것이라고 격려했다. 당시 필자가 할 수 있는 일은 실험과 논문 집필뿐이었는데, 놀랍게도 지금 하는 일과 관련돼 있다. 구디너프 교수 연구실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지낸 4년은 지식을 쌓은 것 외에도 연구자로서 살아가는 자세와 방법을 ... ...
- [언니오빠논문연구소] 질병 진단의 패러다임 전환 스마트 콘택트렌즈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없어질 겁니다. 물론 아직은 당뇨나 녹내장 같은 일부 질병에 국한된 기술이긴 하지만, 필자를 포함한 많은 연구자가 스마트 콘택트렌즈로 질병을 더욱 정밀하게 측정하고, 이렇게 측정할 수 있는 질병의 수를 확대하기 위해 연구하고 있습니다.최근에는 체내로 약물을 전달하는 스마트 ... ...
- 세상을 구한 아이언맨 문명 이끈 진정한 영웅, 철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철인(鐵人)’이다. 철의 강인함을 보여주기 위한 원작자의 의도가 담긴 이름이 아닐까. 필자는 여기에 인류 문명을 이끌어온 진정한 영웅, 철을 기념한다는 의미를 추가하고 싶다. 철의 영문명은 ‘아이언(iron)’이다. 고대영어인 ‘아이렌(iren)’에서 유래했다. 하지만 주기율표에서 철의 원소 ... ...
- 50년 만에 첨단 CG로 부활한 거대 타조공룡 데이노케이루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일부는 손실된 골격을 현재 이용할 수 있는 최선의 기술을 동원해 복원하는 과정은 필자에게는 새로운 도전이었다. 이항재충남대 지질학과에서 고생물학을 전공하고 동 대학원에서 경남 하동의 중생대 악어 두개골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에서 근무하며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