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말
파우더
파우
싸라기
싸락이
입자
엿기름가루
d라이브러리
"
가루
"(으)로 총 1,054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돌먼지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들어왔다. 소금과 닮은 구석이 전혀 없는 붙박이, 코쇠의 18세대였다. 손과 피부가 돌
가루
바람에 거칠어지고 머리가 세기 시작했다. 그는 먼지와 진동과 소리를 끌어안고 교실의 책상과 의자를 닦고, 여전히 때때로 고장난 기계나 이해하기 어려운 본사의 지시에 관해 ‘선생님’의 조언을 구하는 ... ...
Intro. 꽃 피는 수학적 생존전략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봄이면 봄마다 찾아오는 황금빛 바다가 있다. 작고 노오란 꽃잎이 수백, 수천만 장이 모여 이루는 ‘유채꽃 바다’다. 유채꽃이 많이 피어 있는 곳은 봄이 되면 꽃만큼이나 많은 벌과 나비 ... Intro. 꽃 피는 수학적 생존전략생존전략 1 화려한 꽃 미인계생존전략 2 널리 퍼지는 꽃
가루
... ...
생존전략 1. 화려한 꽃 미인계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식물이 선택한 생존전략 중 하나는 바로 ‘아름다운 꽃 피우기’다. 형형색색 아름다운 꽃들 사이에서 더 크고 아름답거나 향기로운 꽃을 피워 곤충을 불러들이는 것이다.식물 ... 계속 보시려면?Intro. 꽃 피는 수학적 생존전략생존전략 1 화려한 꽃 미인계생존전략 2 널리 퍼지는 꽃
가루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실험실_사라진 어진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낸 도안을 나무에 고정하고, 도안 위를 하얀 분을 묻힌 뭉치로 천천히 두드리면 하얀
가루
가 바늘구멍을 통과하면서 나무 표면에 밑그림이 나타납니다. 만약 무늬가 일정한 대칭구조라면 반복되는 무늬가 포개지도록 도안을 여러 겹 접은 다음 천초 작업을 하면 됩니다. 이렇게 도안을 접는 것을 ... ...
[Tech & Fun] 박승휴 망해라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그래 봤자 정상 뇌보다는 더 좋은 성능은 안 나온다고 했다. 그렇지만 초소형 로봇과
가루
형태로 되어 있는 더 초소형 로봇을 이용해서 신경을 이어 붙이는 기술이 꽤 괜찮다고 했다. 살아 있는 뇌의 일부가 그대로 보존되어 남과 합쳐진다기보다는 쓸만한 뇌세포 하나하나를 그대로 이어 붙여서 ... ...
[Knowledge] 강철이 연료가 되는 세상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계획은 이런 도전과 실패의 상징이다. 당시 연구소는 휘발유 대신 나노 크기로 만든 철
가루
를 엔진에 넣어 폭발시키겠다며 금속 연료용 엔진의 개념도까지 공개했다. 그러나 연구는 실패했고 후속 연구도 모두 사라졌다. 접촉을 시도해 봤지만 현재는 연구 책임자마저 연락이 닿지 않는 상태다. 성 ... ...
Interview. “수중시체 검시, 특별한 애정 필요해”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있었다. “이걸 시랍화현상이라고 합니다. 피하지방이 고형의 지방산으로 변해 젖은 분필
가루
처럼 쉽게 부스러지죠.” 이 정도면 이미 뼈와 피부를 연결해주는 근육이 용해된 상태. 잘못 건드리면 시신이 상한다. “피부를 잡아당기면 갑옷 벗듯 뼈에서 피부가 통째로 떨어져 나가기도 한다”고 김 ... ...
[특별기획] 2016 태국 탐사대 따뜻한 겨울 바다에서 자연을 배우다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섬이 각각 독특한 환경을 자랑한다. 거북 떼가 알을 낳으러 온다는 뜻의 카이 섬은 산호
가루
로 이뤄진 하얀 모래가 햇볕에 반짝였다. 탐사대원들은 자갈이 갑자기 다다다 움직이는 바람에 깜짝 놀랐다. 자세히 보니 해변 위로 수많은 코코넛게와 소라게가 쇠사슬 같은 흔적을 남기며 돌아다니고 ... ...
[Knowledge]전투면역 세포 백혈구의 재발견, 뉴트로필 리턴즈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미국 로체스터대 교수팀이 ‘사이언스’에 발표한 내용입니다. 헨젤과 그레텔이 빵
가루
를 흘려 지나온 길을 표시하듯, 저희도 침입자를 공격하러 출동하는 길에 ‘CXCL12’라는 화학물질로 흔적을 남깁니다. T 세포가 바로 CXCL12를 뒤따라 침입자가 있는 곳을 찾아오게 됩니다.[➊뉴트로필 세포 외 덫 ... ...
[재미]눈사람 만들려면
가루
눈보다 함박눈!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엉겨 붙지 않아서 뽀드득 소리가 크게 난답니다. 즉 대기가 춥고 건조하면 수분이 적은
가루
눈이 내리기 때문에, 쌓일 정도로 많이 내리더라도 눈덩이가 뭉쳐지지 않는 것이지요.눈 결정의 비밀 밝히는 수학모형이렇게 눈이 만들어지는 대기의 온도와 습도에 따라 눈 결정의 모양과 성질이 달라져요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