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지금이 ‘인류세’라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속도가 급격히 빨라졌답니다. 세바요스 박사팀에 따르면 이렇게 멸종 속도가 빨라지는 건 사람 때문이라고 해요. 자연스러운 멸종 속도라면 800~1만 년이 걸려 사라졌을 동물들이 사람들 탓에 100년 동안 빠르게 사라졌다는 거예요. 그래서 네덜란드 화학자 크뤼천은 지난 2000년에 우리가 살고 있는 이 ... ...
- Part 2. 세상은 구부러졌다수학동아 l2016년 11호
- 그 과정에서 새로운 정리를 많이 얻었지만, 결국 실패했다.사케리의 노력이 물거품이 된 건 아니다. 뒤를 이어 독일의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러시아의 니콜라이 로바쳅스키, 헝가리의 보여이 야노시, 이탈리아의 에우제니오 벨트라미 같은 수학자가 연구를 계속했기 때문이다. 마침내 평행선 ...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나이가 이제 겨우 50대 중반임을 고려할 때, 이들이 노벨상을 수상할 거라고 예측하는 건 매우 안전한 도박이다. 그날이 정말 온다면, 노벨상 위원회가 과연 K-이론을 대중에게 어떻게 설명할 것인지 궁금할 따름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16 노벨과학상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바꿔주면 되기 때문에 전달체를 바꿀 필요가 없다. 이런 이유로 현재 전세계에서 40건 이상의 siRNA 표적치료제가 임상시험 중이다.넘어야 할 산도 있다. 아직까지 siRNA를 효과적으로 목적지까지 보내주는 이상적인 전달체가 나오지 않았다. siRNA는 혈액을 타고 흐르면서 혈액 속 효소에 의해 분해되기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악기 없이 음악 연주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실로폰을 만들 수 있다?!실로폰은 막대로 네모난 건반을 내리쳐서 음을 만드는 악기다. 건반의 길이가 짧을수록 빠르게 진동하며 높은 소리가 난다. 실로폰은 나무나 철판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 수 있는데, 이번 실험에서는 철제 자를 이용했다.15cm 철제 자 여러 개를 끝이 책상 바깥으로 ... ...
- [지식] 에르되시도 인정한 고난이도 문제수학동아 l2016년 10호
- 각 문제별로 해결하는 사람에게 상금 100만 달러를 준다고 했던 걸 기억하나요? 이 상금을 건 곳이 바로 ‘클레이 수학연구소’입니다. 이곳에서 매년 훌륭한 논문을 쓴 사람에게 상을 주고 있는데, 구스와 카츠가 바로 이 연구로 상을 받은 것이지요.에르되시 거리 문제와 관련된 미해결 문제는 ... ...
- [지식] 우리 집에 수학이 있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잡으면 가능해요! 화면 크기에 따라 화면이 잘 보이는 거리를 구할 수 있거든요.다른 조건이 같다면, 화면 대각선 크기의 1.6배 떨어진 거리에서 TV를 봐야 실감 나게 볼 수 있어요. 예를 들어 대각선 길이가 20인치인 TV를 보려면 20×1.6= 32인치, 약 81.28cm 떨어진 거리에서 봐야 합니다.시야각 때문이지요. ... ...
- [재미] 제34화 가을은 운동회지~!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잠들어 버렸네?!”점수를 집계하던 종이는 정수가 잠든 사이 사라져 버렸고, 기억나는 건 (a-d+b-c)=2라는 식뿐이다. 정수는 축구 점수 합계와 농구 점수 합계의 차이를 구할 수 있을까 ... ...
- [수학동아클리닉] 깎은 정이십면체 축구공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만들었다가 수많은 변화를 거쳐 현재의 모양이 됐다. 축구공을 준정다면체로 만든건 전체에 힘을 일정하게 분산해 경기 도중 모양이 변하는 것을 최대한 막기 위해서다. 축구공처럼 정육각형 20개와 정오각형 12개로 이뤄진 준정다면체를 특별히 ‘깎은 정이십면체’라고 한다.깎은 정이십면체는 ... ...
- [포커스 뉴스] 갤럭시노트7 폭발 사고, 정말 배터리 때문?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자연스럽게 그 외의 물질인 분리막은 최대한 얇아져야 한다. 즉, 배터리 용량을 늘린다는 건 그만큼 분리막을 얇게 만들어야 한다는 의미다. 그러나 일반적인 분리막의 두께는 이미 10μm 정도로 얇은 데다 분리막의 성분인 폴리올레핀은 130°C 이상이 되면 녹기 때문에 결코 안전하지만은 않다. 그래서 ... ...
이전301302303304305306307308309 다음