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d라이브러리
"
우리
"(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인터뷰] 똑똑한 앵무새가 더 매력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3호
말을 배우면 금방 따라할 수 있지. 하지만 3개월이 지나면 말을 배우기가 어려워진단다.
우리
사랑앵무도 사람의 말을 따라할 수 있는 종이야. 앵무새에게 있는 특별한 유전자 3개 덕분이지. 이 유전자는 다른 종의 발성을 배우고 따라 하는 발성학습 능력과 관계가 있어. 지난 2014년 서울대학교 ... ...
Part 2. 플라스틱 쓰레기의 피해자는 누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3호
드위 수프라피는 “사체가 심하게 부패되어 향유고래가 왜 죽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우리
가 마주한 쓰레기들은 정말 끔찍했다”고 밝혔어요. 지난 1월에는 사진작가 폴 마크로가 파란색 플라스틱 그물이 목에 감긴 암컷 물범 사진을 찍어 화제가 됐어요. 그물은 강하게 물범의 목을 휘감고 있었고, ... ...
[3·1운동 100주년] 대한의 모든 존재에게 한글 이름을 허하라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한 데 엮었다. 조복성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곤충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전하고, 여기서
우리
가 무엇을 배워야 하는지 끊임없이 역설했다.이 교수는 “조복성은 일본인이 주축이었던 조선박물학회에도 논문을 발표할 만큼 연구 능력을 대외적으로 인정받았다”며 “당시 박물학계의 석학으로서 ... ...
20대 '신선한' 난자 얼리시겠습니까?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설명하기 힘든 다양한 측면이 있다”며 “임신과 출산을 여성의 당연한 의무로 여기는
우리
사회에서 여성이 이러한 압박에서 자유롭게 자신의 의사로만 난자 냉동을 선택할 수 있을지 염려스럽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임신과 출산으로 인한 경력단절을 제도적으로 해결하기보다는 난자 ... ...
화면만 터치, 디스플레이 지문인식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금과 같은 금속을 사용해 투명하게 제작하기 어렵다. 결국 초음파 지문인식 센서는
우리
가 보는 화면의 반대 편에 위치한 후면 기판 위에 위치시켜야 한다. 초음파 지문인식 센서의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전력을 높여 초음파 세기를 키울 수 있지만, 이 경우 배터리 사용 시간이 줄어든다. 안 박사는 ... ...
[로보트 재권V] 로봇팔을 달까, 말까?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팔은 대략 자유도 7에 해당한다고 합니다. 자유도 6보다 자유도가 1이 더 높기 때문에
우리
는 물건을 잡을 때 팔을 꼭 한 방향으로만 접근해서 잡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방향으로 접근해서도 잡을 수 있습니다. 심지어는 문고리 같은 고정된 물건을 잡고 팔꿈치나 어깨를 마구 돌릴 수도 있지요 ... ...
[이달의 책] 주변을 둘러봐 과학은 어디에나 있어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전쟁과 역사 자체가 통제 불능 상태로 빠져든다. 역사학자들은 의문을 품기 시작한다. “
우리
는 정말 과거를 바꿀 수 없는 걸까?”이 책은 저자의 전작인 ‘화재감시원’ ‘둠즈데이북’ ‘개는 말할 것도 없고’ ‘블랙아웃’에 이은 옥스퍼드 시간 여행 시리즈의 완결판이다. 1982년 시리즈 첫 편인 ... ...
쇼 미더 매스! 수학과 랩의 만남
수학동아
l
2019년 03호
공식을 랩으로 만드는 게
우리
에게는 생소하지만, 미국에는 이미 ‘수학 래퍼’가 있다. 주인공은 미국 캘리포니아에 사는 수학 교사 알렉스 카지타니. 수학 개념과 공식을 랩으로 가르쳐 2009년 캘리포니아주 올해의 교사상을 받고, 국제 올해의 교사상 최종 4인에 뽑혔다. 카지타니는 유투에서도 ... ...
그림자 공개 임박! 블랙홀 Black Hole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빨아들이는, 그래서
우리
눈에는 그 형체조차 보이지 않는다고 알려진 블랙홀. 지금까지
우리
가 봐왔던 블랙홀의 모습은 모두 상상도다. 그 누구도 블랙홀의 ‘실사’를 단 한 차례도 보지 못했다. 블랙홀은 어떻게 생겼을까. 2006년 전 세계 36개 기관 소속 천체물리학자들은 전파망원경을 동원해 ... ...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사이에서 혼용되고 있다. 필자는 EHT가 과학적으로는 더 적당한 이름이라고 생각한다.
우리
가 블랙홀을 ‘직관’하는 것은 아니고 사건의 지평선 바깥에서 일어나는 일을 관측하기 때문이다. 천문학자들은 EHT의 관측 성능을 개선해 정지한 블랙홀(슈바르츠실트 블랙홀)과 회전하는 블랙홀(커 ... ...
이전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