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동아클리닉] 거꾸로 교실에 담은 행복수업 2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선생님이 아닌 아이들이 주인공인 거꾸로 교실은 다양한 수업 활동이 가득하다. 철옹성 같던 아이들의 마음을 움직인 활동은 어떤 것이었는지 ... 네트워크 소속 교사들에게도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거꾸로 교실을 지속할 수 있었던 건 학생들을 수학의 매력 속으로 끌어들인 활동 덕분이다 ...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국내에 내진 설계가 도입되기 시작한 것이 1988년부터다 보니 실제로는 적용되지 않은 건물이 많기 때문이다. 서울에만 66만 채에 이른다. ‘신속한 경보’만이 살 길이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해외에서는 스마트폰을 이용해 지진을 예보하고 조기경보한다. 미국지질조사국이 개발한 지진 조기 경보 ... ...
- [News & Issue] 전 우주에 고한다 외계문명 응답하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단순한 필수조건일 뿐이다. 그 외에도 얼마나 다양한 천문학적 조건이 맞아야 할지, 조건이 맞더라도 얼마나 큰 확률로 실제 생명의 진화가 일어날지는 알 수 없다. 결국 우리가 외계인을 직접 발견하기 전까지는 실제 외계문명의 분포는 구체적으로 알 수 없다.몇 가지 사고실험을 할 수는 있다. ... ...
- [Knowledge] 치아와 쇄골은 ‘뼈의 신분증’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오류의 가능성은 0에 가깝다.이처럼 신원 확인 과정에서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건 이미 신원이 확실한 데이터가 마련돼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치아검색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사용한 5만8000명의 자료, 흉부 엑스선 방법에 사용한 수만 장의 엑스선 필름들, 그리고 시체농장에 들어오는 수많은 ... ...
- PART 1. 의식과 무의식이 빚은 1만 개의 언어, 표정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다른 사람의 표정을 보고 거짓말인지 아닌지 구별할 수 있다. 스위스 제네바대 정신건강의학과 마티유 아르민존 박사팀이 지난해 학술지 ‘플로스원’에 밝힌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람은 0.1~0.31초 밖에 되지 않는 찰나에도 다른 사람의 표정을 읽고 감정을 파악할 수 있다.하지만 주의할 점이 있다. ... ...
- [Career] 일상의 난제를 해결하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정확성과도 연결될 수 있는 문제죠.이선민 구체적으로 어떤 규칙들을 말씀하시는 건가요?허충길 법률과 비슷한데요. 음주 운전을 예로 들어볼게요. 만약 법률이 ‘소주 3잔 이상 5잔 이하는 3년 이하의 징역’, ‘맥주 5잔 이상은 3년 이하의 징역’처럼 모든 상황을 다루고 있다고 해봅시다. 술을 ... ...
- [지식] 엑소 EX’ACT에 드리운 수학 그림자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이번 수수께끼는 다른 때보다 훨씬 쉬웠다. 혹시 우리가 모르는 다른 의미가 숨어 있는 건 아닐까? 3집 앨범의 로고가 수학 이론이라고?!그러던 지난 7월 24일, SNS에 글 하나가 올라왔다. 한 네티즌이 이번 앨범의 로고가 ‘exact 수열’을 나타낸 것이 아니냐는 의문을 제기한 것이다. 앨범의 제목명이 ... ...
- INTRO. 악마를 찾아 나선 수학 천사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악마 같은 건 진짜 악마라서 그래.”누군가 속삭이는 소리에 잠에서 깬 수학 천사는 수학은 악마가 아니란 걸 증명하고 싶었어요. 그런데 웬걸, 수학에는 분명 악마가 있었습니다. 수학 천사는 악마의 정체를 밝히기 위해 악마가 산다는 비밀의 집으로 들어갔어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 [News & Issue] 꿀벌은 꿀맛을 알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종류의 능력이 있어야 의식을 가진 존재로 볼 수 있는데 바론과 클라인 교수가 그 자격조건을 지나치게 낮게 잡았다는 뜻이다.“이런 관점이라면, 로봇도 의식을 가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길 찾는 로봇은 스스로 내외적 정보를 이용해 목적지로 갈 수 있는 행동을 선택합니다. 이것이 ... ...
- [Knowledge] 패배는 있어도 패배자는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때”라고 말했다. 도로를 따라 퍼지기 시작한 가시상추에게 직접적으로 타격을 입은 건 왕고들빼기다. 계통적으로 사촌 격인 가시상추와 왕고들빼기는모두 두해살이를 하며, 서식처도 길가나 숲의 가장자리로 비슷하다. 하지만 침입종인 가시상추의 생장과 번식 속도가 압도적이다. 양분, 기온, ... ...
이전3043053063073083093103113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