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Sixth Sense Mobile!과학동아 l2013년 04호
- 기계적인 처리를 통해 대답할 수 있도록 알고리듬을 만든 것”이라고 웃으며 소개했다. 다음 질문은 더 어려웠다.“그렇다면 샌프란시스코는? (How about San Francisco?)”이라고 묻자 “아침 기온이 9℃이며 오후 늦게 비가 올 수도 있습니다”라는 대답이 돌아왔다. 어리둥절한 표정을 짓자 “방금 본 ... ...
- [과학뉴스] ‘쥬라기공원’처럼 멸종 개구리 살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위해 연구팀은 40년 동안 냉동상태로 있던 이 개구리의 조직에서 세포핵을 분리했다. 그 다음 유전적으로 가까운 큰 줄무늬 개구리(Mixophyes fasciolatus)의 난자에 이 핵을 이식했다. 바로 체세포핵 이식 기술이다. 핵을 이식 받은 난자 중 일부는 정상적으로 분화를 시작했지만 배아 초기 단계에서 모두 ... ...
- 그들은 왜 ‘힉스 발견’을 다시 발표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4호
- 힉스)를 닮은 뭔가가 있다”고 간신히 말할 정도의 데이터를 모은 상태였다.그렇다면 다음 차례는 무엇일까. ‘뭔가’를 잘 분리해 모은 뒤 확대도 해보고 깨뜨려도 보며 보리의 성질을 확인해야 한다. 힉스 역시 스핀 등 ‘결정적인’ 성질을 확인해야 한다. 그러자면 다시 더 많은 데이터를 모아야 ... ...
- 꽃 호르몬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04호
- 합성하지 못하는 돌연변이체는 꽃을 피우지 못할 테고, 이런 돌연변이체를 찾은 다음에 원인 유전자를 클로닝하면 플로리겐이 뭔지 금세 알 수 있기 때문이다.1990년대초, 애기장대를 이용하여 플로리겐을 규명하는 작업이 본격적으로 진행됐다. 우선 개화와 관련된 돌연변이 애기장대를 만드는 일이 ... ...
- 비행, 레이더, 동면 - 진화의 꽃 박쥐의 모든 것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당신을요. 바로 박쥐입니다.당신은 박쥐. 전세계 포유류 종의 20%를 차지하는, 설치류 다음으로 다양한 포유류입니다. 온대와 열대 지방 전역에 걸쳐 1200여 종이 살고 있고, 우리나라에도 23종이 살고 있지요. 사람들은 막연히 당신에 대해 잘 알고 있다며 많은 이야기를 하곤 합니다. 동굴에서 ... ...
- 무한 원숭이 정리 원숭이가 셰익스피어 희곡을 쓴다?!수학동아 l2013년 04호
- 에휴~, 이제 겨우 과 , , 를 모두 완성했는데, 이걸 재편집해서 4대 비극집을 내자고? 다른 출판사에 소문나면 안 되 ... 작별의 눈물까지 흘리는데요. 원숭이들을 조금만 더 써 보는 건….당장 돌려보내! 아마도 다음 작품은 복수극이 될 거야. 보렐, 기대하라구 ... ...
- 도로시의 카오스 여행기 혼돈에 빠진 오즈를 구하라!수학동아 l2013년 04호
- 규칙적으로 떨어질 때는 ‘똑-똑-똑-똑’ 이런 반복적인 리듬으로 떨어진다. 따라서 다음 물방울이 언제 떨어질지 예측이 가능하다.그런데 물방울이 떨어지는 속도가 조금 더 빨라지도록 수도꼭지를 조절하면 이 리듬이 바뀐다. ‘똑-똑’이라는 2개의 새로운 물방울 패턴이 반복된다. 여기서 ... ...
- [W5 코드 브레이커] 세계대전을 호령한 암호 장치, 에니그마수학동아 l2013년 04호
- 이용하는 것이다. 에니그마 기계의 작동 원리에니그마 기계가 암호문을 만드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기계 안에는 철제 원통에 알파벳을 쓴 톱니바퀴가 여러 개 연결되어 있는데, 종류마다 연결한 톱니바퀴 개수가 다르다. 사진 속 에니그마 기계는 톱니바퀴 세 개가 연결돼 있다. 가장 왼쪽 톱니는 ... ...
- 화성은 과거에 붉지 않았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첫 번째와 두 번째 흙은 흙을 담는 장치를 닦아내는 데 쓴다. 흙을 담은 뒤 강하게 흔든 다음버리는 것이다.분석기에 들어가는 건 세 번째 흙부터다. 이 흙을 분석하는 데 쓰는 장치는 케민(CheMin)과 샘(SAM). 케민은 엑스선회절장치로 시료에 엑스선을 쏴 회절무늬를 바탕으로 결정 구조를 알아낸다. ... ...
- UPDATE과학동아 l2013년 04호
- 고객분이 본 건 하나도 남지 않아요.”그래서 남자는 인유와 현종의 뇌를 연결시킨 다음 인유에게 원하는 시각 기억을 고르라고 했다. ‘바다.’ 인유가 맨 처음 고른 것은 바다였다. 남자가 만든 시술 소프트는 현종이 떠올린 바다의 모습을 골라 지워지지 않을 인유의 언어저장소에 덮어씌웠다. ... ...
이전3053063073083093103113123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